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3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5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교사 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해 교사 효능감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문헌고찰을 통해 교사 효능감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와 교사의 직무 영역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사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귀인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고 가정함으로써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기존의 입장과는 다르게 설정하였다. 또한 교사효능감은 교과지도, 생활지도, 특별활동지도, 행정업무 및 대인관계(김정휘·고홍화, 1994: 한국교육개발원, 1992)로 나누어지는 교사의 직무에 따라 상호영향을 주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항들은 척도 개발과 구성개념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초등학교 교사 54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는 314명, 구성개념타당도를 보기 위한 연구에서는 2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네 가지 구성요소와 다섯 가지 직무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문항들로 75문항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작성하여 314명의 교사에게 실시한 결과를 가지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크리 검사와 누적분산퍼센트를 본 결과 교사효능감은 귀인을 제외한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효능감 척도는 자신감 28문항, 자기조절효능감 25문항, 과제난이도 선호 10문항의 총6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특별히 구성요소중 귀인에 관한 문항들은 하나의 구성요인으로서 나타나지 않고 여러 요인에 분산되어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3문항들간의 원상관 행렬을 통해 요인간에 낮은 상관이 기대되었기 때문에 사각회전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구성요소들이 직무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하위척도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위 척도에 대해서 2차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직무상의 세목으로 분류가 잘 되지 않았다. 각 하위 척도를 가지고 내적 일치도 계수인 Cronbach의 α를 계산하였고, 문항-총점 상관이 낮은 문항들을 파악하였다. 전체 요인분석에서 측정하고자 한 요인과 다른 요인으로 묶이거나, 요인부하량이 .30 이하인 문항, 문항-총점 상관이 .30보다 낮은 문항의 기준에 따라 예비 교사효능감 척도에서 제거된 문항은 21문항이었다. 42문항으로 구성된 수정된 교사효능감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에서는 수렴타당도를 보기 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함께 사용하여 227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들의 반응을 가지고 전체 요인 분석, 내적 일치도와 문항-총점 상관을 구하였다. 수정된 교사효능감 척도의 요인 분석에서 .30이하의 낮은 부하량을 보이거나 측정하고자 했던 요인과는 다른 요인으로 묶인 문항, 문항-총점 상관이 .30이하의 낮은 상관을 보인 문항을 문항 제거 기준으로 삼았다. 두 척도의 상관 분석에서는 관련성이 높은 척도들은 상관이 높게 나타나서 수렴타당도를 보이고 있으며 관련성이 낮은 척도와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여 변별타당도를 보였다. 따라서 위의 기준에 의해 6문항이 제거된 36문항의 최종 교사효능감 척도를 구성하였다. 교사의 효능감 측정은 학교상황에서의 일반적 수행이나 상황뿐 아니라 특정과제나 상황에 대한 행동에 있어서의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교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유용한 도구라 할 수 있다. 교사효능감의 측정은 교사효능감 수준이 낮은 교사에게 교사효능감 증진 훈련을 실시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교사효능감 증진훈련을 통하여 실질적인 증진이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teacher-efficacy scale. Literature review on preceding research and job analysis of teachers provided the basis for component of the teacher-efficacy construct, which were used as a basis for item construction. Literature review and job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4 subcomponents for teacher efficacy, i.e.,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attribution within 5 job-related areas, i.e., academic, life-discipline, extra-curricular activity,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subjects were 54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nd around Seoul area: 314 for scale development and 227 for construct validation procedure. There were 84 males and 457 females with teaching experience ranging from 1 year to 43 years. The responses of 314 teachers on the 75 preliminary items were analysed.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3 major factors of teacher-efficacy. Attribution subcomponent did not revealed as a separate component, instead, items were spread over other three factors. This pattern revealed again in the analysis of the main study with 42 items which were validated in the preliminary analysis. Final validating procedure resulted 36 final items that would consist teacher-efficacy scale. The scale of teacher-efficacy would make it possible to predict not only specific behaviors but also genenal behaviors in school environments. It would be such a useful tool especially when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teacher. It is expected to be an efficient tool for identifying whether some teachers need to have teacher-efficacy training or not, and whether they would improve after the trai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일반적 자기효능감 = 3 B. 교사 효능감 = 4 C.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 17 D. 교사효능감의 측정 = 18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문항 작성 = 21 C. 자료처리 = 26 Ⅳ. 연구결과 = 34 A. 구성개념 타당도를 위한 척도 분석 = 34 B. 최종 척도 분석 = 41 C. 교사호능감 척도 점수 = 44 Ⅴ. 결론 및 논의 = 46 참고문헌 = 52 부록 = 54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10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사-
dc.subject효능감-
dc.subject척도개발-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초등학교 교사-
dc.title교사 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teacher-efficacy scale development-
dc.format.pageviii, 7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