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善淑-
dc.creator朴善淑-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9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현대 韓國 都市旣婚女性의 性役割特性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우울 및 불안정도를 測定해 봄으로써 性役割특성과 여성의 정신건강이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目的은, 1970년대 이후 서구에서 기존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벗어나는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된 심리적 양성성(Psychological Androgyny)이 우리의 문화규범적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개념임을 實證함으로써 여성과 남성간의 관계를 보다 평등적이고 자유로운 상태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려는 것이다 특히 개인의 삶이 그가 속한 사회의 文化的 규범과 가치에 의해 영향을 주고 받는 역동적 관계에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사회변화에 따라 여성에게 요구되는 역할기대와 이에 부응하는 여성의 노력은 갈등과 모순 혹은 통합의 어려움을 겪게 하는데 ,이에 대해 적응보다는 변화의 측면에서 서구에서 제시된 '심리적 양성성'에 대한 實證的 연구는 의의깊다고 본다. 이같은 목적을 위하여 本 硏究는 BEM의 性役割特性檢査(Bem's Sex-Role Inventory : B.S.R.I.) 道具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을 性役割特性에 따른 4模型(Femininity, Masculinity, Androgyny, Undifferentiated)으로 분류하였고 이들 각각을 A.T.Beck의 우울측정도구(Beck's Depression Inventory : B.D.I.)와 C.D.Spielberger의 불안측정도구(Spielberger's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 S.T.A.I.)를 사용하여 여성의 性役割特性과 정신건강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대상표집에 있어서는 교육지향적은 '집단Ⅰ', (Ⅰ群)과 상담지향적인 '집단 Ⅱ(Ⅱ群)을 임의로 설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집단Ⅰ'의 경우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과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수강생 중 기혼여성과 주부아카데미협의회, Y.W.C.A, 가정법률상담소, 대한주부클럽연합회에 가입한 회원중 기혼여성을 대상으로하여 1987년 9월 1일부터 1987년 10월 5일까지 性役割특성검사와, 우울 및 불안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Ⅱ'의 경우, 서울시내에 있는 3개 대학부속병원(고려대학교부속병원, 서울대학교부속병원, 이화여자대학교부속병원)과 1개 종합병원(고려병원)에서 신경정신과를 방문한 외래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1987년 3월 15일부터 1987년 10월 26일까지 성역할특성검사와 우울 및 불안검사를 실시하였고, 개별면담도 병행하였다. 이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지향적인 '집단Ⅰ'은 상담지향적인 '집단Ⅱ'보다 우울 및 불안 검사(BDI, SA, TA)에 있어서 모두 더욱 건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Ⅰ'에서는 Bem의 네 집단 분류에서 양성성을 보이는 'A집단'이 우울 및 불안검사(BDI, SA, TA)에서 모두 현저히 낮은 수준을 나타냄으로써 가장 건강한 성역할특성 집단임이 밝혀짐으로써 심리적 양성성의 긍정적인 면을 입증해 주었다. 세째, '집단Ⅱ'에서는 Bem의 네 집단別 우울 및 불안검사(BDI, SA, TA)에서 모두 一貫性있게 나타나지 않았고 'A집단'이 건강한 집단으로 나타나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는 Sedney(1977a)와Kaplan(1979)의 임상 연구결과와 일치함의로써 심리적 양성성의 否定的인 측면을 보여 주었다. 네째, '집단Ⅰ'에서는 본인의 학력, 취업, 월소득 등의 인구학적인 변인과 주부로서의 만족도, 性生活 만족도, 부부관계유형 등의 심리사회학적인 변인이 기혼여성의 정신건강에 의미있는 관계를 보여 주었다. 다섯째, '집단Ⅱ'에 있어서는 '집단Ⅰ'에서 의미있게 나타났던 어떠한 변인도 의미있는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로써 심리적양성성이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機能的인 측면과, 아울러 逆機能的인 측면 모두가 實證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ex - Role Traits and Mental Health of Koean Urban Married women by apprehending Sex- Role Traits and by measuring the degree of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Androgyny',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ex- Role Stereotype, reinforced by patriarchal society and culture, can be adaptable to our Korean culture and contributing to greater Sex- equality. In as much as the existence of an individual is decided by dynamics created by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norms and values of the society in which one belongs, a woman might meet many problems and conflicts. Therefore a study on Psychalogical Androgyny, emphasize 'change' instead of 'adaptation' gives significant meaning. For this purpose two exemplified groupes were selected from Korean Urban Married Women. The exemplified 'Group I ', which had a sample size of 418, was