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승연-
dc.creator한승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0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31-
dc.description.abstract테크놀로지의 발전에 의한 사회 변화가 어느 때보다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도 이에 적절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혁신적인 교육 테크놀로지가 도입되어 정착되는 과정은 비교적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 분야에 테크놀로지가 보급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Cuban, 1986). 또한 테크놀로지가 보급되는 것만으로 반드시 교육에 변화가 일어나거나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Mehlinger(1996)는 교육 분야의 변화는 교수자에 의해서 비로소 가능해진다고 지적하면서, 테크놀로지가 교육 향상을 위해 수업에 통합되고 교수자가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될 때 교육 혁신이 일어나게 된다고 하였다. 현재 가상 대학과 관련하여 추진중인 교육부의 정책에서도 교수 연수와 교수자에 대한 지원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교육 환경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학업 성취, 학습자 특성, 학습자의 태도 등에 관련된 것이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교수 방법과 원격 교육의 비교 연구나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주제에 국한되어 왔다(Holmberg, 1986; Keegan, 1988; Peters, 1988; Willis,1994),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채택하는 교육 환경의 변화에 관련된 중요한 요인으로 교수자의 태도와 관심을 지적하고 있다(Gunawardena,1990; McNeil, 1990; Stinehart 1988).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인터넷을 활용하여 가상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관심에 기초한 혁신 채택 모델(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활용하여 인터넷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관심도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내 인터넷 수업의 도입과 실행을 위한 지원 체제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넷 수업에 대한 교수들의 관심 유형은 어떠한가? 1-1. 인터넷 수업의 채택 여부에 따라 교수들의 관심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1-2. 개인 배경에 따라 교수들의 관심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2. 인터넷 수업의 도입과 실행을 위한 지원책 무엇인가? 2-1. 인터넷 수업 채택 여부에 따라 지원책 선정에 차이가 있는가? 2-2. 인터넷 수업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지원책 선정에 차이가 있는가? 3. 인터넷 수업 채택을 촉진하는 요소와 저해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인터넷 수업에 대한 관심도와 인터넷 수업의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요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심에 기초한 채택 모델(CBAM: 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의 관심도 질문지(SoCQ: Stage of Concern Questionnaire)를 주요 연구 도구로 하여 교육부 선정 가상 대학 시범 및 실험 운영 기관으로 선정된 대학 교수 7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수업에 관한 교수의 관심 유형은 CBAM 관심도 수준의 7 단계 점수에 기초하여 네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0 단계의 점수가 가장 높은 경우를 '무관(Unrelated)' 유형, 1, 2 단계의 점수가 가장 높은 경우를 '자신(Self)' 유형, 3 단계의 점수가 가장 높은 경우를 '과제(Task)' 유형, 4, 5, 6 단계의 점수가 가장 높은 경우를 '영향(Impact)'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전반적으로 교수들의 관심 유형은 '영향'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수업의 효과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다른 교수와의 협력 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수업 채택 여부에 따른 교수의 관심 유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인터넷 수업을 하고 있는 교수는 '영향' 유형이 가장 많았고, '과제', '자신', '무관'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터넷 수업을 하고 있지 않은 교수들은 '무관'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영향', '자신', '과제'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수업을 하고 있지 않은 교수의 경우에도 '영향' 유형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인터넷 수업을 하고 있지는 않으나, 인터넷 수업의 효과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높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인터넷 수업의 채택 여부에 따른 관심 유형은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x^(2)=25.154, df=3). 교수의 개인 배경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교직 경력 0-6년 사이의 교수와 7-11년 사이의 교수는 '영향'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12-16년, 17년 이상의 교직 경력을 가진 교수는 '과제' 유형이 가장 많았다. 교직 경력에 따른 인터넷 수업에 대한 관심 유형은 유의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x^(2)=20.274, df=9). 한편, 성별, 네트웍 사용 연수, 인터넷 사용 수준, 인터넷 수업 관련 연수를 받은 경험 유무에 따른 관심 유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수업의 도입과 실행의 지원책은 '지원적 분위기의 조성', '연수', '자문과 강화', '감독', '외부와의 의사 소통', '보급' 등 여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전반적으로 '연수'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보급'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유의 수준 .05에서의 사후분석 결과(Scheffe′)'지원적 분위기'와 '연수'가 '보급'보다 중요한 지원책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인터넷 수업 채택 여부에 따른 지원책 선정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수업을 채택한 경우 '연수'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사후분석(Scheffe′) 결과 '보급' 보다 '지원적 분위기 조성', '연수', '자문과 강화', '감독'이 더 중요한 지원책으로 선정되어야 하며, '외부와의 의사소통' 보다 '지원적 분위기 조성'과 '연수'가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인터넷 수업을 채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연수'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사후분석 결과 '보급' 보다 '연수'와 '감독'이 더 중요한 지원책으로 선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인터넷 수업에 대한 관심과 유형별 지원책 선정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관 유형의 교수들은 '감독' 점수가 가장 높았고 '보급'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사후분석(Scheffe′) 결과 '보급' 보다 '연수'와 '감독'이 더 중요한 지원책으로 선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자신 유형의 교수들은 '감독' 점수가 가장 높고 '보급'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사후분석 결과 '보급' 보다 '연수'와'감독'이 더 중요한 지원책으로 선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과제 유형의 교수들은 '연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보급' 보다 '연수'와 '자문과 강화'가 더 중요한 지원책임으로 선정되어야 함을 나타내어 주었다. 