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6 Download: 0

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Title
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 Focus on the physically disabled
Authors
변소현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장애인사회통합지체장애인사회복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인은 일반 사회구성원들과 마찬가지로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가지며, 이는 장애를 갖지 않은 사람들과 동등하게 사회적 존재로서의 삶을 누릴 권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애인 복지는 이러한 장애인들의 삶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정책적 노력을 통해 지향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 삶의 실태는 일반적 삶의 형태와는 달리 사회적으로 소외되어져 있으며, 과거 폐쇄적 시설으로부터 폐쇄된 지역사회로의 이동뿐이었다고 비판되어질 수 있다. 95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장애인들의 한달 중 평균 외출 수가 5회 이하이며, 시장, 슈퍼마켓과 같은 지역사회 시설, 교통수단의 이용에 있어서 불편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60%이상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들은 현재 장애인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적 부재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며, 장애인 사회통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안들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장애인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정책적, 임상적 개입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통합은 장애인들이 장애를 갖지 않은 사람들의 통상적 생활형태로 정의하였으며,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시간, 비장애인이 사용한 자원에의 접근가능성, 비장애인들 이용하는 시설의 이용과 소비정도, 통상적인 사회적 활동 정도, 직업활동에의 참여정도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된 사항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나타난 사회적지지, 사회서비스 경험, 자존감, 장애지각정도, 차별적 경험에 대한 인식, 장애정도, 일상생활능력, 장애발생시기, 장애인 단체에의 소속,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이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사회통합 수준은 평균 2.74점으로 5점 척도로 측정했을 때 보통의 수준이하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환경적 특성인 사회적 지지, 사회서비스 경험의 사회통합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사회통합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의 지지보다는 친구나 사회적 인물에 의한 지지가 더 설명력이 있으며, 기능적 지지보다는 정서적 지지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서비스 경험은 직업재활서비스 만이 서비스 경험유무에 따른 집단간 비교 결과 서비스 경험 집단의 사회통합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밖의 의료 서비스, 경제적 원조는 사회통합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특성인 자존감, 장애지각정도, 차별적 경험에 대한 인식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검증해 본 결과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회통합의 수준이 증가되었고, 장애지각정도, 장애를 문제로 지각하는 정도가 낮을수록 사회 통합의 수준이 증가되었다. 차별적 경험에 대한 인식에서는 특히 공공장소에서의 대중들의 부정적 태도에 대해 많이 인지할수록 사회통합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관련요인들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일상생활능력이 높을수록 사회통합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정도가 낮을수록 사회통합의 정도가 높아졌다. 그리고 장애발생시기는 중도장애일수록 사회통합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인단체에 소속되어 있을수록 사회통합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중회귀분석 결과 장애인단체 소속유무의 설명력은 없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는 소득, 종교유무, 연령이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려되었으며, 성별, 결혼상태, 교육정도 등의 영향력은 미미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각 변수들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종합적 영향을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사회적 특성, 장애관련특성, 환경적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모두 투입했을 때 사회통합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통합은 이 모든 요인들의 상호적 영향력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들은 사회적지지, 자존감, 일상생활능력, 장애지각정도, 소득이었다. 따라서 분석결과 제시되는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주요 수급기준인 장애정도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활 서비스의 전문화와 활성화가 요구되어진다. 또한 보장구의 개발 및 보급이 확대되어야 한다. 장애인들이 부족한 신체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며, 보장구의 장착훈련도 의료재활 안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어져야 한다. 사회적 환경의 변화로서 사회적 편의시설의 완비가 필요하다. 이는 주택의 개조, 장애인 생활 용품의 개발과 보급, 공공시설에의 편의시설 등이 포함된다. 셋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이 요구된다. 사회적 지지의 확대를 위해서는 사회 지지망의 확보와 자원의 연결, 자조집단 혹은 소집단 활동 등이 유용할 것이다. 넷째, 장애인의 소득 증대를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는 장애인 본인에 대한 직업재활과 취업의 보장은 물론이고 장애인을 부양하는 가족에 대한 부양비 원조차원의 소득의 보장이 포함되어야 한다. 다섯째, 장애인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사회적 재활 프로그램의 활성화와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환이 요구된다. 손상된 자존감의 직접적인 치료와 더불어 이의 원인을 제거해야 할 것이다. 