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염산프로프라놀롤의 대사에 미치는 디메톡시비페닐모노카르복실레이트염산염의 영향

Title
염산프로프라놀롤의 대사에 미치는 디메톡시비페닐모노카르복실레이트염산염의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2-methylaminoethy1-4,4'-dimethoxy-5,5'-dimethylenedioxybipheny1-2-carboxylic acid-2'-carboxylate monohydrochloride on the metabolism of Propranolol·HCI
Authors
李侑美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약학과
Keywords
염산프로프라놀롤대사디메톡시비페닐모노카르복실레이트염산염PPH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effect of 2-methylaminoethyl-4,4'-dimethoxy-5,5'-dimethylenedioxybipheny1-2-carboxylic acid-2'-carboxylate monohydrochloride (DDB-S) on the metabolism of propranolol · HCl(PPH) was investigated following an intravenous(ⅳ) and oral administration of PPH in rats pretreated with 6 consecutive dail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DDB-S(20㎎/Kg).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PPH(20㎎/Kg) in normal rat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ecrease in t_(1/2)(134.03 vs 158.50 min) and AUC (168.02 vs 331.45 ㎍·min/mL) an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Cl_(t)(121.27 vs 61.13 mL/min/Kg). After ⅳ administration of PPH(3㎎/Kg) in the rats insulted with carbon tetrachloride(CCl_(4)), there were the significant decrease in t_(1/2) (171.62 vs 199.75 min) and AUC (122.77 vs 184.35 ,㎍·min/mL) an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Cl_(t)(25.03 vs 16.61 mL/min/Kg).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PPH(20㎎/Kg) in the rats insulted with carbon tetrachloride(CCl_(4)), there were the sigruficant decrease in t_(1/2) (66.93 vs 162.47 min) and AUC (432.77 vs 1204.69 ㎍·min/mL) an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Cl_(t)(46.28 vs 16.65 mL/min/K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abolism of PPH increases by pretreatment with DDB-S. The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DDB-S in CCl_(4)-intoxicated rats was investigated. DDB-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levation of serum transaminase(ALT, AST) on CCl_(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And serum albumin and total protein were increased, not significant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DB-S is an active agent in protection against chemical hepatic injury.;염산프로프라놀롤(이하 PPH의 대사에 미치는 디메톡시비페닐모노카르복실레이트염산염(이하 DDB-S)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DDB-S로 전처리한 정상쥐와 간장해쥐에 PHH를 정맥주사 및 경구 투여한 후 혈장 중 농도를 정량하여 대조군과 약물속도론적 파라미터를 비교검토 하였다. 그리고 사염화탄소로 간장해를 유발시킨 쥐에서 DDB-S의 간보호작용을 검토하였다. 흰쥐를 증류수+olive oil 투여군(Ⅰ군) DDB-S+olive oil 투여군(Ⅱ군), 증류수+CC1_(4) 투여군(Ⅲ군) 및 DDB-S+CC1_(4) 투여군(Ⅳ군)의 네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정상쥐에서 DDB-S를 전처리한 Ⅱ군에 대한 PPH의 정맥주사시 생물학적 반감기(t_(1/2))와 AUC 및 total body clearance(C1_(t))는 대조군(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PPH의 경구투여시 Ⅱ군의 t_(1/2)와 AUC는 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C1_(t)는 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간장해쥐에서 DDB-S를 전처리한 Ⅳ군에 PPH 정맥주사시 t_(1/2)과 AUC는 CC1_(4) 투여군(Ⅲ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C1_(4)는 Ⅲ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PPH 경구투여시 t_(1/2)와 AUC는 Ⅲ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C1_(t)는 Ⅲ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DB-S는 PPH의 대사를 촉진시키며 간장해로 인한 간 혈류량 및 간고유대사능의 저하를 회복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간장해쥐에서의 간보호작용을 검토한 결과 간무게, 혈청 ALT치 및 AST치가 대조군(CC1_(4)+증류수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 혈청 albumin과 total protein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