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진영-
dc.creator최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48-
dc.description.abstract고린도전서 1-4장에는 지혜와 관련한 신학적 개념들이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기존의 역사 비평적 연구들은 이 지혜를 바울 또는 고린도교인들의 사상 체계로서 묘사하고자 해왔다. 특별히 종교사적 접근은 고린도교회에 세 개 내지 네 개의 분파가 존재했다는 가정 아래, 이 지혜의 기원을 그 분파들 중 하나에 돌리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들은 고린도교회 논쟁의 성격을 신학적인 것으로 보고, 그 논쟁 상황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사회학적 연구는 여기서 더 나아가 고린도교회의 논쟁 상황을 사회적 계층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도록 이끌면서, 바울의 독자들에 대한 보다 폭넓은 정보를 제공해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바울 서신이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있지 않으며, 그가 이야기함으로 변화를 불러 일으키기를 원하는 그 청중들에게 설득하고 있다는 사실을 좀더 인식할 필요가 있다. 바울이 '고린도전서'를 썼을 때에는, 그러한 반응을 있게 한 수사학적 상황이 존재한다. 수사학적 상황은 화자(話者)가 대처해야 하는 문제의 긴급성, 청중의 기대와 관련하여 화자가 갖는 부담, 화자가 청중의 행동 또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가하는 압박 등으로 구성된다. 텍스트는 이러한 '수사학적 상황'의 산물이다. 수사학적 연구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고 텍스트에 나타난 문학 전략과 기술들을 분석함으로, 저자의 의도와 저자와 독자 간 의사 소통의 역동성을 밝히고자 한다. 논자는 이러한 수사학적 접근이 고린도전서 1-4장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고 보았다. 수사학적 연구는 바울과 고린도교인들의 논쟁 상황, 그리고 바울의 논증 의도를 더욱 입체적으로 드러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1-4장에서 바울의 논중 의도와 전략들을 분석함으로 수사학적 상황을 재구성하고, 바울 수사학의 효과와 그 해석학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전 수사학 이론에 입각한 방법론 뿐 아니라 현대 수사학이 발전시킨 이론적 체계가 필요했다(Ⅱ장). 고전 핸드북을 근간으로 한 수사학 이론은 주로 고린도전서의 장르를 결정하고 구조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다(Ⅲ장). 반면 현대 수사학을 대표하는 페럴만의 "새로운 수사학"에서 제시된 논증 방법들은 바울의 논증 기술들과 기능들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Ⅳ장). 바울의 논증 의도와 전략들을 통해 재구성될 수 있는 수사학적 상황은 '공동체 분열'이라는 긴급성(exigency)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별히 1-4장에서 바울은 고린도교인들의 "말의 지혜"에 대해 "십자가의 말씀"으로 대응하고 있다. 고린도교인들은 그리스도인이 되면서 지혜와 능력의 풍성함을 경험하였고, 그들의 사회적 정체성이 변화하는 것을 보았다. 이것은 분열의 징후인 자랑과 교만으로 이어졌으며, 여러 가지 공동체적 문제와 윤리적인 문제들을 초래했다. 바울이 그들에게 전했던 케리그마에서 십자가는 그리스도의 영광으로 들어가는 수단에 불과했다. 신령한 자와 완전한 자임을 자처한 그들은, 이미 종말을 선취했고 그리스도의 영광을 이미 누리고 있었다. 하나님의 지혜 그리스도는 그들에게 나타나고 유창한 말로 선포되었다. 이 가운데 가장 지위의 불일치를 많이 경험한 여성들이 가장 열광적으로 행동했을 것이다. 바울은 가급적 여성 예언자들을 직접 지목하는 것을 피한다. 그러나 1-4장에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 바울의 설득 대상으로서 그들의 존재가, 5-7장에서는 우회적으로, 11-14장에서는 보다 직접적으로 부각된다(Ⅴ장). 바울은 고린도교인들의 영적 체험에 근거한 지혜 선언과 자랑의 행태를 강력한 수사학적 효과를 갖는 분열이란 말로 표현하고, 공동체의 일치를 호소함으로 그들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여기서 바울이 말하는 일치는 제각기 갈라진 분파들의 연합일 뿐 아니라, 선언과 실재 사이의 일치이다. 신학과 윤리의 일치이다. 공동체의 덕을 세우는 데서의 일치이다.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바울의 길에 일치하는 것이다. 