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미-
dc.creator김현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6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Gan-yi Choi lib(簡易 催립)'s literatual character and consciousness through his Sahang(使行) poetry. To see Gan-yi's literary works, that have representative aspects in Mid-Chosun literature, can let us know the phase of that period's literature. The reason of choosing his Sahang(使行) poetry as a subject is that it has the representative factors. Moreover, the development of his literatual consciousness through Imjin Japanese Invasion(壬辰倭亂: ImNan) can be shown by studying his Sahang poetry. In chapter Ⅱ, I described Gan-yi's lif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Sahang poetry for searching the meaning of Sahang poetry out of his whole literary works. The fact that his whole poetry is arranged in chronical order is a proof that his life as a civil servant is closely related to his poetry. And we can see his 4 Sahang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ves in his life as a poet. Among 4 Sahangs, the first half is in pre-Im Nan period and the second half is in post-Im Nan era. The Sahang situations like that represent medieval period character and post-ImNan period character. In chapter Ⅲ, I analyzed his Sahang poetry which in 4 poet books. First of all, I divided them into 2 parts, that is, two books written in pre-Im Nan era and two books written in post-Im Nan, for it seems to show the change of poetry's meaning. After that, I regulate the composite characters of his Sahang poetry by viewing them in terms of poetry's meanings mainly. In terms of poetry's meaning, the main meaning of poetry has changed. In pre-ImNan period, the factors of main meaning are emphasis of loyalty and filial piety(忠孝), concentration on Chu-Hui's Confucian thought(朱子學), and recognition about Ming(明)'s capital(皇京) as a symbol of civilization. That focus moved to the discovery of "Chun"(天) concept as a being that solve every problem on the world, and literary awakening through literatual companionship with his comrades. As the form of writing poets, he used to use Cha-woon(次韻) and Chub-woon(疊韻), that is, a sort of borrowing other's rhyme. And he used Yong-sa(用事) frequently when he express his own feeling and thought on poets. In chapter Ⅳ, I elucidated his consciousness that are in his Sahang poetry. There are 2 types of that. One is continuous consciousness, the other is a consciousness that gradually changed by going through Im Nan. His continuous consciousness is "Self-awareness as Shin(臣)", and it continues in 4 poet books of Sahang poets. Consciousness-changing aspects in Gan-yi Sahang poetry can be found in the disruption of viewpoint to Ming(明) and the division of his thought's basis. The former is especially expressed in a series of poets that present savage's invasion in Yo-yang(遼陽), Ming's territory. In them, Ming's weakness is revealed. And Gan-yi do not try to cover that in a his post-Im Nan's poet. This thing is a proof that disruption of viewpoint to Ming ; traditional image as a dominator of the world still remain ostensibly, but little bit changed image as an incapable spring from him internally. The latter can be extracted from his poet's words about "Chun"(天). In his poetry, Chun is so personal and willing to respond every major problems. The concept of Chun like that is not a pure factor of Chu-Hui's Confucian thought(朱子學), but the concept that be regarded as precious idea by Early-Chosun's school of civil minister such as Kwon-Kun (권근), Byun-Gyeryang(변계량). Then we can see that Gan-yi try to restore the tradition of Kwangak moonin(관각문인)'s thought, being on the basis of Sarim(士林)‘s Chu-Hui 's Confucian thought(朱子學) mode. In chapter Ⅴ, I tried to explain his status in literary history with the results of former chapters's studies. The way of explaining is also divided into 2 parts. Above all, I described it in terms of Sahang poetry to Ming, as a literary tradition of civil minister. Compared to former generation civil minister's Sahang poetry, his poets have many factors that show his own character on the basis of civil minister's literary tradition. That is, self-awareness that cause the spirit of "Kyongse Boguk''(經世輔國) on the basis of acceptance of concentration on Ming(明)'s capital(皇京) and using historical Gosa(古事) as his expressional character. After that, I could explain Gan-yi's status on literary history as a poet who has the spirit of civil minister's