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영이-
dc.creator나영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고, 집단토의에서 유아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의 반응이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를 해나가는 과정속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문화기술적(ethnographic)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5세 유아들의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2.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에서 유아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3.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를 통해 유아들은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병설유치원 내 5세반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의 유아 33명과 교사 1명이었다. 1997년 6월 17일부터 1997년 11월 19일 동안에 총 33회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집단토의 수업상황을 녹음하였고, 현장약기(field jottings)와 현장기록(field records)을 작성하였다. 또한 교사와 이루어진 12회의 면담도 전사본을 만들어 자료화하였다. 학급 운영에 관련된 문헌 수집은 관찰 기간동안 지속되었다 수집된 사례는 Bogdan과 Biklen(199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한 뒤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이 집단토의를 해나가는 과정을 보면, 유아들은 먼저 그림자료에 나타난 상황에 대해 여러 가지로 추측한 다음, 협의를 통해 하나의 도덕적 갈등상황에 동의하였다. 그리고 그림자료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상황이나 입장에 대해 다양하게 생각해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이나 다른 사람의 경험을 연관시켜 사고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단토의의 마무리과정에서는 도덕적 갈등상황의 해결책을 다각도로 제시하였으며 그와 관련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약속도 정하였다. 둘째, 유아들의 집단토의에서의 역할을 보면 극작가, 회의 참가자, 변호인·배심원과 같은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에서 유아들은 그림자료를 소재로 각색화 작업을 하는 극작가와 같은 역할, 다른 참가자들의 의견을 지지하고 다른 의견에 영향을 주고받는 적극적인 회의 참가자로서의 역할, 타인의 입장과 상황을 이해하고 변호하는 변호인·사회정의를 위해 공정한 판단을 내리는 배심원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햇살반 유아들은 타인의 입장에 서서 이야기하였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였으며, 타인의 입장을 배려할 줄 알았다. 또한 유아들은 도덕적 판단력을 발휘하여 객관적 판단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유아들의 집단토의에서의 변화과정을 보면, 유아들은 점차적으로 집단토의에 적응해나갔으며, 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를 통해 사고가 깊어지게 되었다. 즉, 처음에는 집단토의에서의 말하기나 듣기에 익숙하지 못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교사의 인내와 노력, 집단토의 상황에 친숙해짐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이 점점 향상되었으며 점차 토의의 흐름도 알게되어 갈등상황을 스스로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반복되는 집단토의 과정을 통해 타인의 입장을 생각해주는 것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고, 이는 내면화되어 그들의 사고를 더욱 깊어지게 하였으며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도덕적 갈등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적용시킬 수 있었다.;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in detail what five-year-old children who take part in a group discussion designed to cultivate morality do, and examine what kinds of roles they assume within the discussion.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applied in order to analyse how the five-year-old children's reactions altered throughout the group discussion for morality cultiva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es a group discussion of five-year-old children designed for morality cultivation proceed? 2. What kinds of roles do the children assume in a group discussion designed for morality cultivation? 3. Throughout the morality-cultivating group discussion, what kind of changes do the children undergo?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a class of five-year-old children, within an annex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Subjects selected for the study were 33 children and 1 teac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20 participating observations, during a period from June 17, 1997 to November 19, 1997. The state of the class in group discussion was tape recorded. Field jottings and field records were also made. In addition, interviews with the teacher, 12 in all, were also duplicated and materialized. Document collection concerning class management lasted throughout the observation. Collected cases were encoded and placed under appropriate categories according to Bodgan and Biklen's presentation(l992)' and were afterwards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out the course of group discussion, children made various suggestions concerning situations which appeared on pictural materials. Afterwards, through mutual discussion, they agreed upon a cetain situation of moral conflict. The children tended to consider the circumstances or standpoints of the picture's characters, and in the course they often thought over their own experiences in connection with other's experiences. In accord, they presented diverse solutions, for the troubled situation, and also decided on promises for everyday life. Second, the children appeared to take up roles as a playwright, a discussion participant, and a lawyer or the jury. In other words, within the course of group discussion they assumed the role of a playwright who dramatizes contexts using pictural sources as his/her material, or the role of a mature discussion participant, supporting other participant's opinions and exchanging influence with them. They also played the role of a lawyer who helps understand and defense other people's standpoints or circumstances, or the role of the jury who make impartial judgements for the sake of social justice. In this procession the children of Sun class spoke up from other children's points of views, accepted other's opinions, and gave sincere consideration to other's standpoints. The children also demonstrated good moral judgment, judging situations with an objective view. Third, the children gradually adapted themselves to the group discussion designed for morality cultivation, and their process of thought also deepened by degrees. In the beginning they had difficulty of communication, being unfamiliar with the situa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within a group discussion. But with the help of the teacher's patience and endeavor, their feeling of familiarity and the capacity for communication increased. Being able to catch a sense of where the discussion was flowing to, they could also propose situations of conflict themselves. And as the discussions reiterated, they learned the importance of thinking from other's views. This experience internalized, the children's thoughts deepened further, and they were able to actually apply it to morally conflicting situations which occur in their everyday l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 4 C.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도덕성 개념 및 도덕교육 = 5 B. 집단토의에서의 조망수용 능력 = 15 C. 집단토의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 25 Ⅲ. 연구방법 = 29 A. 문화기술적(Ethnographic) 연구방법 = 29 B. 연구절차 = 30 1. 연구대상 = 30 2. 자료수집 = 34 3. 자료분석 = 38 Ⅳ. 햇살반의 하루일과 및 전형적 집단토의 = 39 A. 하루일과 = 39 B. 전형적 집단토의 = 43 1. 집단토의의 시작 = 43 2. 집단토의의 전개 = 45 3. 집단토의의 마무리 = 48 Ⅴ. 집단토의에서의 유아들의 역할 = 51 A. 극작가 = 51 B. 회의 참가자 = 66 C. 변호인·배심원 = 74 Ⅵ. 집단토의에서의 유아들의 변화 = 84 A. 집단토의에 적응하기 = 84 B. 깊이 사고하기 = 91 Ⅶ. 논의 및 결론 = 96 A. 논의 = 96 B. 결론 및 제언 = 100 참고문헌 = 103 부록 = 110 ABSTRACT =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449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덕성-
dc.subject집단토의-
dc.subject유아-
dc.subject문화기술-
dc.title도덕성 함양을 위한 집단토의에서의 유아들의 역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문화기술적 연구-
dc.title.translated(The) role of children in a group discussion designed for cultivating a sense of morality : an ethnographic study-
dc.format.pagevi, 12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