자존감은 궁극적으로 사회전반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거나, 장애가 불리로 작용하는 사회제도에 의한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사회적 편견의 제거등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조정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여섯째, 장애인이 자신의 장애를 '문제'로 지각하는 것,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애인 자신에게는 장애에 대한 적응훈련, 사회적으로는 장애가 '문제'가 되지 않도록 배려하는 사회제도와 사회시설의 변화가 필요하다.;The disabled has a right as human as other social members, that means a right to live equally with people who one not disability. The disability welfare points to guarantee of these the disabled's right through social, politic efforts. But in recent years, OUT society keeps the reality of the disabled's life at a distance, and is criticize by only movement from institution to closed community. By the research on actual state of the disabled(l995), the average number of outing per a month is five and less, the disabled is uncomfortable to go to market, community facilities and to use transportation, 60% of them are difficult economically. These means absence of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and need an alternative for improvement of the disabled's social integration. Thus, this context presents base research which shows interventions of policy, clinic for the disabled's social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is defined by common life style of people are not disabled. It is measure living time in community, approach probability to resource, using facilities and consumed degree, common social activities degree, participant in job activity. And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are environmental traits - social support - social service experience, psychosocial traits - self-esteem · perception of disability · perception of discriminant experience-, disability relevant traits - degree of disability · ability of daily living(ADL) · the onset of impairment ·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associatio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analysis, the disabled's social integration level is average 2.74 when it is measured with Likert 5 point scale. And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follow. 1. Environmental traits.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 to social integration (Beta=.496 p<.00l), especially friend or social person is more accountable than family and emotional support than functional support is more significant. In social service experience, only job rehabilitation highly affect to social integration except medical service, economical service. 2. Psychosocial traits. Self-esteem significantly affect to social integration (Beta=.406, p<.00l). Perception of disability negatively affects social integration (Beta=-.358, p<.00l). In perception of discriminant experience especially the more perception of negative attitude in public place, the lower social integration level. 3. Result of traits relevant to disability, ADL and disability degree significantly affect to social integration. (Beta=.453 p<.00l/ Beta=.173 p<.05)) 4. Income of social demographic traits is considered to affect social integration. (Beta=.140 p<.05) Overall,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 1 phase, accountability of psychosocial traits are 39.8%. 2 phase, accountability of psychosocial traits and disability-relevant traits are 48.5% and R^(2) change 8.7%. 3 phase, accountability of psychosocial traits, disabihty-relevant traits and environmental traits are 56.7% and R^(2) change 8.1%. 4 phase, all accountability of psychosocial traits, disability-relevant traits, environmental traits and social demographic traits are 60.7% and R^(2) change 4.0%. All of psychosocial traits, disability-relevant traits, environmental traits, social demographic traits, accountability about social integration is highest. Especially, social integration is affect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DL, perception of disability degree, incom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considered. 1. It need to re-consider about disability degree as datum line of service supplement. ADL as well as disability degree need to be consider. 2. It need to professionalize and activate rehabilitation service for improvement of the disabled's ADL. Also it must to assistive devices develop and supply. The disabled can have positive support to complement lack of physical ability and have medical service that is assistive devices. It is necessary to be fully equipped with social convenience facilities as social environmental change. This include rebuilding of housing, developmental and supply of daily goods for the disabled, assistive devices in public facilities. 3. It need to prepare program that expand social support. To expand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 resource, self-help group or small group, are available. 4.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counterplan for increasing income of the disabled. This may include income security that is a sustenance allowance for family who support the disabled, as well as job rehabilitation and security of job opportunity for the disabled itself. 5. It IS necessary to activate social rehabilitation and to change soclal understanding about the disabled. Self -esteem is affected social negative understand about the disabled and social system that is working 'disability' as 'handicap'. There, it is necessary to manipulate understanding about the disabled for social prejudice. 6. To percept it's disability as 'problem'. To resolve these problem, the disabled need to have adaptive training about disability, society need to change social system and social facilities that consider to do not understand disability as 'probl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