영향 유형의 교수들은 '연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보급' 보다 '연수'와 '지원적 분위기 조성'이 더 중요한 지원책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관심 유형에 따른 지원책 선정은 지원책 각 범주별로 유의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 분석(Scheffe′) 결과 자신, 과제, 영향 유형에 비해 무관 유형의 지원책 점수가 낮았다. 그러나, 인터넷 수업 채택에 따른 지원책 선정은 각 범주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관심 유형와 인터넷 수업 채택간의 상호작용 효과 또한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터넷 수업의 채택을 촉진하는 이유는 '시도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65.9%),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61.4%) 순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수업을 채택하지 않는 이유는 '시스템 환경의 부족'(42.9%), '사용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34.3%)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분석 결과 인터넷 수업의 이점으로는 융통성 있는 학습 환경 제공,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 제공, 다양한 학습 자료 제공 용이, 학습 자료 제시 방법의 다양성, 원활한 의사 소통 가능, 학습 효과 증진, 강의 내용의 공개로 평생 교육의 기회 제공, 정보화 사회에 대한 이해 증진 등이 지적되었다. 한편, 인터넷 수업의 문제점으로는 인터넷 수업 효고성에 대한 우려, 인터넷 수업을 위한 환경 미비, 수업 운영의 어려움, 수업 준비 어려움, 인터넷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과목의 부적절성, 비용에 대한 부담 등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인터넷 수업의 도입과 실행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책의 선정은 교수의 관심 유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인터넷 수업의 준비와 운영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교수들에게 인터넷 수업과 관련된 테크놀로지를 습득할 수 있는 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대학내 인터넷 수업의 도입과 실행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수업에 관련된 실증적인 연구 결과의 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넷째, 효과적인 인터넷 수업의 실행을 위해 교수들에게 인터넷 수업의 방법론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인터넷 수업을 위해 학교의 전산망 이용 확대 및 하드웨어 구축, 학생 개인의 학습 환경 구축을 위한 지원 등 다각적인 정책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수들이 인터넷 수업을 적극 도입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의 제공과 지속적인 동기 유발이 필요하다. 일곱째, 인터넷 수업을 하고 있는 교수들간의 협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덟째, 본 연구에서는 CBAM 중 관심 유형에 관련된 도구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실행 수준과 실행 형태 도구를 사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The tremendous growth in the use of technology has created challenges for education.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universities discover and implement innovative techniques for teaching and learning. But adoption of technology in educational setting remains quite slow, Generally, the diffus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ies into school system has been laboriously slow and in many cases ineffective. In order to help student to be better prepared to work in this information age, educators are beginning to integrate technology within their instruction. Internet-Based Instruction provides one alternative for helping students to be better prepared for the demand's of today's societ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 a policy which relate to establishing 'Virtual Unavertibly' in 1996 and emphasis instructor training and on-going professional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any new reform practice. The dominant focu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duction research has been on learner outcomes, learner characteristics, and learner attitude. The importance of faculty has been largely neglected in the research. The recent studies suggest that faculty attitudes toward instructional technology is a primary factor in the continued growth in th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al set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ge of concern of the instructor's toward Internet-Based Instruction and draw implications from the expressed concerns of the instructors to determine appropriate interventions to assist the instructors through initiation and implementation Internet - Based Instruction . The purposes were accomplished through a survey with a response rate of 21%(N = 79) and interview. Three instruments were combined to collect data. The first part was the SoCQ(Stage of Concern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ll et al.(1986) during the Concern Based Adoption Model(CBAM) Project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The second part was the determining interventions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 using a current literature review and validated by a panel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experts. The third part was questions used during interview.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were: 1. What concerns did teacher have about Internet-Based Instruction? 1-1.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terns of concern between adopter and non-adopter? 1-2.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terns of concer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2. What is the appropriate interventions to assist the instructors through initiation and implementation Internet-Based Instruction? 2-1.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ermination interventions between adopter and non-adoptor? 