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尹英牙-
dc.creator尹英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9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3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38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의는 고려속요의 운율 연구의 타당성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개별작품에 대한 면밀한 검증없이 어느 한 음보나 통계적 결과에 매달려 속요의 운율체계를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속요에 나타나는 다양한 운율 현상을 설명하는데 한계점을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속요 특유의 운율적 특성을 밝히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의는 형식적 장치인 운율 분석을 통하여 속요의 운율적 특성과 미적 효과를 규명하여 속요라는 시가 장르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속요의 운율 분석을 위한 접근 방식으로 형태적인 면에서는 단련체 속요와 연장체 속요로 분류하고, 여음, 탄사, 반복 등을 해체한 속요의 원형과 이것들이 삽입된 현상적 운율 분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인 13편의 속요작품들에 대한 운율 분석의 결과 2음보와 3음보가 그 기저를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비언어적 변주를 거치면서 3음보와 4음모로의 교체실현이 우세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속요 자체의 변주요인에 의하여 층량보격이 재편되어 무거운 음보로 분절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속요의 원형에서는 4음보의 출현이 미약하지만 현상적 운율 형태에서는 4음보가 속요의 운율 현상의 표면에 드러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운율적 특성의 기본적 공통성은 속요의 모든 작품이 동량음보로 구성된 경우가 드물며, 이종음보의 교체실현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속요의 운율적 특성은 운율적 질서화는 이루지 못하고 있으나 다양한 운율 현상이 일정한 방향성을 지니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속요의 변주요소는 속요라는 시가 장르의 생성 배경과 관련하여 음악적 간여의 산물인 여음, 탄사, 반복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속요의 본사와 결합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하면서 미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이 포함되었을 경우인 현상적 운율을 중심으로 그 변주의 미적 효과를 살펴보면 우선 동적 리듬의 표출을 들 수 있다. 속요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생동감은 3음보가 기저운율을 형성하고 있는 속요의 운율 구성상의 특성에 기인한다. 동적이고 직정적 감정 표현에 적합한 3보격의 속성은 속요의 기저 운율로서 작용하면서 동적인 리듬감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음보 교체실현은 어느 한 음보로 일관되면서 생성되는 리듬의 관성을 거부하고 긴장과 대립을 통하여 미적 효과를 일으킨다. 이러한 긴장과 대립은 변화감을 조성하여 속요의 운율을 더울 생동감있게 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속요의 운율 현상은 정서적 환기를 중심으로 표출되고 있다. 정서를 모순된 충동에 대한 반응으로 곧 갈등의 문제로 본다면 속요의 작품들은 크게 종결 구조와 순환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서적 종결 구조는 시적 안정성을 지향하면서 시상의 통합의 표지로서 운율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정서적 순환구조를 지니고 있는 작품들은 갈등의 지속을 운율의 변이를 통하여 불안정성을 내포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처럼 속요의 운율 현상은 정서적 흐름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운율이 정서적 표출을 촉발하거나 완결하는 표지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속요의 탁월한 언어미와 운율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양한 음보의 실현에서 오는 전체적 운율의 불안정성을 여음과 같은 변주요소의 도입을 통하여 극복하고자 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설음과 모음의 결합을 통하여 동적이고 유연한 운율미를 생성하고 있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서 생성되는 음상은 불안정한 운율 형태를 보완하면서 운율적 흐름의 자연스러움을 조성한다. 또한 속요 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병렬은 어휘의 반복에서부터 통사적 병렬구조, 의미적 병렬 등의 다양한 구성 원리를 통하여 운율에 생명감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병렬은 속요의 장르적 특성으로 운율을 시각화하는 율문 표출의 효과와 아울러 언어미의 극대화를 통하여 운율미를 강화하는 시적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속요의 운율은 기층을 담당하고 있는 민요에서 2음보와 3음보를 수용 변형하면서 신라 향가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당대의 공존 시가 장르인 경기체가와의 상호 교섭을 통하여 나타난 것이 4음보이며 이것은 3음보의 시가에서 4음보로 이행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 과정 속에서 형성된 운율은 시조로 연계되어 4음보 운율의 정형성을 지닌 정형시가가 등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우리 시가의 운율사는 고려 속요가 전대 시가의 운율을 수응, 변형하여 후대의 시가로 나아가는 교량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외래 운율의 수용으로 인식되어온 층량보격이 이미 고려속요에 나자나고 있는 점은 층량보격의 전통의 연원을 확인하고 층량보격이 외래의 운율이 아닌 우리 시가 고유의 운율 양식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속요에 나타나는 다양한 운율 현상은 생동감을 생성하고 일관된 리듬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거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고려의 자유로운 시대적 반영임과 동시에 당대인들의 폭넓은 운율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형성에 대한 기대를 과감히 져버림으로써 보다 자유롭고 솔직한 정서를 표출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운율이라는 형식적 장치를 통하여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려속요의 운율 현상의 다양성은 그 자체가 미적 효과의 발생지이며 율문에 대한 당대인의 의식의 투영물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장의 논의를 종합하면 속요의 운율 현상은 운율적 질서화라는 명제보다는 그 현상적 다양성을 인정하는 위에서 그것들이 창출하는 미적 가치를 고구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를 바탕으로 속요의 운율적 특성과 변주를 통하여 드러나는 미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복합적인 운율 현상은 동적 리듬과 정서적 환기라는 미적 효과를 중심으로 여음, 탄사, 반복 등과 같은 요소를 통하여 운율의 시적 효과를 강화하고 있다. 