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원-
dc.creator이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0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045-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specialized knowledg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are required for the education of music librarians, and to propose a model of the specialized education and its feasibility. The present study uses a literature survey,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y as a means. Through a literature survey, previous studies, roles, and specialized knowledges for the education of subject and music librarian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performed to librarians practicing in music information resources, the significance of relevant knowledges was addressed. Through a case study, the specialized education for music librarians was analyzed. Based on the present analysis, we make educational standards and their necessary ingredients for the education of music librarians, and suggest the following three levels of the specialized education: Firstly, to include music librarianship and music bibliography within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ondly, to utilize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music along with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concentration in music librarianship. Thirdly, to make a dual degree program available. The model,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for the education of music librarians is structured as follows. 1. Specialized courses were proposed by examining curricula of 32 undergraduate and 14 graduate schoo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case that music bibliography or music research and methodology is listed in the department of music, it is recommended that this kind of course is taken as an optional course. Otherwise, such a course is included within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 Concentration in music librarianship was proposed by examining curricula of 25 undergraduate and 12 graduate schools that have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department of music. It is proposed that specialized courses mentioned in the above and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music such as music history and literature, music theory, music bibliography, music research and methodology, music aesthetics, musicology are taken as optional courses. 3. The dual degree program was proposed by examining curricula of 12 graduate schools that have both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department of music. Although all 12 schools appear suited for the dual degree program, it is proposed that only two schools are suited for i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at majors in musicology and music history are the most ideal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usic librarianship.;본 연구는 음악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교육환경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한 전문교육의 모형과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 설문조사, 사례연구의 방법을 병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주제전문사서 및 음악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음악주제전문사서의 역할과 전문지식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현재 음악정보자료를 다루고 있는 실무사서들을 대상으로 전문지식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서는 음악주제전문사서를 위한 전문교육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기초로 음악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기준을 설정하고 필요한 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반영하여 세가지 수준의 전문교육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에 음악주제를 다루는 전문교과목을 설치하는 방안이었으며, 둘째는 전문과정으로서 앞서 제시한 전문교과목과 음악대학 교과목을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었으며, 셋째로는 이중학위과정을 채택하는 단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음악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의 모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문교과목은 문헌정보학과 학부과정 32개 대학과 대학원과정 15개 대학 교과과정을 대상으로 설치하였다. 음악대학 교과과정에 음악서지학 또는 음악연구방법론교과목에 설강되어 있는 대학의 경우 이를 일종의 전문교과목으로써 선택수강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러한 교과목이 없는 대학의 경우는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 내에 전문교과목을 설치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전문과정은 문헌정보학과와 음악대학이 모두 설치되어 있는 국내 학부과정 25개 대학과 대학원과정 12개 대학을 대상으로 설치하였다. 전문과정에서는 앞서 제시한 전문교과목과 음악대학의 음악사 및 문헌, 음악이론, 기타교과목(서지학, 음악연구방법론, 음악미학, 음악학개론 등)을 선택수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이중학위과정은 문헌정보학과와 음악전공분야가 모두 개설되어 있는 대학원과정 12개 대학을 대상으로 설치하였다. 12개 대학의 음악학과가 이중학위과정을 설치하기에 모두 적합하였으나, 음악주제전문사서의 교육배경으로 음악학, 음악사전공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한 국제기준에 의하면 해당전공분야가 설치되어 있는 2개 대학만이 이중학위과정 설치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C. 선행연구 = 4 Ⅱ. 음악주제전문사서의 역할 = 16 A. 이용자봉사 = 16 B. 선정·수서 = 31 C. 편목·분류 = 36 D. 관리·경영 = 37 Ⅲ. 음악주제전문사서의 교육배경 = 40 A. 음악주제전문사서의 전문지식 = 40 B. 전문교육의 사례 = 61 Ⅳ. 전문교육의 국내 적용가능성 = 93 A. 음악주제전문사서 교육의 기준 = 93 B. 전문교육의 모형 = 97 Ⅴ. 결론 및 제언 = 114 참고문헌 = 116 부록 = 124 ABSTRACT =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040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음악-
dc.subject주제전문사서-
dc.subject교육-
dc.title음악주제전문사서의 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ducation for Music Librarians-
dc.format.pagevii, 14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