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성은-
dc.creator이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2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21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연변의 조순희가 편곡한 「울산의 노래」의 음악적인 구조와 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래민요의 개작 양상과 그것을 통하여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북한 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작품은 9/8박자의 세마치 장단으로 되어있으며, 우리나라 민요인「울산아가씨」의 선율이 주제로 전개된다. 이 곡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주 - A - 간주I - A'- 간주Ⅱ - A" - 후주의 7부분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전주는 제1 - 9마디, A 부분은 제10 - 25마디, 간주Ⅰ은 제26 - 33마디, A'는 제34 - 49마디, 간주 Ⅱ는 제50-68마디, A" 는 제69 - 84마디이며, 후주는 제85 - 93마디이다. 전주부분은 주 선율이 나오기 전의 도입부(Introduction)로 제1마디 리듬 요소의 반복진행과 제2마디 선율의 동일음 반복과 보조음 첨가로 인하여 선율에 변화를 주며 앞으로 나올 주 선율을 예시하고 있다. 주제 부분인 A는 4개의 부분은, a+b+a^(1)+c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c는 a의 둘째 마디와 b 의 둘째 마디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a^(1)은 a의 선율에 음 첨가로 인해서 화음을 만들고동일음 반복과 보조음 첨가로 인한 선율의 변화가 나타난다. 간주 I 은 전주의 변주형태로 주제의 요소를 가지고 진행함을 볼 수 있으며, 8마디의 짝수 마디로 다른 부분들과 같다. 제1변주 부분인 A' 는 주제를 왼손이 연주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거기에 오른손으로 화음을 연주할 수 있도록 수평적으로 화성을 첨가한 화성 변주가 나타난다. 또한 이 부분도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a^(1)+b+a^(2)+c로 나타난다. 간주Ⅱ에서는 이 작품에서 주요하게 쓰인 단3화음들이 장3화음으로 바뀌어 잠시 조성의 변화를 느끼게 한다. 제2변주 부분인 A" 는 이 곡의 특징인 음의 옥타브 도약 후 동일음 반복과 보조음 첨가의 진행이 나타난다. 이 부분은 a^(3)+b^(1)+a+b^(l)으로 나뉘며, 앞서 말한 동일음 반복과 보조음의 첨가로 변주가 되었지만 이것은 주요선율에 바탕을 두고 리듬을 변주시킨 부분이다. 후주(coda)는 전주부분과 마찬가지로 흘수 마디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전주와 후주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 부분에 A계면조의 나란한조인 C 장조와 C 장조의 딸림조인 F 장조가 나옴으로 곡 전체의 지배적인 조성 A 계면조에도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울산의노래」는 통일성과 규칙적 진행에 익숙한 민요선율에 변화를 주어 편곡된 작품임을 알 수 있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ng of Woolsan" arranged by Cho Soonhui who lives in Yeonpyu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help understand North Korean music of which a few pieces have been known to us by examining the arranging conditions on the traditional folk song in North Korea. This song is made up of three-bar rhythms in nine-eight time developing the melodies of "The Woolsan Girl" of South Korea as a theme, The whole composi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seven sections; prelude - A - interlude Ⅰ - A' - interlude Ⅱ - A - coda. The prelude is from the 1st to the 9th bar, A part is from the 10th to the 25th bar, interlude Ⅰ from the 26th to the 33rd bar, A' part from the 34th to the 49th bar, interlude Ⅱ from the 50th to the 68th bar, A" part from the 69th to the 84th bar, and the coda from the 85th to the 93rd bar. The prelude is an introduction to thematic melody and the repetitive progression of rhythmic elements in the 1st bar and the repetition of identical notes and addition of supplementary notes in the 2nd bar give variations to melody and predict oncoming thematic melody. The thematic part A is again divided into a, b, a', and c. Here c comprises the 2nd bar of a and the 2nd bar of b. And a' with addition of notes to the melodies of a makes chords and has changed melodies from the repetition of identical notes and addition of supplementary notes. Interlude Ⅰ is a variation of the prelude, progresses with thematic elements, and has the same even numbered eight bars as the other parts. The first variational part A' has a concordant variation with chords horizontally added for the left hand to play the theme while the right hand to play chords. Also the part is divided into a^(1), b, a^(2) and c. In the interlude Ⅱ, the change of minor third chords into major third chords makes us feel a change in tune temporarily. The second variational part A" shows an octave leap of notes, the peculiar feature of this song, followed by the repetitive progression of identical notes and addition of supplementary notes. The part is divided into a^(3), b', a and b^(1) in which the repetition of identical notes and addition of supplementary notes are based on the thematic melody to vary rhythms. The coda is made up of odd numbered bars like the prelude. This is to keep the balance with the prelude. The appearance of C major key which is parallel to A minor key and F major key which is subordinate to C major key in the part A changes the dominant A minor keys of this song. As a result of analyzing, it was revealed that "The Song of Woolsan" was arranged through variations on the familiar folk song melodies with unity and regular progress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1 Ⅱ. 본론 = 3 A. 작품개요 = 3 B. 작품분석 = 5 1. 전주(Introduction) 부분 (제1 - 9 마디) = 5 가. 선율의 특징 = 5 나. 리듬 = 7 2. A부분 (제10 - 25마디 ) = 8 가. 선율의 특징 = 8 나. 리듬 = 13 3. 간주Ⅰ부분 (제 26 - 33마디) = 14 가. 선율의 특징 = 14 나. 리듬 = 18 4. A '부분 (제 34 - 49마디) = 20 가. 선율의 특징 = 20 나. 리듬 = 24 5. 간주Ⅱ부분 (제 50 - 68마디) = 25 가. 선율의 특징 = 25 나. 리듬 = 29 6. A" 부분 (제 69 - 84마디) = 30 가. 선율의 특징 = 30 나. 리듬 = 33 7. 후주(Coda) 부분 (제 85 - 93마디) = 33 가. 선율의 특징 = 33 나. 리듬 = 35 Ⅲ. 결론 = 36 1. 전주(Introduction) 부분 = 36 2. 주제 부분 = 36 3. 간주Ⅰ부분 = 37 4. 제 1 변주 부분 = 37 5. 간주Ⅱ부분 = 38 6. 제 2 변주 부분 = 38 7. 후주 (Coda) = 38 참고문헌 = 40 부록 (악보) = 41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20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울산의 노래-
dc.subject선율-
dc.subject리듬형태-
dc.title「울산의 노래」의 분석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 Study of "The Song of Woolsan"-
dc.format.pageix, 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