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娜延-
dc.creator金娜延-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1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160-
dc.description.abstract蕙園 申潤福은 朝鮮後期 繪畵史에서 남녀간의 性情을 표현한 풍속화의 대가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에 관한 연구를 보면 대부분이 풍속화에 대한 주체적이고 근대적인 시각에 의해 서민의식의 성장과 자아의 각성에 의한 개성의 발현으로 평가해 왔다. 또한, 申潤福 풍속화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蕙園 傳神帖》에 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통설에서 벗어나, 《蕙園傳神帖》 을 중심으로 申潤福의 작품이 향유될 수 있었던 시대 배경적 요소들을 새롭게 고찰해 보았다. 《蕙園傳神帖》에는 조선후기 도시의 遊興을 주도했던 중인계층의 소비적·遊興的인 분위기가 그려져 있다. 때문에 그의 작품에는 '遊興 이미지' 라는 공통된 특질이 내재되어 있다. 申潤福이 그려낸 '遊興 이미지'는 도시의 유흥적인 모습을 그린 것과 함께 무엇보다도 수용자에게 '色情을 포함하는 感覺的인 興趣'를 유발하도록 그리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申潤福의 풍속화에 유흥 이미지가 그려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문학 및 예술 분야에서 18세기 후반 19세기 초반에 현실적인 정취감을 중시하는 풍조가 만연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적인 특징 중에 하나로 朝鮮後期 差備待令畵員 祿取才 俗畵의 畵題가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조선의 모습을 그리는 것 위주로 출제되었던 것에서도 그 변화를 알 수가 있다. 俗畵의 畵題는 대부분이 서울의 도시적 風情과 관련된 것이었는데 '유흥가의 그네타기(유가추천)'와 같은 遊興과 관련된 화제도 출제되었다. 또한 申潤福의 풍속화는 이처럼 도시의 遊興 이미지가 애호되던 시대 속에서 그려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申潤福이 그린 遊興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첫 번째는 享樂的 이미지로 전체 30폭의 작품 중에 12점이 해당된다. 享樂的 이미지는 내용에 따라 다시 宴會, 雜技, 遊廓의 이미지로 나눌 수 가 있다. 두 번째는 전체 작품 수의 60%를 차지하는 春情的 이미지인데, 春情 이미지는 色情的 요소가 드러나는 정도에 따라 암시적 표현과 노골적인 표현으로 나누어진다. 申潤福은 遊興 이미지를 그리는데 있어 순간적인 遊興 장면의 感覺的인 興趣를 전달하기 위해 매우 섬세한 필치로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흥취는 감상자의 춘심을 도발하기 위한 인물들 간의 시선과 포즈, 화면 안에 엿보는 관찰자의 설정과 같은 의도적인 장치 의해 더욱 고조된다. 또한 申潤福은 조선후기의 遊興 양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전통화풍의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동아시아 회화 속에서 당시 소통되었던 중국 소설 삽화 및 화보와 유사관계를 가지면서 각각의 遊興 이미지에 적합한 양식을 조합하여 조형화 시켰다. 요컨대 전통 화풍과 당시에 새롭게 소통되었던 표현형식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정형화시켰다고 생각한다. 申潤福의 풍속화는 조선후기라는 시대상의 전달 즉, 이미지와 그러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표현 형식이 통합적으로 일치되어 이루어진 결과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申潤福의 풍속화는 이러한 측면에서 회화사적으로 일보 진전된 성취라는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申潤福의 풍속화는 현존하는 작품수가 많지 않아 한정된 작품만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양식 분석을 한 것에 한계가 있었지만 《蕙園傳神帖》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는 申潤福의 풍속화를 보다 폭넓고 총체적으로 재조명해 보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Hgewon Shin Yoon-Bok has been well known as the master of genre painting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who depicted the intimate sensuality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on Shin have mainly viewed genre painting from an independent and modernistic perspective. Thus Shin's genre paintings have been evaluated as manifestations of the painter's uniqueness. Furthermore, studies investigating one of Shin's most profound works, <Haewon Jeonshinchup> (Shin Yoon- Bok's Double-leaf Album Painting), is very much lacking. Hence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from previous studies by newly exploring the social factors that enabled the enjoyment of Shin's works, especially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Haewon Jeonshinchup>. <Haewon Jeonshinchup> reflects the atmosphere of overindulgence towards materialistic spending and 'pleasure-seeking' led by the middle class of the late Chosun period. Therefore, a common theme of 'pleasure-seeking' exists amongst Shin's works. These 'pleasure-seeking' images that Shin portrays do not merely demonstrate such Images of the city, but more importantly, they seek to evoke sexual