selected from the married Women who were enrolled in The School of continuing Educ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The School of Continuing Education of Ducks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members of Y . M . C. A ., Korean Federation of Housewives Clubs, Korea Legal Aid Center for Family Relations, and Federation of Housewives Academy, These women participated in this test from September Ist, to October 5th, 1987. The exemplified 'Group Ⅱ', which had a sample size of 65 was selected from the clients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 Korea University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ssity Hospital, and Korea General Hospital. These women participated in this test from March 15th, to October. 26 th, 1987. Each groups was tested by S.L.BEM'S Sex-Role Inventory (B.S.R.I.), A. T . Back's Depression Inventory, (B . D. I. ) , and C. D. spielberger's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 T . A . I . ) .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Psychological Androgyny has a beneficial effect on women's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education-oriented 'Group I ' showed lower scores in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e counseling-oriented 'Group Ⅱ', therefore, the Group I identified to be healthier than the Group Ⅱ. 2) In Group I the Subgroups 'A' (Androgyny) showes to be the healthiest group in depression and anxiety tests. Therefore, Group I demonstrated the positive aspects of Psychological Androgyny. 3) In Groups Ⅱ among BEM's all subgroups (Fenininity, Masculinity, Androgyny, Undifferentiated) . Showed no consistancy, moreover the subgroup 'A' did not emerge as the halthiest. Such result revealed the same results with Kaplan(1979). and Sedney(i977. a)'s Clinical Study. Therefore the results of Group Ⅱ indicated the negative aspects of Psychological Andorgyny . 4) Tests had been also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other factors : Seven demographic factors of 'Age' 'Religion' 'Education' 'Marital State' 'Employment' 'Income' 'Family Structure' and five psycho -social factors of 'Consceousness of Sexual Equality' 'Right to Handle Domestic Economy' 'Pattern of Power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In Group I 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 'Employment', 'Income', and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as a Housewife', 'Satisfaction of Sexual Life' and 'Pattern of Power Relationship Between Spouses' has meaningful functions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women. In Gorup Ⅱ no factors has any meaningful functions.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both the positive aspect (gain), and the negative aspect (loss) of Psychological Andrgyny has on the mental health of Korean Urban Married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Ⅱ. 理論的 背景 = 5 A. 性役割特性 理論 = 5 B. 憂鬱 및 不安에 관한 理論 = 11 C. 性役割 特性과 女性의 精神健康과의 聯關性 = 20 D. 人口學的變因 및 心理社會學的 變因과 女性의 精神健康과의 聯關性 = 25 Ⅲ. 假設 = 33 Ⅳ. 硏究方法 및 節次 = 35 A. 연구방법 = 35 B. 硏究節次 및 檢査實施 = 38 Ⅴ. 硏究結果 및 論議 = 41 A. 結果 및 分析 = 41 a. 假說-Ⅰ의 檢證結果 = 45 b. 假說-Ⅱ의 檢證結果 = 48 c. 假說-Ⅲ의 檢證結果 = 54 d. 假說-Ⅳ의 檢證結果 = 55 e. 假說-Ⅴ의 檢證結果 = 57 B. 論議 = 63 Ⅵ. 結論 = 71 A. 要約 = 71 B. 硏究의 制限點 = 75 C. 提言 = 76 附錄 = 78 참고문헌 = 117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18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혼여성-
dc.subject성역할-
dc.subject우울-
dc.subject불안-
dc.title旣婚女性의 性役割特性과 憂鬱 및 不安의 關係에 對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x-role traits in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withanxiety-
dc.format.page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