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노동자들의 소외의식에 대한 연구

Title
노동자들의 소외의식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psychological State of Alienation of Modern Industrial Workers : With Emphasis on Comparison between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Authors
李恩京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노동자소외의식노동자소외의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which is a distant feature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through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alienation on the part of Korean workers. For this purpose, the writer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through a questionaire survey on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workers employed in business establishments in Seoul and its suburbs. The Writer's use of the concept of alienation is based on Seeman's alienation theory which understands alienation as consisting of six dimensional concepts of Powerlessness, Meaninglessness, Normlessness, Self-estrangement, Social Isolation, Isolation from Organizational goals. The problems raised in this empirical study are (1) to show the degree of alienation experience on the part of blue collar workers in comparison with that of white collar workers, and to verify whether the alienation experience of blue collar workers are more severe than that of white collar workers, as argued in classical alienation theory and various other empirical surveys. (2) to analyse the relation of alienation and so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 and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degree of bureaucratization, human relations of fellow workers, degree of particip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degree of job satisfaction With this problems,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Ⅰis about problem statements. Chapter Ⅱ is devoted to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alienation and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alienation of workers. In the Chapter Ⅲ, an analytical frame work for the empirical survey is provided. In the Chapter Ⅳ,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a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nd the conclusion are drawn in the final chapter.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1) phenomenon of alienation is more seriously experienced by blue collar workers than by white collar workers, and as any variables, the degree of alienation experience turns up much higher in case of blue collar workers than in case of white collar workers, which supports Marx's classical theory of alienation. (2) within white collar workers and blue collar workers the degree of alienation experience differ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bureaucratization, job satisfaction, and social background. ;본 논문은 현대산업사회의 뚜렷한 특성인 소외현상을 한국사회의 노동자들의 소외의식에 촛점을 두어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헌 연구와 경험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연구는 서울시및 근교의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사무직 노동자와 생산직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특히 조사연구에서는 소외의 개념을 시이맨(Melvin Seeman)의 이론에 기초해 무력감(Powerlessness), 무의미(Meaninglessness), 무규범(Normlessness), 자기소원(Self-Estrangement), 사회적고립(Social Isolation), 조직목적으로부터의 고립(Isolation from Organizational Goals)의 여섯가지 양상으로 파악하여 사용하였다. 조사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문제는 첫째로, 생산직노동자들의 소외현상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가를 사무직노동자들의 소외경험정도와 비교분석함으로 밝히고, 그것이 마르크스(Karl Marx)의 고전이론과 여러 경험 연구들에서 주장하듯이 사무직노동자와 비교해서 생산직노동자들의 소외경험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며, 둘째로 같은 직종내에서도 관료화정도, 직장동료들과의 친밀도및 자발적 결사체에의 참여도, 직업만족도의 사회구조적 특성이나, 사회심리학적 변수들이 소외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제기하에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Ⅰ장은 문제제기부분이며,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소외이론및 노동자들의 소외현상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되었다. Ⅲ장에서는 경험적 조사연구를 위한 분석틀이 제시되었고, Ⅳ장에서 조사연구의 결과가 분석되었으며, Ⅴ장에서 앞서의 결과가 요약되고 종합적인 결론이 내려졌다. 조사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직노동자들의 소외현상은 사무직노동자의 소외경험정도와 비교해 볼때 매우 높은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마르크스의 고전이론을 지지하는 것이었다. 둘째, 같은 생산직·사무직노동자들이라도 모든 노동자들이 직업만족도의 변수에 따라서 소외경험의 정도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사무직노동자들은 관료화정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동료들과의 친밀도및 자발적 결사체에의 참여도에 따라서는 모든 노동자들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