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오페라 <아, 하멜>의 무대의상디자인 연구

Title
오페라 <아, 하멜>의 무대의상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the Opera
Authors
류춘화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오페라하멜무대의상디자인의류직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ge costume that can be commercialized as performance culture as well as the ornament historical analysis of the stage costume of the opera that is given the first performance in Korea, Also, it purposes to introduce the stage costume that is filled with Korean esthetic sense to the world outside as we enter the era of worlds common shared culture. In this study, based on Choi, Jong Rim's script (2000), the main characters' social status and personality in the 1650s which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cript, were analyzed to review the literature and model costume. Other materials on the Internet were also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stage costume design was presented with 20 illustrated pieces in terms of compounding the images of Korean and Western, considering the main characters' social status and the personality by each act and scene, as well as the correlation of the stage costume, lighting, color and material. Also, the leading actress, San-hong's costume in Scene 2, Act Ⅳ, was model fabricated. The young clerk in Scene 1, Act Ⅰ, Hamel's costume is designed with emerald blue and purple cassock that symbolize ocean and passion respectively to imply his passionate love toward San-hong. The costumes of other members of his party, Cornelis, Jan, Gerrit, are designed with the overall 17th century's dress patterns of Baroque slash, whisk, falling band, ruff, loose baggy breeches, cassock, pourpoint and vest. The materials of Korean dress such as calico, silk, raw silk were also used in a great degree. The costume of the working class woman was designed with cotton, Gapsa(Fine Gauze)and Shantung silk as its material to make use of simplicity of Jeju-do's woman divers Galjungi(working clothes in Jeju-do) and of the skirt, Jeogori(Korean Jacket), and Dansokgot(Korean style undertrousers) that are shown in genre pictures. Gonryongpo(곤룡포, 袞龍袍) of Hyojong, Act Ⅱ, was designed with magnified Ojoryong(오조룡, 五爪龍) and Ilwoloak(일월오악, 日月五嶽) to symbolize his mighty power. The dragons claws in each side of the shoulder express the dignified image of the King. Danryeong(단령, 團領)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was patched with pads in shoulders to express wealth and authority. And the diverse opinions on the punishment of Hamel and his group were symbolized by adding geometric slanting lines to Samo(Korean traditional hat wore by the lieges in official affairs). The dress of the general was referred to a Gapju(갑주, 甲胄) of General Lee, Bong Sang and designed to express the sharp volition of solid and strong Joseon by adding the Yangdang, which is shown in four devas of Buddhism. The colors of Donggre and Banbi(Sleeveless or short-sleeve clothes) were differed in Pojol(Korean traditional policeman)'s dressed which were focused in stage props in their design. San-hong, who became Gisaeng(枝生, Korean traditional woman dancers and music players) in Act Ⅲ, wore crinkle pleated skirt that is motivated by azalea flower to give elegant and rhythmic air, and long Dangui (Korean traditional womens overcoat) of rainbow-striped colors. Gisaengs' costumes were designed with such basic silhouette of Sangbakhahu(thin blouse and thick skirt) as San-hon's and partially changed in their colors to make the dance of entire Gisaengs look harmonious. In Scene 1, Act Ⅳ, San-hong's dress, patched with stomach in the Jeogori(Korean jacket) front, symbolizes the strong affection toward Hamel. Her indigo blue skirt expresses the determined volition of love and the constant feeling as the deep blue ocean, and the Namggeutdong(deep-blue cuffs) in her Jeogori (Korean jacket) implies the child to be delivered, a fruition of love between Sah-hong and hamel. When San-hong sings a farewell Aria in Scene 2, Act Ⅳ, she is dressed in white which symbolizes her purity to express pure image of traditional lines and texture of Korea. The costume of San-hong in Prologue and Scene 2, Act Ⅳ, was model produced. In molding process, either spangle or optical fiber was