바울의 유일한 아버지, 다스리는 아버지로서의 권면은 분명 위협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고, 그러한 힘의 수사학은 단견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바울이 공동체의 아버지로서 자신을 본받으라고 한 호소는, 그의 삶과 선포 행위와 선포의 내용이 오직 십자가의 역설에 기초하고 있었기에 정당성을 지니며 오늘날에도 진정한 수사학적 효력을 가진다.;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nstruct the rhetorical situation of 1 Cor 1-4 by using the rhetorical criticism. The 'rhetorical situation' is constituted by the rhtorical exigency to which 1 Cor 1-4 can be understood as a fitting response. While the historical criticism regards the text simply as the story of Paul, the rhetorical criticism that tries to reconstuct the rhetorical situation focuses on the dynamics of communications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as well as the author's intention shown in the text. The rhetorical critic looks foremost for the premises of a text as appeal or argument. The method mainly used i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classical rhetorical theory and "the new rhetoric" of Chai¨m Perelman. In Chapter Two, the history of rhetoric and rhetorical criticism is summarised and both the classical and the modern methods are introduced. In Chapter Three, the classical theory is applied for determination of the genre and the structure of 1 Cor 1-4 which show the argumentative intention of Paul. 1 Cor is classified as the deliverative rhetoric according to the classical rhetorical theory. Paul dissuades the Corinthians from creating dissenssion and persuades them to adopt a future course of action leading to unity. 1 Cor 1.18-4.16 as the first proof section in the rhetorical arrangement reveals that the wisdom proclamation and the boast are shown as a part of divisive behaviors within the Corinthian community. In Chapter Three, the arguments by both the association and the dissociation of Perelman help Paul's argimenatative strategy and techniques to be understood more clearly. Paul's definition of the "word of the cross" as the power of God indicates following argimentative situation. The Corinthians recognized Christ as the wisdom and power of God. But they didn't accept Paul's point of view that God's wisdom and power appears only through the crucified Christ (Qusai-logical argument). Because God's calling Paul had experienced was the calling to the low station, while to the Corithians it was one from the low station. So the Corinthians boasted their excessive wisdom and power and a surge of social identity (Argument based on the structure of reality). Paul needed to dissociate the Corinthians from the human wisdom and power. The cross looks to be foolish and weak apparently, but it is the very wisdom and power (Argument by the dissociation of concepts). Paul adopted the model of the voluntary sacrifice from the choice of God that is, Christ's downward path to the death. Accordingly the Corinthians had to imitate his model and follow his ways in Christ. For this Paul needed to establishing the special authority in the community, which was actualized by applying the analogy of Christ's subordination to Go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orinthians and Paul (Argument that establishes the structure of reality). Chapter Five reconstructs the rhetorical situation through Paul's argumentative intention and strategies. In Paul's sight, the Corinthian church was faced with the serious ungency of division. The Corinthians experienced the excessiveness of the wisdom and the power and saw a change and the surge of social identity. The boasts and haughtiness as the symptom of