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주-
dc.creator박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15-
dc.description.abstract「영산회상」에는 세 가지의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영산회상」이라고 하면 거문고 회상이라고 불리는「현악영산회상」즉「중광지곡」을 말한다. 본 논문은 1916년에 쓴 「방산한씨금보」 에 나오는 영산회상과 현재 연주 되고 있는 영산회상의 선율이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芳山」의 영산회상을 해독하고 그것을 근거로하여 「현행가야금보」 의 영산회상의 선율을 비교하였다. 「現行」과「芳山」의 선율을 비교하여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상령산과 중령산은 장(章)구별이 「現行」 과 「芳山」 이 같고, 세령산과 가락덜이, 상현도드리 1장까지는 장(章)구별이 「現行」 과 다르게 나타나있고 「芳山」 의 상현도드리부터, 염볼도드리까지는 장(章)구별이 「現行」 에서는 있지만 「芳山」 은 없었고 「現行」 의 3장을 "回章"으로만 구분되어 있었다. 또한, 타령과 군악은 「芳山」 에서는 장(章)구별을 볼 수 없었고 「現行」 의 군악3장 9각, 4장 5각이 「芳山」 에서는 없는 각이므로 「現行」 이 두 각이 추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現行」 과 「芳山」 의 선율은 상령산과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등은 많이 차이가 나지 않으나 상현 도드리부터 타령, 군악으로 갈수록 점점 많은 차이가 난다. 셋째. 「芳山」 의 하현도드리와 염불도드리는 「現行」의황육(제6현의 황)은 현행에서"태(伏)"로 출현하고 있었다. 넷째. 「現行」 이 「芳山」 보다 장식음이 더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現行」 이 「芳山」 보다 뜰동(10)이 더 많이 보여진다. 여섯째. 「芳山」 에 싸랭 이 없고 「現行」 의 싸랭 부분은 모두다 슬기둥으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일곱째. 「現行」에서 곡의 중간에 임(淋)-중(중)-황(황), 중(중)-중(중)-중(중)-중(중), 황(황)-임(淋)-중(중)등의 종지형이 나타날 때 「芳山」 은 다음 선율로 종지형이 없이 그냥 다음 선율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In this essay I have compared the kayagum melodies of the youngsanhwesang melodies of both hyeonhaeng (the present music that is used today) and bangsan. The results of after having compared the two, hyeon-haeng which was made in 1930 and bang-san which was made in 1910, is that the music pieces of 「bang-sanhanshi-gumboh」, like hyeon-haeng may have changed during these past 20 years. The comparisons of the melodies of bang-san and hyeon-heng have been briefly explained belown. First Jang (movement) divisions of sangryungsan and joongryungnsan are alike. Jang divisions of Saeryungsan, karakduri, and sanghyeondoduri are different up to the first jang from that of hyeon-haeng. In bang-sun, music pieces from samhyeondoduri up to yumbuldoduri appear to have jang divisions, however these same pieces in hyeon-haeng do not appear to have the same divisions but instead mark the thrid jang as the hweh(circular) jang. Taryung and kunak do not have any jang divisions in bung-san, However in hyeon-haeng there are additional kaks (smaller than jang divisions) for instance in the third jang there is a ninth kak and in the fourth jang there is a fifth Kak. Second The melodic lines of sangryungsan, joongryungsan, saeryungsan and karakduri in both hyeong-haeng and bang-san do not have very many differences. However, starting from sanghyeondoduri taryung and kunak small differences begin to appear which then become larger differences as the music continues. Third The Hahyeondoduri and yumbuldoduri of bang-san has a hang-tae (The sixth string hwang) which appears as tae in hyeon-haeng. Fourth Hyeon-haeng possesses more ornamental notes than bang-san Fifth Dduldoongs (an instrumental technique) appear more often in hyeon-haeng than bang-san. Sixth There are no saraengs (an instrumental technique) in bang-san and there are sulgidoongs (also an instrumental technique) in the places of saeraengs. Seventh In bang-san ending notes are in the forms of eem(림) - joong (중) - hwang (황), joong (중) - joong (중) - joong (중)- joong (중), hwang (황) - eem (림) - joong (중). However, in bang-san when the ending form, hwang (황) - eem(림) - joong (중) appears the melody does not come to an end but, rather continues on to the next melody. The differences of hyeon-hueng and bang-san has been discussed in the above. The result of this is that the kayagum music of youngsadhwesang in both hyeon-haeng and bang-san are different. For instance, there are more melodic tunes in hyeon-haeng and the rhythms of both hyeon-haeng and bang-san are different from eacheo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1 Ⅱ. 방산한씨금보의 해독 = 4 A. 조현음 해독 = 4 B. 장(章)구별 = 6 C. 수법 = 8 Ⅲ. 영산회상의 선율 비교 = 11 A. 상령산 = 12 B. 중령산 = 18 C. 세령산 , 가락제지 = 20 D. 상현도드리, 하현도드리 = 26 E. 염불도드리 = 34 F. 타령 = 41 G. 군악 = 49 결론 = 60 참고문헌 = 62 부록악보 = 63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805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방산한씨금보-
dc.subject현행가야금보-
dc.subject영산회상-
dc.title「방산한씨금보」 와 「현행가야금보」의 영산회상 선율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mparisons of the melodies of the bang-san-hanshi-gumbo and hyeon-haeng kayagum-bo-
dc.format.pageviii,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