View : 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보길-
dc.creator강보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49-
dc.description.abstract자유주의 수준의 기회균등이 보장된 학교교육에서 교육결과의 차이는 개인의 문제로 환원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교육 결과에 나타나는 남녀의 차이는 여성의 선천적 성향이나 능력에 기인하는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말하는데, 이는 단지 교육 결과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성별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성별위계화된 사회에서 성별담론은 여전히 교육목표, 교육이념, 교사의 가치관에 내재하여 교육과정에 개입된다. 개입의 정도는 성역할의 사회화, 성별노동의 재생산 과정을 지배할 뿐 아니라 학생들의 인격, 태도, 행위를 통제하여 학생들의 정체성 구성에 작용한다. 본 연구는 한 여자인문계고등학교를 참여관찰하고, 여학생과 교사와의 면접을 통해서 학교 교육의 지배적 성별담론이 여학생의 정체성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본문의 내용은 교육현장에 대한 분석과 정체성 구성에 대한 분석으로 크게 두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여성에 대한 통제는 여학생을 학습자와 여성으로 동시에 위치 짓는다는 점에서 발견된다. 즉 학력이 중시되는 입시위주 교육의 풍토에서 학교교육은 학생, 들에게 성취지향성을 요구한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여학생에게 전형적 여성성을 요구한다. 성취지향성은 남성적 특성으로서 남학생은 지배담론에서 요구하는 남성성과 학습자로서 요구되는 특성이 일치하지만, 그에 반해 여학생에게 요구되는 여성성과 학습자로서 성취지향성은 서로 양립하기 어렵다. 그래서 여학생은 성취지향적일 경우 여성성의 부족으로, 여성적일 경우에는 열등한 학습자로 규정되고 심지어 여성적 외모를 과시할 경우는 '타락한 여자'로 낙인찍힌다. 이러한 과정은 바로 지배적 성별 담론에 의한 여성의 통제이며, 여학생들은 처신을 어떻게 할지 갈등에 빠지고 불안한 정체감을 가지게 된다. 교육과정에 작용하는 지배적 성별담론은 여학생에 의해 해석되며, 행위자로서 여학생은 이 과정을 전략적으로 대응한다. 그 결과 그들의 정체성의 구성 내용은 다음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여성성을 거부하고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성취지향성과 일치하는 남성 성을 추구하는 유형이 있다. 둘째, 여성성을 상대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수용하는데, 그들이 가치있게 여기는 여성성은 친구와 가족에 대한 배려로 들 수 있다. 셋째, 현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여성성을 전략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는 나아가 학교에서 제한하는 여성성의 경계에 대한 도전으로 나타난다. 위의 세가지 유형은 여학생의 인격과 행위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경계에 도전하면서 이를 새롭게 해석하는 여학생의 정체성 구성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교육과정에 작용하는 담론은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구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실제 여성들은 다양한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성/남성성 사이에서 갈등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진다. 즉 성취지향적 아이는 여성성의 부족으로 고민하고 여성적인 아이는 열등한 학습자로 규정되는 상황은 여학생을 불안정하게 만들며 이러한 불안정한 정체감은 그들의 학습자로서 성취수준을 제한하며, 그들을 끊임없이 여성화되게 하는 상태에 머물게 한다. 교육현장에서 여성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통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우선 교사들의 태도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에 근거한 교사들의 성고정관념과 성편견 의식은 여학생의 불안한 정체감 형성과 성취수준을 제한하는 조건이 되므로 교사들의 의식이 변해야 한다. 학교교육에서 여학생에게 주는 억압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사들은 전형화된 여성성의 강조를 지양하고 여학생의 권력화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우선 여학생 정체성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들이 지닌 잠재력을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This study examines the inherent conflict for a female student resulting from contradictory expectations of gender being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and its influence on her efforts to identify herself as both an academic achiever and a woman. To this study I interviewed 18 girls and 5 teachers. As a teacher in Hanul girls high school I observed life in the school for one year. So I used ethnographic method in analysis of my data. The school defines a female student as both a learner and a woman The learner is attributed with achievement oriented characteristics which are considered chiefly masculine. whereas the woman is admired for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her femininity. The notion that higher education is not as important as a woman's physical appearance is instilled in school, while female students who occupy themselves with their physical appearance are controlled and punished like deviants or demoralized women. The belief that women are inferior to men and that they possess a mere limited intellectual ability still prevails in school though there are claim to the opposite. And finally though females are invited to the realm of higher education and to compete for jobs in the market place, the emphasis is still put on marriage as the mere meaningful choice for a women. For the female student their identity in the basis of gender discourse in school evolves into three general types : 1) a denial of femininity and all its negative conotations which are in contrast to the mere masculine traits of a successful academic achiever. 2) an evaluation of femininity as an equal and relative concept to masculinity. And they accept this femininity and in particular the traits of compassion and care as a standard to identify themselves and other women. 3) An acceptance femininity as a strategy. They use their sexuality to attract attention and their vulnerability to illicit sympathy in their negotiations with teachers. This kind of stereotypical femininity constitutes a female identity in it's most compromising form but in the case of their overusing the femininity teachers regard it as a resistnace to the school rule. A palpable level of oppression imposed on female students is clearly shown To do justice to the full potential all the student population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remove out-dated conception of femininity from its expectation of the female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 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연구의의 = 4 C. 논의의 배경 = 6 1. 성별화된 교육현장 대한 기존논의 = 6 2. 여학생의 정체성 = 9 3. 행위자로서 여학생 = 13 Ⅱ.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 16 A.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 16 B. 연구대상 = 18 1. 연구대상 학교의 상황 = 18 2. 연구대상자 = 21 3. 연구자와 연구대상과의 관계 = 24 Ⅲ. 학교교육에서의 여성성 훈육 및 통제과정 = 26 A. 수업지도/ 명시적 교육과정 : 계열선택과 진로지도를 중심으로 = 28 B. 수업지도/ 잠재적 교육과정 : 이상적 여성상 = 33 C. 생활지도/ 명시적 교육과정 : 학교규율 = 37 1. 용의규정에 내재된 여성성 = 37 2. 규율위반에 대한 교사의 태도 = 41 D. 생활지도/ 잠재적 교육과정 = 43 1. 여성적 언행에 대한 규제 = 43 2. 비만상담실 운영이 여학생 외모에 미치는 영향 = 46 3. 과학화된 성별담론 = 49 Ⅳ. 여학생 정체성의 구성 = 52 A. 여성성/남성성의 대립으로서 여성성 의미 = 53 1. 여성성 부정의 과정 = 53 2. 남성성 수용의 과정 = 57 (1) 남성성의 수용 = 57 (2) 남성성 수용 과정에서 갈등 = 59 B.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여성성 = 61 1. 여성성이 긍정화되는 맥락 = 62 (1) 또래집단과의 관계에서 = 62 (2) 가족관계를 통해서 = 64 2. 관계지향성과 학업성취간의 갈등 = 66 C. 전략으로서 여성성 = 68 1. 현실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여성성 = 69 2. 경합, 저항의 표현으로서 여성성 사용 = 71 Ⅳ. 결론 = 76 참고자료 = 81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943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현장-
dc.subject여학생-
dc.subject성별화-
dc.subject정체성구성-
dc.title교육현장에서 여학생의 성별화 과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체성 구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Girls identity in school-
dc.format.pagev, 9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