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주-
dc.creator김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4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9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81-
dc.description.abstract학교교육과 사회계층이동의 관계는 구조 기능주의 관점을 따르는 교육학자들이 주로 다루어 왔다. 즉 기능주의 교육학자들은 학교교육이 사회계층이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학교교육과 사회계층이동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학자들이 1970년대에 대두되었다. 즉 영국의 신교육사회학자들과 미국의 교육갈등론자들은 학교교육이 사회계층이동을 저해하고, 오히려 계층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는 학교교육이 사회계층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 온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학교가 과연 사회계층이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가는 의문시된다. 더구나 현대사회가 사회현상의 복잡화로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요구한다고 볼 때 학교교육과 사회계층이동의 관계 역시 기능주의 학자들의 이론만으로 고찰하는 획일적인 태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신교육사회학자인 Basil Bernstein과 교육갈등론자인 Samuel Bowles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학교와 사회계층이동의 관계를 재조명하고자하였다. 먼저 본 논문은 제Ⅱ장에서 신교육사회학이 영국에서 주로 대두될 수 있었고, 교육갈등론이 미국에서 대두될 수 있었던 원인을, 영국과 미국이 지니는 상이한 사회배경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신교육사회학이 형성되기까지의 기존연구경향과, 교육갈등론이 나타나기 이전의 기존연구경향을 각각 고찰하고, 대표적 신교육사회학자 및 교육갈등론자들의 이론적 입장을 기술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신교육사회 학자인 Basil Bernstein과 교육갈등론자인 Samuel Bowles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논의 결과 Bernstein 과 Bowles는 학교가 사회계층이동을 저해하고 계층의 영속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공통된 의견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Bernstein은 학교의 형식적 학습활동에 기초한 인지적 교육이 사회계층 유지에 기여한다고 보는 반면, Bowles는 학교의 인성 사회화에 기초한 비인지적 인성교육이 사회계층이동을 저해한다고 보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학교의 교육활동이 인지적 교육활동과 비인지적 인성교육활동을 동시에 실시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따라서 Bernstein과 Bowles는 다양한 학교교육활동 중 각기 서로 다른 국면에 촛점을 맞추어 이론을 전개시켰음을 주장하였다. 결국 Bernstein과 Bowles의 이론은 학교와 사회계층이동의 부정적 관계를 상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우리사회의 경우, 교육제도가 사회계층이동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일반적으로 상정해 온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학교와 사회계층이동의 부정적 관계를 주장한 Bernstein과 Bowles의 이론입장에서, 현 우리사회 교육제도의 사회계층이동에 대한 역할을 재조명할 필요성이 있음을 역설하였다.;The functionalists in education insisted on a positive function of schooling in social mobility. But the new sociologists of education and those who believed in conflict theory of education assumed that schooling reproduced the social class in a given societ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Until recently, it were the functionalists of education that supported by most educationalists concerning with the influence of schooling on the social mobility. Therefore, they had a dogmatic place. The various viewpoints, however, were requir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ing and the social mo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unction of schooling in reproducing the social class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of Basil Bernstein and Samuel Bowles. Basil Bernstein is a important founder of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and Samuel Bowles is a representative of conflict theory of education In the second chapter, it were described the background and the positions of new sociologists of education and those who believed in the conflict theory of education.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was entirely a British creation and the conflict theory of education was borne in the American society. This phenomena were partly the outcome of different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in two countries. And the viewpoint of new sociologists of education was that formal curriculum in schooling preserved the exisiting social class. Those who believed in the conflict theory of education suggested that the socialization in schooling itself corresponded to interests of the ruling class. In the third chapter, Bernstein's theory and Bowles' theory about the relation between schooling and social mobility were examined.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Bernstein and Bowles both had the common opinion about the function of schooling That was, they had the assumption that schooling did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al mobility but reproduced the social class inragenerationally. But they had the different opinion about the concrete role of schooling. Namely, Bernstein suggested that the cognitive education through the formal curriculum did harm the social mobility. Bowles persisted that the non-cogni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신교육사회학과 교육갈등론 = 6 A. 신교육사회학 = 6 B. 교육갈등론 = 18 Ⅲ. 학교교육과 사회계층 이동의 관계 = 34 A. Basil Bernstein의 이론 = 34 B. Samuel Bowles의 이론 = 56 C. Bernstein과 Bowles 이론의 비교 및 상보적 접근 = 82 Ⅳ. 요약 및 결론 = 90 참고문헌 = 95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724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교교육-
dc.subject사회계층유지-
dc.subjectBasil Bernstein-
dc.subjectSamuel Bowles-
dc.title학교교육이 사회계층유지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Basil Bernstein과 Samuel Bowles의 이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Function of Schooling in Reproducing the Social Class : Upon the Theories of Basil Bernstein and Samuel Bowles-
dc.format.pagevii,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