desires on the part of the audience. Underneath the 'pleasure-seeking' images depicted in Shin's works lies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y, during which an atmosphere that emphasized realism was prevalent among the fields of arts and literature. Such a change is mirrored in the exam subjects of genre painting (of the Royal Academy) within the late Chosun period which mainly assessed the ability to produce works that exemplify the realistic and actual images of contemporary Chosun. In fact, the majority of the genre painting themes were related to the city images of Seoul, for instance, 'swing-riding in entertainment areas'. Thus Shin's genre paintings were created within an age of adulation for 'pleasure-seeking'. Shin's' pleasure-seeking' images can be divided into two. The first is an 'image of enjoyment' which can be found among 12 of Shin's 30 works. This 'image of enjoyment' can the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images of private banquets, game playing or gambling, and houses/areas that provided entertainment, usually in the form of sexual services. The second of the 'pleasure-seeking' image is the erotic image, and this covers 60% of Shin's works. These erotic images are either viewed as suggestive or blunt pending on the degree of exposure of sexual images. In order to express the sensuality of the 'pleasure-seeking' moment, Shin illustrates the images realistically with the utmost delicate brush strokes. Moreover, this sensuality is maximized once more through the poses and gazes between the figures, and also through the intentional placement of an observer or a secretly peeking person (of the 'pleasure-seeking' scenery) within the painting. Furthermore, Shin's paintings of 'pleasure-seeking' images were influenced by traditional painting styles. Simultaneously, his works may be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illustrations in Chinese fictional as well as painting-texts that were introduced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In sum, Shin selected the most appropriate style among both the traditional and newly emerging styles so as to create his own unique expressional methods. Shin's genre paintings are the outcome of the desirable combination between a reflection of the contemporary images of late Chosun and the styles which most adequately express such images.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Shin's genre paintings lies in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history. Due to a lack of Shin's remaining genre paintings, inevitable limitations exist in terms of the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his painting styles. Nevertheless, through the comprehensive re-examination of his works, this study of <Haewon Jeonshinchup> carries much importance in that it aids in genera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Shin Yoon-Bok's genre paint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ⅲ Ⅰ. 머리말 = 1 Ⅱ. 申潤福 風俗畵의 時代背景 = 5 1. 生涯 = 5 2. 時代的 背景 = 9 Ⅲ. 遊興 이미지의 유형 = 35 1. 享樂的 이미지 = 37 1) 宴會 = 37 2) 雜技 = 44 3) 遊廓 = 45 2. 春情的 이미지 = 47 1) 암시적 표현 = 48 2) 노골적 표현 = 54 Ⅳ. 양식분석 = 57 1) 구도 = 62 2) 인물표현 = 65 3) 모티브 = 67 4) 設彩 = 68 Ⅴ. 申潤福 풍속화의 회화사적 의의 = 76 Ⅵ. 맺음말 = 78 參考文獻 = 81 도판목록 = 91 圖版 = 94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312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신윤복-
dc.subject풍속화-
dc.subject혜원전신첩-
dc.subject미술사학-
dc.title申潤福의 風俗畵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蕙園傳神帖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Genre Paintings of Shin Yoon-Bok(申潤福) : Focused on the 《Haewon Jeonshinchup(蕙園傳神帖)》-
dc.format.pageiv,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