literary tradition, and that were shown in 2 poet books written in post-ImNan especially. For Gan-yi, Sahang is a chance that can cause reperception of "Chun"(天) and realization of literature's importance as a mission of civil servant. He overcame the existing point of view that civil minister's literary mission is to decorate national affairs with merely gorgeous rhetoric. Then he corresponded to the situation he met with a faith that his literary works can save him and his nation from the chaotic condition like ImNan. I think it as a character of late 16-early 17 century's Kwangak moonin(관각문인). And that aspect continued to literature of Han-moon Sadaega,(漢文四大家) through relationship with Shin-Hum.(申欽) and giving him a literary influence during Gan-yi's 4th Sahang.;본고는 조선 중기 대표적 문인인 簡易 최립(1539-1612)의 사행시를 통해 드러나는 문학적 특징과 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립의 문학세계를 연구함으로써 조선 중기 문학 양상을 볼 수 있거니와,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변환을 겪으며 드러나는 한 작가의 의식 전개와 그로 인한 문학적 변모를 고찰하기 위해 사행시를 연구 대상으로 선택했다. Ⅱ장에서는 최립의 사행시가 그의 문학과 삶 전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그 생애와 사행의 배경을 알아보았다. 문집에 수록된 작품들이 시대순으로 나열되어 있어 그의 시세계가 자신의 삶과 밀접히 관계되어 있음을 밝혔다. 최립은 모두 4차례에 걸친 사행을 다녀 왔는 바, 정축, 신사년 처음 두 차례의 사행은 임진난 이전이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사행은 임진난 중이어서 사행 상황 자체가 각기 중세적 특징과 난을 겪으면서의 변화를 대표하는 것임을 살폈다. Ⅲ장에서는 4개의 행록들에 있는 실제 작품들을 분석했다. 시의상 변화를 보인다고 생각되는 임진란 전의 행록들과 임란 후의 행록들을 나누어서, 전체적인 시작품을 분석하고 전체적 시의를 살펴 사행시들의 종합적인 특성을 정리하였다. 시의 면에서는 임란 전에는 충효의 강조와 주자학에의 경도, 문화 상징으로서의 황경 인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임란 후에는 모든 상황을 해결하는 존재로 '天'을 드러내며 동행과의 교유를 통한 문학적인 자각을 하는 것으로 주된 시의가 옮겨졌다. 또한 詩作 형태의 특징으로서 그의 次韻과 疊韻, 표현적 특징으로 나타난 빈번한 用事를 정리하여 그 의미를 살폈다. Ⅳ장에서는 간이의 의식세계를 다루었다. 사행시에서 주되게 드러나는 의식은 지속적인 것과, 임란 후 점진적인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사행시에서 드러나는 간이의 의식은, 臣 으로서의 자기 인식이며 이것은 네 개의 행록 속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진다. 사행시상의 의식 변화 양상은 주로 임란을 전후한 간이의 對明觀과 사상 기반의 분화에서 볼 수 있다. 明땅인 요양에서 호적이 침입하는 것을 읊은 시에서 나타난 대명관의 변화는, 천하를 지배한 천자의 나라 明이 이제 胡賊에 시달리는 연약한 피해자로 자각된 모습을 숨기지 않았다는 것과 그에 따른 조선의 혼란상을 환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간이가 표면적인 신뢰와 이면적인 인식의 분열상을 제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임란 후 조선에 닥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절대자적 존재로 간이가 주목한 것은 천자국 明 이라기보다는 '天' 이었는데, 인격적이고 의지적인 주재자로서의 天은 순수히 주자학적인 성격이 아니라 선초 변계량, 권근 등 관학파에 의해 중시된 생각이었다. 이를 통해 16세기의 전체적 시류였던 사림의 도학적 기반 위에서 임란 후에 본격적으로 관각문인적 사상전통을 복구시키려 했다. 간이의 문학적 역할이 나타난 V장에서는 앞서 고찰한 시적 특성과 작가의식의 양상을 통하여 簡易가 점하고 있는 문학사적 위상을 설명하려 했다. 우선 對明使行時의 전통 속에서 간이의 사행시가 갖는 의미를 고찰한 후 그를 통해 볼 수 있는 간이의 문학사적 위상을 살폈다. 鮮初부터 이른바 외교시로서 창작 될 수 있었던 대명사행시는 '관각문인'으로 불릴 수 있는 담당층의 성격을 잘 볼 수 있는 자료였고, 일종의 전통적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보였다. 대명사행시의 초기적 자료인 권근, 이승소, 소세양의 작품과 비교해 보면, 시기적으로 이 세 문인의 이후 사행을 갔던 간이의 사행시는 대체로 이러한 전통을 무리 없이 수용하면서도 그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여주어, 京師에 대한 관심의 집중이나 역사 고사를 많이 사용하는 표현적 특징을 수용하고 바로 전대의 특징인 애상적인 사행시를 저술하면서도 經世輔國의 정신을 표출하는 자기인식을 보여 준다. 이상의 사행시를 통해 나타난 간이문학의 문학사적인 의의는 주로 간이의 관료문인성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임란 이후의 두 행록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지거니와, 사행은 간이에게 한편으로 16세기 전반부터 축적되어 온 시대적 분위기인 '理學的 소양의 강조'에 따라 성리학을 근원으로 한 正學 의지를 지속시켜주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天 에 대한 재인식과 관료 문인의 주임무인 '글'에 대한 중요성을 각인하는 계기가 된다. 단순히 사장을 가지고 '華國' 하겠다는 입장을 넘어서서, 간이는 국가와 개인의 존망을 좌우하는 혼란의 현실을 글로써 안정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현실에 대한 문학적 대응을 했다고 파악된다. 이는 이 시기의 관료문인이 가질 수 있었던 특징이라고 생각되며, 갑오행록에서는 구체적으로 신흠에게 문학적인 영향을 주면서 후대 관각적 문학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문 사대가의 문학적 노선과 이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목차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사 정리 = 4 Ⅱ. 간이의 생애와 사행시 저작 배경 = 8 A. 생애와 교유관계 = 8 B. 사행시 저작 배경 = 17 Ⅲ. 사행시의 내용과 특성 = 21 A. 임란 이전의 사행시 = 21 1. 丁丑行錄-충효의 강조와 주자학으로의 경도 = 21 2. 辛巳行錄-문명 상징으로서의 皇京 = 33 B. 임란 이후의 사행시 = 41 1. 發巳行錄-관학파적 天觀의 제시 = 41 2. 甲午行錄-신흠과의 시적 교유와 문학적 자각 = 49 C. 사행시의 종합적 특성 = 65 Ⅳ. 사행시에 드러난 작가의식 = 73 A. 작가의식의 기저 = 73 B. 작가의식의 변모양상 = 80 Ⅴ. 문학사적 의의 = 90 A. 최립 使行詩의 史的 의의 = 90 B. 최립의 문학사적 위상 = 96 Ⅵ. 결론 = 101 참고문헌 = 105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080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최립-
dc.subject사행시-
dc.subject작가의식-
dc.subject간이 최립-
dc.title簡易 최립의 使行詩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ahang(使行) Poetry of choi Lib(최립)-
dc.format.pageii, 11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