2-2.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ermination interventions among four patterns of concern? 3. Are there factors that promoted or perceived barriers the adoption of Internet - 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Q identified the instructors' SoC. SoC profiles typified an 'Unrelated'(highest stage in 0), 'Self'(highest stage of 1, 2),'Task'(highest stage of 3), 'Impact'(highest stage of 4, 5, 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oCQ are: The SoCQ results indicated major category of instructor's concerns fall within the 'Impact' category. Analysis of differences of determination interventions result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patterns of concern between adopter and non adopter(χ^(2)=25.154, df=3, p<.05). Adopters are 'Impact' category, and non adopters are 'Unrelated' category. And Analysis of differences of determination interventions results showe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four patterns of concern only teaching experiences(χ^(2)=20.274, df=9,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1) gender, (2) network experience, (3) level of use in internet and (4) training. Seco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Interventions to change facilitation are as follows. To determine appropriate interventions to assist the instructors through initiation and implementation Internet-Based Instruction, intervention to change facilitation was categorized following six components, 'developing supportive organizational arrangements', 'training', 'providing consultation and reinforcem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external communication', 'dissemination'.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determination interventions between adopter and non adopter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interventions. But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determination interventions among four patterns of concern. In all categories of interventions, 'Unrelated' is lower than other three patterns of concern. The thir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adoption of Internet-Based Instruction are as follows. 1. Factor which to relate to adoption of Internet-Based Instruction were 'friability'(65.9%), 'educational value'(61.4%). And perceived barriers are 'lack of facilities'(42.9%), 'feeling of resistance to innovation'(34.3%) . 2. Interviewes indicated 1) the benefit of Internet-Based Instruction: 'constructing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providing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supplying multimedial and plentiful information', 'multimedial presentation', 'improved student's achievement', 'providing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providing opportunity to lifelong education', making informational mindset' and 2) perceived barriers of Internet-Based Instruction: 'lack of time for preparing and management', 'worry over effectiveness', 'feelings of resistant to innovation', 'cost'.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would such as to propose the followings. 1. It is needed to prescribe concern-based interventions. 2. Supplying training to learn technology related to Internet-Based Instruction for instructors. 3. It is essential to provide an output of continued research on the effect of Internet-Based Instruction. 4. It is need to provide Internet-Based Instruction methodology for instructor. 5. It is needed the equipment resources offered through the study and system features affected use internet. 6. Supplying on-going professional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any new reform practice is needed. 7. Providing for instructor facilitated opportunities to share problems and positive outcomes with other instructor is needed. 8. Last, future research using 'Levels of use',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테크놀로지와 교육 환경의 변화 = 7 1. 혁신의 체택과 보급 = 7 2. 테크놀로지 도입과 관련된 요인 = 10 B. 교육 혁신으로서의 인터넷 수업 = 12 1.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 12 2.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 12 3. 인터넷 수업 현황 = 15 C. 관심에 기초한 채택 모형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20 1. 관심도 (Stage of Concerns) = 22 2. 실행 수준 (Levels of Use) = 25 3. 실행형태 (Innovation Configuration Map) = 27 4. 변화 지원자의 역할 = 29 D. 관련 선행 연구 = 32 Ⅲ. 연구 방법 = 36 A. 연구 대상 = 36 B. 연구 도구 및 자료 수집 방법 = 38 C. 연구 절차 = 40 D.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 방법 = 4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4 A. 연구 목적 및 문제 = 44 B. 인터넷 수업에 대한 교수의 관심 유형 분석 결과 = 44 C. 인터넷 수업 지원책에 대한 결과 분석 = 51 D. 인터넷 수업의 채택과 관련된 요인 = 76 E. 인터뷰 결과 분석 = 79 Ⅴ. 결론 및 제언 = 86 참고문헌 = 93 부록 = 101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661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인터넷수업-
dc.subject관심유형-
dc.subject지원책-
dc.subject교육공학-
dc.title인터넷 수업에 대한 관심유형과 지원책 선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시범 및 실험 가상대학 교수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se of Internet-Based Instruction in University and the Intervention to Change Facilitation : Based on the CBAM-
dc.format.pagexv, 12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