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의류산업에서의 POS 시스템 마스터 파일 layout에 관한 연구

Title
의류산업에서의 POS 시스템 마스터 파일 layout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ayout of Master File of POS Data for Clothing Industry
Authors
차주희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의류산업POS시스템마스터파일layou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다품종 소량생산, 상품 개발 사이클의 단축, 소비자 취향이 다양화되고 개성화되는 추세속에서 제조업체는 소자의 요구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고 유통업체는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원하는 시기에 구입할 수 있도록 상품 구색을 갖추는 것이 기업경쟁에서 우위를 결정하는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업체에서는 소비자 조사 및 시장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투입한 비용과 시간에 비해 정보의 정확성과 시기적절성이 문제 되어 의사 결정에 까지 활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유통업체에는 정확한 판매정보의 수집이 어려워 적정재고 관리가 불가능하고 계산 오류 등으로 인해 판매, 재고, 고객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의류 산업은 업종별로 상호 연관되어 있는 스트림 구조, 즉 원사·제직·염색·봉제업계에 속하는 업, 미들 스트림(up, middle stream)과 의류·판매업계의 다운 스트림(down stream)과 계열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트림간의 부조화와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트림간의 정보 전달을 위한 정보 유통체계가 구축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하여 상품의 기획에서부터 생산, 판매, 유통에 이르기까지 정보 네트워크화에 의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통합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여 이들 부분간의 정보 네트워크화를 위한 관련 기반 시스템의 정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의류업체들의 POS 시스템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여 각 업체들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소프트웨어 및 정보 분석과 각 업체들에서 사용하는 상품코드 및 마스터 파일을 분석하여 국내 의류 제조업체뿐 아니라 관련 업체들이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는 마스터 파일 Layout을 제안해 국내 의류산업에서 상품의 기획, 생산, 판매 유통에 이르는 전반적인 의류 생산의 흐름에 관한 연계성을 가지며,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POS 시스템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방법은 97년 국내 의류업계의 각 부문별 (여성복, 남성복, 캐주얼, 아동복, 스포츠웨어, 이너웨어)로 매출 10위권 내에 위치하는 업체들 중, POS 시스템을 사용하는 업체들로 선정하여, 직접 방문하여 POS 시스템 담당자를 대상으로 질문지법과 인터뷰를 통한 직접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업체들의 POS 시스템 관련 일반사항에 관한 결과에 관해 살펴보면, 먼저 POS 시스템 구성은 업체들마다 HOST, 스토어콘트롤러, POS 터미널, 스캐너로 구성되며 대부분 POS 터미널 본체에 스토어콘트롤러의 기능을 내장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통신환경은 본사와 물류창고간은 전용회선을 사용하고 본사와 매장간 연결은 교환회선 (Dial Up)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이미 개발되어 있는 패키지를 사용하기 보다는 자체개발을 하는 경우가 좀 더 많았다. 둘째, POS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및 처리 정보들을 분석한 결과 개·폐점 관리, 매상관리, 발주관리, 수불·재고관리, 입·출고관리, 고객관리, 판매관리, 분석 관리, 마스터파일 관리, 상품이동/반품/교환관리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업체들마다 각 업체의 특성에 따라 지칭하는 용어나 내용에 있어서 통일성이 없었다. 셋째, 조사 대상업체별 사용 상품코드에 관한 결과는 대부분의 업체들이 공통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자사코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의류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 정보가 서로 다르며, 표기하는 코드 항목의 표준화가 미비하고 의류 제품의 체인화된 판매형태 등을 들 수 있었다. 또한 상품 코드의 내용으로는 업체의 특성에 따라 그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조사 대상업체별 마스터 파일에 관한 결과를 보면 각 업체들의 마스터 파일 역시 업체의 특성상 내용에 차이가 있었으며 상품에 관한 정보들로만 구성 된 상품 마스터 파일과, 상품 기획에서부터 발주, 입고, 출고, 판매에 이르는 모든 정보들에 관한 항목을 정리해 놓은 총괄적인 개념의 마스터 파일로 나눌 수 있었다. 다섯째, 조사 대상업체들의 소프트웨어 분석과, 상품코드, 마스터 파일에 관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의류 제조업체와 상품 기획, 생산, 판매, 유통 관련업체들이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는 POS 시스템 마스터 파일 Layout을 제안하였다. 업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터 파일은 상품의 정보만을 정리해 놓은 상품 마스터 파일로 국한시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상품의 기획, 디자인에서부터 생산, 판매, 유통에 이르는 총괄적인 개념의 마스터 파일을 제안한 것은 POS 시스템 정보 처리시 각 부문별 상품에 관한 모든 정보 상태를 리얼 타임(Real Time)으로 집계하여 업,미들 스트림(up, middle, down stream)의 각 단계에서 생산, 판매, 유통 등의 수급 정보 외에 업, 미들 스트림 (up, middle stream) 단계의 소재 정보, 다운 스트림 (down stream) 및 유통단계의 판매 정보, 패션정보를 상호 피드백 할 수 있으며 이는 각 네트워크군이 상호 연결되어 각 단계별로 일괄 된 정보 시스템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의류 산업의 통합시스템 구축을 확립하기 위함이다. 의류산업은 산업구조의 특성상 대부분이 영세 중소기업을 차지하고 있는 관계로 각 부문간 공동으로 협조 체제를 구축해야 하며 이는 업체 개별 차원이 아니라 지역 및 국가 의류 산업 전체적인 차원에서 공동적으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품코드의 표준화를 비롯, 사이즈, 색상 등 국내 의류업체간 단계별 표준화, 업종별 표준화 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각 업체별, 업종별로 전체의 공통된 의견을 수렴하여 제도화에 반영해야 한다.;Recently clothing industry has been changed to the direction where customer demands dictate the work, product and market. The systems which are developed in order to make this change possible are called QR(Quick Response) systems in general. Therefore QR systems include product development, manufacture, marketing, sales and management systems from all sectors of the industry. One of the crucial points of these systems are quick and accurate access of information about customers needs of targeted market. POS (Point on Sale) data is one of the most valuable raw data for information about customers needs. If a shop has a POS system, whenever a customer buy a clothing a sales person scans a bar code of that particular goods and the data about that purchase are sent to the main database of the company. The bar code represent a set of data code, which can be nationwide 'KAN (Korean Article Number) code' or individually defined 'company code' . This is how POS data are being accumulated. So it is very important that how the bar code can be interpreted in order to give necessary information to manufacturer as well as marketing companies and other related companies. Master file of the POS data determines the specific data of each data field. If any data field is not defined in a master file, we cannot find out any information about that data field. So the layout of the master file requires decent understanding on the information flow throughout the industry. This thesis is mainly about the layout of a master file of POS data for clothing industry, so that related supply chain of clothing can share informa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of: 1.Pre-interview a few companies who is using POS system to find out which code system they are using and how they process POS data. 2.Interview the EAN Korea to understand the usage of POS data in Korean clothing industry. 3.Interview 28 companies about which code system they are using, i.e. KAN code or company code, and how their master file of POS data is layout.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4.Because of diversity of products, Korean clothing companies are using company code rather than KAN code. Yet they are realizing the necessity of moving towards KAN code. 5.The reason of not using KAN code is because of shortage of data field in KAN code, unless KAN code fields are used as 'recognizing code' rather than 'one code to one data field'. 6.We decided to regard the KAN code as a recognizing code. And we are suggesting a master file layout, which can be used in clothing industry in gener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