dissension also followed. And it gave rise to the various communal and ethical problems. The cross of the kerigma which Paul had proclaimed to them was merely the means for the entrance into the glory of Christ. The Corinthians who boasted themselves as the pneumatics and mature already experienced the eschaton and participated in the glory of Christ. Christ, the wisdom of God, was present in thier own hearing and speaking. The women who had exprienced status inconsistency most greatly among them were supposed to have practiced most passionately. Paul described the wisdom claim as a word of "σx□σμ□□α" that had powerful rhetorical effect on the basis of the spiritual experience and the behavior of boasts. And he tried to change them by appealing the unity of community. When Paul meant the "unity", it was not only the unity of the divisive factions but also the unity between the claim and the reality, the theology and the ethic in building up community. Finally to them, the unity was to coinside with Paul' ways in Christ The exortation of Paul as a only and punishing father had thereatening elements apparently. At a glance such a rhetoric of power might not be successful. However because his life and the content and the form of his preaching were grounded on the paradox of the cross, Paul's appeal on the basis of the authority was legitimate. Also even today, it has true rhetorical effective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1. 문제 제기 = 1 2. 연구의 목적과 의의 = 8 B. 연구의 방법과 절차 = 10 1. 연구의 방법 = 10 2. 연구의 절차 = 14 Ⅱ. 수사학의 이론과 그 적용 = 16 A. 수사학과 수사학 비평의 역사적 발전 = 16 1. 고대: 수사학의 출발 = 16 2. 중세에서 19세기: 수사학의 퇴조 = 18 3. 20세기: 수사학의 회복 = 21 B. 고전 수사학의 이론과 적용 = 23 1. 고전 수사학의 이론 = 24 가. 고전 핸드북 = 24 나. 수사학의 유형 = 26 다. 고전 수사학에서 연설의 구조 = 28 2. 케네디(G A. Kennedy)의 방법론 = 30 3. 고전 수사학을 신약 성서에 적용하는 문제 = 33 C. 현대 수사학의 이론과 적용 = 37 1. 현대 수사학의 이론 = 37 2. 페럴만의 (Chai¨m Perelman)의 "새로운 수사학" = 40 가. 유사 논리적 논증 = 41 나. 실재의 구조에 기초한 논증 = 42 다. 실재의 구조를 수립하는 논증 = 45 라. 분리를 사용한 논증 = 48 3. 현대 수사학 이론을 신약 성서에 적용하는 문제 = 50 Ⅲ. 고린도전서 1-4장의 수사학적 장르와 구조 = 52 A. 본문의 수사학적 장르 = 52 1. 고린도전서의 수사학적 장르 = 52 2. 1-4장의 수사학적 장르 = 56 B. 본문의 수사학적 구조 = 59 1. 고린도전서의 수사학적 구조 = 59 2. 1-4장의 기능과 구조 = 64 Ⅳ. 고린도전서 1-4장에서 바울의 논증 방법 = 68 A. 유사 논리적 논증: 십자가의 말씀에 대한 정의 = 68 B. 실재의 구조에 기초한 논증: 하나님의 부르심으로부터의 논증 = 73 C. 분리를 사용한 논증: 세상 지혜와 능력으로부터 분리하는 논증 = 82 D. 실재의 구조를 수립하는 논증: 모델과 유비에 의한 논증 = 88 Ⅴ. 고린도전서 1-4장의 수사학적 상황 = 96 A. 반웅을 불러온 긴급성 = 97 1. 분파 선언(1:12-13)의 수사학적 기능 = 97 2. 세례 보도(1:14-17)의 수사학적 기능 = 99 B. 강제 요인 = 101 1. 말의 지혜(σοΦi´α λο´γου): 선포의 내용과 형식 = 101 2. 고린도교인들의 지혜와 자기 인식 = 106 3. 고린도교인들의 지혜와 십자가의 케리그마 = 114 C. 수사학적 상황의 재구성 = 117 1. 청중의 재구성 = 118 2. 분열의 성격 = 121 3. 1-4장의 수사학적 상황과 역사적 상황 = 124 Ⅵ. 결론 = 126 A. 바울의 수사학 = 126 B. 바울 수사학의 효과 = 127 C. 바울 수사학의 해석학적 의미 = 130 참고문헌 = 133 ABSTRACT =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872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린도전서-
dc.subject수사학-
dc.subjectRhetorical-
dc.subjectCorinthians-
dc.title고린도전서 1-4장에 대한 수사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hetorical Study in 1 Corinthians 1-4-
dc.format.pageix, 14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