운율적 생동감은 고려속요의 정서와 조응하여 시적 의미를 극대화하고 부대적 장치와의 조화를 통해서 속요만의 율동미를 생성하고 있는 것이다.;This study is substantially originated from question about the validity of existing approach to meter on Koryo˘ Sok Yo(고려속요). The existing theses on this field have tried to formulate a system of meter on the basis of making only a restrictive study of its meter, or marshalling statistical figures without so much as close verification to its works. Such theses are not only deficient in explaining variant phenomena of meter, but also difficult to find out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is to validate identity of Koryo˘ Sok Yo as a genre of poetry, making clear rhythmic characteristic and aesthetic effect of Koryo˘ Sok Yo by analyzing meter as a formative description. This approach was classified into two parts on formative description; consisted of nonstaza and stanza. Content analysis was divided into prototype excluding refrain, interjection, repetition, and phenomenal meter including these interpolation. In consequence of analyzing meter on 13 works of Koryo˘ Sok Yo, 2 meter and 3 meter were based on works. But by playing the non linguistic variations, 3 meter and 4 meter predominantly appeared in sight to replace 2 meter and 3 meter. Also by variation factor of Koryo˘ Sok Yo itself, Chung Ryang meter(층량보격) constituted of variant mora was reorganized to be refracted into heavy meter. Although 4 meter seldom appears on prototype of Sok Yo, it often becomes visible on formulation of phenomenal meter referring to such rhythmic characteristics. It is common that all works of Sok yo is formulated of meter of not to much the same mora as different mora. This implies that variant phenomena of meter holds its course, while metrical composition doesn't be in good order. Factors playing variation on Sok Yo are considered to be refrain, interjection and repetition, which are products of the musical commitments to Sok Yo as a genre of poetry. These factors fulfill their function in combination with the rhythmic constitution taking charge of aesthetic function most of all Delivering on aesthetic effect of variation on phenomena of meter including these factors, first of all it is dynamic rhythm. The feeling full of life in Sok Yo is attributed to a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meter on Sok Yo itself, which is based on 3 meter. The properties of 3 meter, suitable for expressing frank and dynamic feelings, are functioned as a basic meter to create feeling of dynamic rhythm. The shift arrangement among the variant meter, rejecting rhythmic inactivity caused by consistent arrangement of a certain me ter gives rise to the aesthetic effect with emotional tension and confrontation arising. This tension and confrontation make up the feeling full of variety so that it is prerequisite to make meter more dynamic. Phenomena of meter on Sok Yo are exposed on awakening of emotion. Supposing that emotion is responding to inconsistent impulses, exactly confrontation, it appears that the works of Sok Yo can be classified into the "ending" constitution and the "circulating" constitution. The former points to poetical stability and shows up phenomena of meter to indicate the integration of poetic imagination. The latter involves in poetic stability caused by varing meter with emotional conflict lasting. In this way, the phenomena of meter interact in close contact with stream of emotion. It is known that meter acts as a indicator to touch up and decide emotional expression. Excellent aesthetic language and meter interact each other in close