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高銀花-
dc.creator高銀花-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3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384-
dc.description.abstract1970년대에 사실주의에 반하는 여러 실험적인 연극들이 본격적으로 무대에 올려질 무렵 등장한 이강백은 '가상적 공간'에 '우의적 상황'을 설정하여 극의 의미를 전달하는 새로운 연극형식을 선보였다. 시대를 뛰어넘는 보편성과 함께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 검열을 피할 수 있는 문학형식으로 알레고리를 택한 이강백은 작품 속에 정치, 사회적인 문제를 구체적이고 날카롭게 조명하여 시대적인 관심을 드러내고 있으며, 동시에 인간 실존의 내면에 관한 문제에 천착해 들어감으로써 인간과 세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작품 속에 구현하고 있다. 본고는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특성을 소재, 주제, 기법적인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그가 갖는 희곡사적 의의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희곡의 소재상에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의 희곡은 알레고리라는 독특한 형식을 통해 구현되기에 표면적 구조와 내면적 구조라는 이중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표면적이고 비유적인 이야기 구조를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서구작품과 설화에서 차용하여 작품 속에 형상화하고 있다. 서구작품에서는 이야기 구조와 내용, 기법적인 요소를 작품 속에 수용하고 있으며, 설화에서는 설화 세계가 갖는 교훈적인 요소나 세계관을 수용하여 작품의 주제와 연결시키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차용은 관객에게 표면적으로 나타난 극의 줄거리를 즐기면서 익숙한 극의 줄거리를 통해 무대 위에서 보여지는 작품의 이면에 갖고 있는 작가적 의도를 찾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Ⅲ장에서는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주제의 이중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재의 차용으로 인해 그의 작품은 두개의 의미구조를 갖게 되는데 정치, 사회적인 문제와 같이 당대 민감한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시대적인 내용과 인간 존재의 내면에 관한 내용이 그것이다. 이 두 세계의 여러 모습들을 한 작품 속에 형상화함으로써 인간과 세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작품 속에서 드러내고 있다. 특히 그는 인간 내면과 관련된 주제에서 절망하고 파멸하는 인간의 모습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개인' 이라는 존재를 부각시켜 변모하는 인간을 보여줌으로써 개인이 지니고 있는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이는 그의 희곡이 비관적 세계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기존의 평가에서 벗어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실마리로 작용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기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강백은 그의 관념적이고 비교적 단순한 극 구조에 다양한 기법들을 수용함으로써 연극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서술적 화자는 극과 현실 사이를 오가며 사건진행을 용이하게 하면서 극적환상을 파괴하여 현실의 모순된 모습을 관객이 인식하게 만든다. 또한 극의 의미를 부각시켜 관객으로 하여금 작가적 의도를 깨닫게 하며 나뉘어지지 않은 극의 내용을 분할시키는 장면 전환 역할도 하고 있다. 희곡에 많이 등장하는 노래는 관객에게 극에 대한 정보를 예시해 주고, 대사로 전달되지 않는 내면 감정의 추이를 드러냄으로써 극의 내용을 정서적으로 심화, 순화시켜 주제전달을 훨씬 용이하게 하고 있다. 과거와 현재, 허구내적 체계와 허구외적 체계의 동시진행을 갖는 시공간의 겹침은 자유로운 시공간의 넘나듬으로 기존의 사실주의를 벗어나 극에 다채로움을 주고 연극 무대 공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극의 의미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추상화되고 관념적인 극에 다채로움을 첨가하여 극적재미를 부여하고 있다. Ⅴ장에서는 이강백 희곡이 갖는 의의와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강백은 알레고리라는 독특한 문학형식으로 시대를 초월한 보편성을 획득하고 여러 가지 연극적 시도를 통해 극의 다양성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소재 차용 과정에서 고정관념을 탈피하지 못함으로써 창조적 변용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 기존의 알레고리 형식이 갖는 극의 도식성, 지나친 관념과 작가의식의 노출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이강백은 그의 독특한 문학형식으로 관객에게 주제를 찾아가는 극적 묘미를 제공하고 여러가지 기법적인 시도를 통해 다양한 연극적 체험을 부여함으로써 그의 희곡 모두가 실연되는 강한 공연성을 갖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Lee Kang-Baek, who made his debut as a playwriter in 1970s, showed a new style of play that presents messages by assignment of allegory into anti-realistic space. With a keen satire for politic, social and realistic situations, he has tried to depict a substantial recognition of human as well as a phases of the times in his play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theme, and methodology in Lee's works. As a characteristic of source in Lee's play, he took source from the Western and narrative literatures. That is, episodic structures and contents of the Western literature, and instruction and a view of the world in the narrative literatures are used to present the themes of the plays. Dualism of the theme is another distinct characteristic in his plays. The borrowing of sources has two kinds of meaning structures. The one represents a phase of the times including politic and social situations, and the other illuminats a substantial recognition of human being. Lee would present a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being and external situation with various features combined with these structures resolved in his works. Prescriptive narrators, role of song and folding effect of time and space reinforce the meaning of the plays as the characteristics of methodology in Lee's plays. These elements that give variety to an abstract and conceptional play make his plays be more interest and offers keen satire. Lee Kang-baek's plays has universality by means of their distinct literary style, "allegory" and provides entertainment of viewing to spectators through various dramatic attempt. As all of his works have played in the stage, strong perfomability of his works must be obtained high val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Ⅱ.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소재의 특성 = 6 A. 서구 작품의 수용 양상 = 6 B. 설화의 수용 양상 = 23 Ⅲ.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주제의 이중성 = 41 A. 외적상황과 인간의 실존 = 42 B. 분단 이데올로기와 개인의식 = 63 C. 소유지향적 세계와 화해적 모색 = 71 Ⅳ. 이강백 희곡의 기법적 특성 = 82 A. 서술적 화자의 기능 = 82 B. 노래의 역할 = 95 C. 시공간의 겹침효과 = 103 Ⅴ. 이강백 희곡의 의의와 한계 = 111 Ⅵ. 결론 = 116 참고 문헌 = 119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483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강백-
dc.subject희곡-
dc.subjectLee, Kang-Bae-
dc.title이강백 희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Lee, Kang-Baek's Plays-
dc.format.pageiii, 12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