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연-
dc.creator김정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9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10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988-
dc.description.abstractIn late 19th century Britain, Classicism was reviving in all cultural fields including fine arts. This cultural trend, which was based on archeological achievements made in the previous century, came from a desire to set the past Golden Age as a new social model. In arts, this trend led to the emergence of new Classicism that espoused old Greek Arts. This paper looks at the works of Edward Burne-Jones who dealt with classical themes while trying to reflect the society of his times in his works. In this context, he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tists of the same period. Existing studies of Burne-Jones established him as the forerunner of Symbolism or Art Nouveau while regarding him as the Second Generation of Pre-Raphaelit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he sought popularization of arts throughout his life and this will of Burne-Jones is explicitly expressed in his works that dealt with classical themes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proving that his works were the result of his social conscience for popularizing fine arts. Burne-Jones' view of arts, which was influenced by Ruskin and Pre-Raphaelites, was a result of his efforts to find the genuine artistic identity of the new society and period. Pre-Raphaelites objected to conventional classical arts that had existed as high-class arts dedicated to those with power and money and preached the .significance of Medieval Arts as an alternative. They believe it is Medieval Arts that is genuinely for the sake of the people. Thus, these thinking of medieval art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many painters of that period to look at their times' social reality and the public. While artists in general tried to reflect the society they live in their arts, Burne-Jones came to believe that people expected a story that they can understand from art works. So, he thought that classic episodical themes were most fit for the general public. This view of his shows that he understood traditional classical themes in the context of modern history, a fact that clearly distinguishes him from Ruskin or Pre-Raphaelites who criticized Renaissance tradition. Burne-Jones' works that carry classical themes and were based on his social interest contain not only the classical episodes but also his own confessional stories and symbols. This shows that he understood Classics as reflecting the universal emotions of the human beings including the artist himself. For example, in his early works, he used the retrospective method of using the figures in the real world in his art works showing the direct link between his artistic theme and autobiographical episodes. However, this method gradually changed to the one that expressed his inner feelings and intellectual thoughts by using more secretive indirect symbols. This characteristic of Burne- Jones later influenced the artistic attitudes of Symbolism artists to a significant extent. After Renaissance, while Classicism and his contemporary Neo-Classicism paintings are based on conventional method of expression, Burne-Jones' works display his unique method of expression. He blended popular decorative arts and fine arts, thus earning popularity both in theme and way of expression. Furthermore, this decorative expression that denies hierarchical order of artistic fields led to two-dimensional, flat paintings destroying conventional perspective representation. This means that his works can be studies also in the context of a link to modernism arts. As explained above, Burne-Jones' art works with classical themes aimed at popularization of fine arts were clearly different from Pre-Raphaelites' medieval view of arts in theme while they also differed from traditional