decorated in parts after pleating the bosom part and patching the laces in the neckband. Dangchomun Gapsa (fine Gauze) and the netting for wedding use were used as materials based on the white texture that symbolizes the immaculate love of San-hong who had to let go of Hamel by analyzing her feelings as the soft but strong image of everlasting first snow. In expressing the stage costume, we have chosen the formational method of the comparative design dimensions between men's wears in 1650s Joseon and Baroque period and used the joinder of plane and solid cutting in various parts of the costume. Moreover, in order to express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n costume under given situation of stage lighting. the chorus and dancers costumes were primarily designed in light indio blue and white and only the main characters were allowed to wear the conspicuous colored dressed which gives the temperate tone in overall stage. In their materials, drapable Western texture which is suitable to the stage effect and the Korean texture have been both used to express the beauty of texture in Korean costume. A few ideas on the stage costume design for actual stage performance of the opera, , were presented so fa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produce stage costume worthy of evaluation as the leading cultural business creator in the 21st century rather than existing opinions that our stage costume is only exotic.;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초연되는 오페라 <아, 하멜>의 무대의상디자인을 복식사적 연구를 통하여, 공연문화로 상품화 할 수 있는 무대의상을 제시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전 세계인이 문화공유의 시대를 맞이함에 따라 한국적 미의식이 표출된 무대의상을 세계에 소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최종림의 대본<아, 하멜>(2000)을 바탕으로 시대적 배경인 조선시대 1650년대를 주축으로 주요등장인물의 신분과 성격을 분석하여 문헌과 실물 의상을 고찰하였으며, 인터넷에서의 자료도 검색하였다. 무대의상디자인은 무대의상과 조명, 색채, 소재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막과 장에 따른 주요등장인물들의 무대의상을 분석하고, 신분과 성격을 참작하여 한국적인 이미지와 서구적인 이미지를 조합하는 관점에서 20여 점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복식사적 인구를 통한 제시된 무대의상디자인은 다음과 같다. 제1막1장의 등장인물, 서기인 젊은 청년 하멜은 바다를 상징하는 에메란드 블루와 열정을 상징하는 심홍색 캐석(cassock)으로 하여 산홍에 대한 적극적인 사랑을 암시하도록 했다. 하멜 일행인 Gerrit, Jan, Cornelis의 복식에서는 바로크적인 슬래시(slash), 휘스크(whisk), 폴링밴드(falling band), 러프(ruff), 헐렁한 배기풍의 바지, 조끼, 푸르푸앵(pourpoint), 캐석등 17세기 100여 년 간의 특징을 종합하여 디자인요소로 활용한 실루엣을 표현하였으며, 옥양목, 명주, 생고사 등의 한복용 소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서민 아낙네는 제주도의 해녀들이 입은 갈중이와 풍속화에서 보이는 치마, 저고리, 단속곳의 단순미를 살려 무명과 갑사, 산퉁실크를 소재로 디자인을 하였다. 제2막의 효종은 강력한 조선왕의 힘을 상징화하는 곤룡포(衰龍袍)에 일월오악(日月五嶽)을 배치하고 오조룡(五爪龍)을 크게 확대하였으며, 용의 발톱을 양쪽어깨에 드러내어 위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익선관(翼善冠)도 황금빛으로 하였다. 문무대신의 단령은 어깨에 패드를 부착하여 부와 권위를 드러내고, 사모에 기하학적 사선을 주어 하멜 일행의 처벌에 대한 의견의 상충을 상징하도록 하였다. 장군의 복식은 이봉상 장군의 갑주를 참고하였으며, 불교의 사천왕상에서 보이는 양당을 첨가하여 단단하고 강인한 조선의 칼날같은 의지를 보여주고자 했으며, 가벼운 화섬인 폴라포리스를 사용해 무사의 춤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포졸들의 의상은 더그레와 반비의 색을 달리하여 소품에 중심을 두고 디자인하였다. 제3막의 기생이 된 산홍의 의상은 진달래꽃색을 모티브로 하여 갈모형의 쓰개와 춤출 때 우아하고 율동적이도록 크링클 주름치마와 색동으로 된 길이가 긴 당의를 디자인하였다. 기생들은 산홍과 같은 상박하후의 실루엣으로 하고 치마와 변형된 당의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를 주어 전체기생들이 춤을 출 때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4막1장에서의 산홍의 의상은 저고리 앞에 스토머커(stomacher)를 부착해 하멜을 사랑하는 강인한 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보았고, 인디고 블루의 치마는 산홍의 단호한 사랑의 의지와 검푸른 바다와 같은 변함 없는 마음을, 저고리의 남끝동은 앞으로 출산할 하멜과의 사랑의 결실이랄 수 있는 자식을 암시하고자 하였다. 4막2장에서의 이별의 아리아를 부르는 산홍의 의상은 순결를 상징하는 흰색으로 하여 한국적인 선과 결의 순수한 이미지가 표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롤로그와 제4막2장의 산홍의상은 하멜을 떠나보내야 하는 산홍의 심정을 부드러우나 강한 영원한 첫눈(snow)과 같은 이미지로 분석하여 순수한 사랑을 상징하는 흰색을 바탕으로 실제무대공연에 유용한 실무작업을 위한 무대의상디자인을 제작하였다. 한복용 치마를 입체적이게 만든 strapless wrap skirt에, 당초문 갑사와 웨딩용 플레인망사를 소재로, 가슴부위에 맞주름을 잡아주면서 레이스를 깃에 부착한 숄은 스팽글이나 광섬유를 부분적으로 장식하여 구체적으로 조형화 하였다. 무대의상의 표현에 있어서 1650년대의 조선시대복식과 바로크시대의 남성복식에는 평면재단과 입체재단을 병행하였으며, 색채에 있어서도 무대조명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합창단 80여명의 의상을 흰색에서 엷은 쪽빛(light indigo blue)으로 제한하고, 주된 등장인물에게만 두드러진 색채를 허용하여 한국적인 색채미가 표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소재에 있어서는 무대효과에 적합한 드레이프성이 있는 양장지를 한복지와 혼용하여 한국의상에서 보이는 <결>의 미를 나타내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21세기의 문화를 이끄는 주도적인 문화사업창조자로서 평가받을 수 있도록 무대의상을 디자인, 제작하는데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