complementary cooperation. Rhytimic instability caused by varying meter can be get rid of by introducing varied factor as mora. It become flexible and dynamic mostly by integrating the consonant and vowel. The configuration of sound created by integration of the consonant and vowel make up for instable formation of meter to compose stream of meter unartifically. Also the arrangement used on overall Sok Yo provides meter with feeling full of life and its stability. At the sametime, it has an effect on giving weight to the meaning. The reason is because it has varied principle as repetition of vocabulary arrangement of integrating words, arrangement of the meaning, etc. The arrangement as a characteristic of Sok Yo genre has an effect on expressing clause visualizing meter and strengthening aesthetic meter through maximizing aesthetic language. Meter on sok Yo accepted 2 meter and 3 meter originally from folk song, which gained a footing in Sok Yo, and was modified. It inherited tradition of Hyang ga(향가) from Silla dynasty(신라). And it created constitution of 4 meter in mutual negotiations with Kyunggichega(경기체가), a genre of poetry coexistent at that time. This showed the prosess transforming 3 meter into 4 meter. It this complex transfer the newly formulated meter get connected to Shijo(시조). Eventually a prototype of poetry that preserved the identity constituted of 4 meter. This historical background of meter on poetry revealed that the Koryo˘ Sok Yo played a bridge role for transforming meter of the earlier poetry into the later meter. Also the fact that the Chu˘ng Ryang meter(측량보격) known to be brought in from outside already came in sight in Koryo˘ Sok Yo verified its traditional origin. It didn't came from outside, but was our own pattern. The phenomena of variant metere create the feeling full of life, rejecting the monotony caused by consistent rhythm. This not only reflects th e liberal phases of that time in Koryo˘, but manifests the extensive consciosness of meter. People at that time frankly expressed their liberal emotion, giving up boldly the expectation to a prototype of poetry. This was materialized with formal descriptions of meter. It seems that the variety of phenomena of meter is source to express the aesthetic effect and a reflection of consciousness of meter. Summarizing thesis mentional above, the approach to meter on Sok Yo concentrated only upon its system.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 phenomenal variety of meter. The approach is desirable to study aesthetic value of variant meter throughly. In this respect, this thesis studied aesthetic effect of' meter come out by rhythmic characteristics itself and variation. Complex phenomena of meter reinforce poetrie effect of meter by factors as refrain,' interjection and repetition, displaying aesthetic effect which means dynamic rhythm and awakening of emotion. The feeling full of life of meter maximizes the poetic meanings in response to emotions on Koryo˘ Sok Yo and create unique rhythmical beauty of Sok Yo in harmony with accessory system of Sok Y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A. 기존 논의의 검토 = 1 B. 연구 목적과 방향 = 6 Ⅱ. 자료양상과 접근방식 = 10 A. 문헌자료의 검토 = 10 B. 분석방법 = 16 Ⅲ. 개별 작품의 운율 현상 = 26 A. 단련체 속요의 운율 분석 = 26 1. 維鳩曲 = 26 2. 相杵歌 = 28 3. 思母曲 = 30 4. 鄭瓜亭 = 33 5. 履霜曲 = 36 B. 연장체 속요의 운율 현상 = 40 1. 井邑詞 = 40 2. 가시리 = 44 3. 鄭石歌 = 48 4. 西京別曲 = 55 5. 靑山別曲 = 60 6. 雙花店 = 66 7. 滿殿春 = 70 8. 動動 = 75 Ⅳ. 고려속요의 운율적 특성 = 83 A. 전반적 운율 현상 = 83 B. 운율적 특성 = 92 1. 운율적 층위의 이중성 = 92 2. 음보 교체 실현 = 98 3. 층량보격의 재편화 = 100 4. 4음보의 표면화 = 104 Ⅴ. 운율적 변주의 미적 효과와 운율사적 의의 = 109 A. 운율적 변주의 미적 효과 = 109 1. 변주요소의 미적 기능 = 109 2. 非靜的 리듬 중심의 율문 표출 = 121 3. 정서환기 중심의 율문 표출 = 128 4. 언어미적 효과의 극대화 = 137 B. 고려속요의 운율사적 의의 = 143 Ⅳ. 결론 = 149 참고문헌 = 152 ABSTRACT = 1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014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려속요-
dc.subject운율-
dc.subjectRhythmics-
dc.title고려속요의 운율적 특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hythmics in Kory? Sok Yo-
dc.format.pageiii, 15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