classical paintings in terms of expression method. Thus, I believe tha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Burne-Jones' desire for popularization of arts and his works' expressional uniqueness.;19세기 후반부의 영국에서는 미술은 물론 문화 전반에 걸쳐 고전이 부활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18세기에 이루어진 고고학적인 발견과 연구에서 시작되어 과거의 황금 시대를 새로운 사회 모델로 삼고자하였던 의지들로부터 비롯된 것으로서 미술에 있어서도 고대 그리스 미술의 형식을 따르는 새로운 고전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인 분위기 속에서 고전적인 주제를 다루었던 에드워드 번존스의 작품들이 여타의 미술과 달리 사회적 의식을 표출하는 특성을 지닌 점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의 의미를 밝히는 연구이다. 이제까지 이루어졌던 번존스에 관한 연구는 그를 라파엘전파의 후세대 주자로서 그리고 상징주의나 아르 누보 미술의 선구자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시각에 그쳤었다 그러나 번존스는 일생을 통하여 미술의 대중화에 대한 의지를 표방하였고 대중들이 선호하였던 고전적인 주제를 다룬 그의 작품들에서는 그의 사회적 의식이 보다 극명히 드러난다. 따라서 번존스의 사회적 의식의 표출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작품들이 미술의 대중화를 향한 사회적인 의식의 산물이었음을 밝히는 것을 본 논문의 내용으로 하고 있다. 미술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번존스의 예술관은 러스킨의 예술 사상과 라파엘전파의 미술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었으며, 그것은 새로운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진정한 미술의 정체성에 대한 모색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었다. 즉 르네상스 이후 고급 미술로서 소수의 권력층과 자본가 계층을 위하여 존재하여 온 전통 고전주의 미술 개념에 반기를 들고자 그 대안으로서 중세 미술의 중요성을 역설하였고 그러한 가운데 중세 미술이 진정으로 다수의 일반 대중들을 위한 것이었음을 지적하였던 그들의 미술관은 많은 화가들로 하여금 그들이 속한 사회 현실과 대중들의 모습을 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예술가들의 사회적인 인식의 과정 속에서 번존스는 대중들이 미술 작품에서 이해할 수 있는 이야깃거리를 기대한다고 믿게 되었고 따라서 강한 일화성을 지니는 고전이 대중들을 위한 미술에 적합한 주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번존스의 이와 같은 시간은 전통적인 주제를 근대적인 역사 의식의 측면에서 새로이 이해하는 것으로서 르네상스 미술 전통을 비판하였던 러스킨이나 라파엘전파의 예술관과는 차이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흔히 라파엘전파와 묶어 평가되어온 번존스를 당대의 다른 라파엘전파의 작가들로부터 구분되는 독자적인 화가로서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회적인 인식에 근거하였던 번존스의 고전적인 주제를 그린 작품들은 주제 자체의 일화성과 더불어 그 이면에 자전적인 일화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님으로써 번존스가 고전을 작가를 포함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정서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한 예로서 번존스의 초기 작품에서는 실제 인물을 작품에 등장시키는 피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주제와 자전적인 일화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보여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점차 은밀하고 간접적인 상징과 의미를 통하여 작가의 내적인 심리와 지적인 감수성을 드러내는 방법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그의 표현적 특성은 이후 상징주의 화가들의 태도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르네상스 이후의 고전주의 회화나 동시대의 신고전주의 회화가 전통적인 규범에 따른 표현을 중시하였던 것과 달리 번존스의 작품들은 독자적인 조형 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독특한 조형적 형식을 창출하였다. 그것은 대중적인 속성이 강한 장식 미술의 특성을 순수 회화와 혼합하는 것으로서 주제와 표현의 양 측면에서 대중성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미술의 제분야 사이의 위계적인 질서를 거부하는 이러한 장식적인 표현은 나아가 전통 원근법적 공식을 파괴함으로써 표면적인 장식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이차원적인 평면화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은 번존스의 작품을 모더니즘 회화와의 관련성에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미술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번존스의 고전적 주제의 작품들은 주제 면에서 라파엘전파와 같은 중세적인 미술관과 변별되며 조형적인 면에서도 규범에 입각한 전통 고전주의 회화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기존의 연구들이 간과하였던 번존스의 사회적 예술관과 작품에 관련된 그의 독자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19세기 영국 미술 속에서의 에드워드 번존스 = 7 A. 미술의 대중화를 위한 의지 = 7 B. 고전적 주제의 부활 = 19 Ⅲ. 고전적 주제를 해석하는 번존스의 시각 = 33 A. 연작을 통한 주제의 일관성 유지 = 33 B. 자전적인 의미 부여 = 37 C. 상징적 의미의 강화 = 47 Ⅳ. 고전적 주제를 표현하는 새로운 조형 형식 = 57 A. 선과 색채의 장식성 = 57 B. 탈원근법을 통한 평면성의 추구 = 67 Ⅴ. 결론 = 73 참고문헌 = 76 부록 = 87 도판 = 92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035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에드워드 번존스-
dc.subject회화-
dc.subject고전적 주제-
dc.subject영국 미술-
dc.title에드워드 번존스 회화에서 고전적 주제가 지니는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aning of Classical Themes as Found in the Paintings of Edward Burne-Jones-
dc.format.pagevii, 12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