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連啓-
dc.creator鄭連啓-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5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559-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는 學校敎育의 社會化 機能에 관한 Durkheim, Parsons, Marx 및 Bowles의 理論을 中心으로 합의이론과 갈등이론을 비교 분석하는데 目的이 있으며 아울러 本 比較硏究는 관계文獻에 依存한 理論的 硏究 方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構造 機能主義 立場을 堅持하는 合意理論家들은 全體 社會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社會의 構成員들에게 공통된 價値, 理念 및 信念體系등을 內在化시키는 것이 必要하며 現代 社會에서는 이러한 社會化 機能을 담당하는 有效한 機制가 學校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갈등론자들은 갈등 현상은 社會 뿐만 아니라 敎育 制度內에도 遍在해 있다고 주장하고 學校 敎育이 오히려 支配階級의 價値와 信念을 재생산하고 이를 합리화시킨다고 비판한다. 따라서 종래의 合意理論 일변도에서 벗어나 다각적인 시각에서의 學校敎育에 對한 硏究가 必要하며 이에 對한 하나의 代案으로 갈등이론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두 理論 모두 學校敎育을 社會 構造와 지나치게 관련시켜 論하고, 受動的인 人間 形成觀을 理論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거시적인 硏究 方法을 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성이 있다. 둘째, 합의이론과 갈등이론은 완전히 서로 배타적인 理論이라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이론이라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합의는 언제나 社會의 安定을 가져오고, 갈등은 社會의 不安定을 가져온다고는 볼 수 없으며 한 社會 內에서도 합의와 갈등은 共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째, 두 理論 모두 합의와 갈등의 程度를 측정하는 유효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유효한 理論이 되기 위해서는 합의와 갈등의 정도를 측정하는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합의와 갈등이 社會의 統合과 安定에 어느 程度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야 할 것이다. 네째, 갈등이론가들은 學校敎育에 관한 합의론자들의 主張을 根本的으로 부정하지는 못하였으며 단지 社會化의 內容에 의문을 제기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갈등이론은 社會化의 內容의 수정을 통하여 合意理論을 補完함으로써 學校敎育의 改革의 方向과 合意理論의 修正에 對한 可能性을 提示하였다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sensus theory and the conflict theory concerning the socializing function of schooling by examining the theories of Durkheim, Parsons, Marx and Bowles.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comparative study is made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depending on the related references. Consensus theorists, who hold on to the position of the structural functionalism, emphasize that it is necessary to let the members of society be internalized with the common value, ideology and belief system to maintain the social system and think that the efficient agent of socialization is the schooling system. On the contrary, conflict theorists hold that the social conflicts are ubiquitous not only in society but also in educational system. They criticize that schooling system reproduces and rationalizes the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Therefore, conflict theory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diversify the studies on schooling to get out of the consensus theorists' approaches in the pas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ocializing function of schooling. First, both of two theories have some similarities: they over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izing function of schooling and the social structure in discussing the socialization, are based on the passive perspective on the formation of character and adopt the macroscopic approach. Second, two theories are mutually complementary rather than exclusive. Because, in reality, the consensus does not always produce social stability and the conflict does not always produce social instability. It is possible that the consensus and the conflict may exist in a society simultaneously. Third, two theories do not suggest any available devices to measure the degree of consensus and conflict. In order to make the theories more efficient, it is necessary to suggest available devices to measure the degree of consensus and conflict and explain to what extent consensus and conflict influence on the stability of society. Forth, conflict theorists do not reject the consensus theory fundamentally and only raise questions about the contents of the socialization of schooling. Therefore, the conflict theoris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revision of the consensus theory and the direction of the schooling reformation through reforming and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school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方法 및 問題點 = 6 Ⅱ. 敎育과 社會化 = 7 A. 敎育의 社會學的 意味 = 7 B. 社會化學의 槪念 및 內容 = 12 C. 敎育과 社會化와의 關係 = 21 Ⅲ. 學校敎育의 社會化 機能 = 26 A. 合意理論 = 26 B. 葛藤理論 = 45 C. 두 이론의 비교 = 67 Ⅳ. 結論 = 75 참고문헌 = 79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020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교교육-
dc.subject사회화-
dc.subjectSocializing Function-
dc.subject합의이론-
dc.subject갈등이론-
dc.title學校敎育의 社會化 機能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합의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ocializing Function of Schooling-
dc.format.page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