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姜淑子-
dc.creator姜淑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95-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는 韓國傳統社會 여성의 삶을 여성학적 관점으로 재조명을 시도 하였다. 本 稿에서 여성학적 관점이란 탁월한 소수 여성들이 남성의 역사에 기여한 업적을 발굴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평범한 대다수 여성들의 삶을 부각시킴으로서 이들을 역사 발전의 주체자로 보려는 것이다. 그런데 60년대에 행해진 일련의 연구들은 불평등한 제도나 유교 명분에 의거한 三從之義 男尊女卑의 일반론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전통사회 여성의 삶에 대한 역사적 실체를 올바로 파악할 수 없었다. 이미 40년전의 이론인 法制度와 實生活 간에는 괴리가 있으며, 특정 종교의 틀에 맞추어 역사를 기술하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것임을 전제할 때 한국전통사회 여성의 삶은 보다 다양하고 역동적이리 라는 가설 설정이 가능하였다. 이 가설을 검증하고 역동적인 삶을 재 조명하기 위하여 제 2장 이론적 배경으로 서구 여성학에서 논의된 선행연구들을 소개하였다. 1절 生産者로서의 여성에는 P. 산데이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여 환금성 작물(cash-crop)재배와 여성의 지위와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2절 出産者로서의 여성에서는 여성은 출산을 담당함으로 자연(Nature)에 보다 가깝고 男性은 문화(Culture)를 담당하여 문화가 자연보다 우위에 서므로 여성의 낮은 지위를 설명했던 오트너의 이론을 반박한 맥코맥의 이론을 소개하여 출산이 문화권에 따라 다양한 가치를 지니며 출산자로서의 여성은 대접을 받게됨을 그녀는 주장하였다. 3절 家族文化 전승자로서의 여성의 전반부는 雨系制 가족제도(Bilateral Kindred)에서 여성의 자율성을 논한 바바라·.와드의 이론 소개하고 후반부는 父系制, 母系制, 雨系制의 가족제도와는 상관없이 家族내에서 어머니의 권한과 역할을 중시하고 여상문화에 초점을 맞춘 낸시·태너의 母중심가족(Matrifocality) 이론을 소개하였다. 제 3장은 여성의 역동저인 삶을 검증하는 순서로 1절에서 朝鮮王朝의 기본 성격을 입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제 2절 여성의 母權과 治家事를 出山과 養育, 奉祭祀와 接賓客, 紡績과 農事의 세항목으로 나누어서 살펴 보았다. 제 3절에서는 治家者와 母權者로서의 여성의 가족관계를 夫婦관계, 母子·姑婦관계, 친정과의 관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제 4장은 앞에서의 제반 논의들을 종합 분석하여 結論으로 맺음하였다. 즉 朝鮮朝 여성들의 삶은 男尊女卑나 三從之義로 박제된 것이 아니라 역동적이었다. 유교 여성관의 힘을 발휘하고 살도록 보장하였고, 비록 朝鮮王朝가 합법적인 권위(authority)를 남성에게 부여하였으나 治家者로서의 아내는 실질적인 권력(Power)을 행사하였다. 특히 母權者로서의 어머니는 권위나 권력 모두를 행사하록 법이나 규범이 보장하였다. 이러한 관계로 家族內에서 어머니의 권한과 역학의 중요성과 母·子女유대와 여성문화를 중시한 낸시·태너의 이론에 비추어 朝鮮祖社會를 母중심가족으로 제시하였다.;This study is aimed at to reinterprets the woman's life in Cho Sun Dynasty in the context of a new feminist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innumerable ordinary women's active contributions in history through their ordinary works and daily life. A series of studies on woman in preindustrial society in Korea undertaken in early 19601s focussed only on unequal institutions and a negative aspect of Confucian doctrines toward woman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general statement man superior-woman inferior dichotomy and three rules which a woman should follow throughout her life time; before marriage, a daughter should follow her father's opinion, upon marriage, a wife to husband's, after her husband's death, she must follow her son's opinion. These kinds of studies did not properly make us understand a historical entity of woman Is life in Cho Sun Dynasty. If we accept a theory of 40 years ago, which tells a difference exists between institutions and real life, and describing a history in accordance with a framework of a specific religion means seeing the trees only while missing the woods, a hypothesis could be proposed that woman's life was various indeed and even dynamic in Cho Sun Dynasty. In order to prove the above mentioned hypothesis and recast the light on their works, the chapter Ⅱ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es several theories in the field of Women's Studies in the West. In section 1 of woman as producer, it introduces a theory by Peggy R. Sanday in the sense that woman's status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oman planting cash-crops. In section 2 of woman as reproducer, it introduces a theory by MacCormack who critisizes Ortner's which formulates a nature-culture versus woman inferior-man superior dichotomy. MacCormack insists that this type of dichotomy is solely based on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while it is not applicable in the other part of the world, and reproduction is highly valued. In section 3 of woman as familial rites transmitter, a theory by Barbara E. Ward is introduced in the first part which says woman's life is much autonomous under the bilateral kindred family system . Matrifocality by Nancy Tanner is summerized in the latter part which emphasizes mother is power and her important roles in the family and a close mother-child bond and woman centered rites without concerning any type of family system. In order of proving woman's dynamic life, a primary characteristics of Cho Sun Dynasty is reexamined in section1 of the chapter Ⅲ. In section 2. woman's power as a mother and woman Is works include reproduction , raising and educating children, receiving ancestor worship, preparing foods for visitors , weaving cloth and agricultural works in the field. In section 2, woman's family relations is reviewed; husband and wife relation, mother and so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relations , and relations with her maiden home. The conclusion is formulated in the chapter Ⅳ by summerizing and analysing all the discussions suggested throughout the thesis . Shortly speaking, woman's real life in ChoSun Dynasty was not strictly framed by man superior-woman inferior dichotomy and three rules (三從之義), but was various and dynamic , because the complementary aspect of confucian discipline about woman and woman‘s having property right rather support them to live in power. Even if a legitimate authority was conferred to man socially, a wife who controlls household affairs utilized her real power. Especially when a woman becomes a mother, she excercised both authority and power guaranteed institutionally and normatively. In this regards, it is proposed that Cho Sun Dynasty was a matrifocal society which emphasized mother's right and her important roles, a close mother-child bond and woman's unique cultural rites by N. Tann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緖論 =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2. 硏究方法 = 6 Ⅱ. 理論的 背景 = 8 1. 生産者로서의 여성 = 10 2. 出産者로서의 女性 = 13 3. 家族文化 傳承者로서의 女性 = 15 Ⅲ. 韓國傳統社會 女性의 삶 = 17 1. 韓國傳統社會의 기본성격 = 17 가. 儒敎의 女性觀 = 17 나. 인구 생태학적 여건 = 24 다. 경제구조와 役체계 = 26 라. 男歸女家婚과 상속제도 = 30 마. 結婚制度 = 34 2. 女性의 母權과 治家事 = 43 가. 出産과 養育 = 43 나. 奉祭祀의 接賓客 = 48 다. 紡績과 農事 = 50 3. 治家者와 母權者로서의 여성의 家族關係 = 55 가. 夫婦關係 = 55 나. 母子·姑婦관계 = 62 다. 친정과의 관계 = 66 Ⅵ. 結論 = 68 참고문헌 = 73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53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전통사회여성-
dc.subject-
dc.subject전통사회-
dc.subject여성학-
dc.title韓國傳統社會女性의 삶에 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omen's Living History in Pre-industrial Society of Korea-
dc.format.page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