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영미-
dc.creator장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2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ethnographic study is explore the process of sharing idea in the drama play by children. Subjects of study were children in the class who were mainly engaged in housekeeping area and block area. In this study, cases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fant observation between August 28, 1997 and Dec. 5, 1997. Minute fiele-notes were made out field-jotting and recording. Interview and gathering the literature were performe continuously in this time. The cases were analyzed after coding and categorization by Bogdan & Biklen(1992)'s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Main theme of the play appearing in drama play was closely related to life experience of children. Main themes of drama plays included mainly experiences related home, com munity and mass communication. Along with roles of members of family, mother, elder brother and elder sisters etc. in the plays role performance of members of family was incorporated. In the drama play what are experienced in community such as in groceries, restaurants and hair dressers by children were included. Impact of mass communication whose influence grows stronger the nearer we get to modern time was reflected in drama play. 2. In the selection of theme and the process of dramatic play children shared their experiences while partaking in ideas cropping up from time to time. In the course of proceeding with drama play participants to plays either accepted mutually presented ideas or added to it or rejected it. 3. Since drama plays were mainly 'performed among groups who are familiar each other already for this reason ideas mutually exchanged among children in drama play were accomodated rather than rejected and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play has been expanding. children who played leading roles within play group were children with rich ideas and thanks to them drama plays with diverse themes were performed and left a great impact upon expansion of drama play. 4. Teacher of Kukhwa Class participated to preparation of plays and supplying ideas and plays in connection with drama play. Such preparation of play, supply of ideas and participation to plays were carried out under continuous interest and observation of teacher and She helped make play of children in drama play diversified and brisk.;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극놀이 중에 아이디어를 나누며 그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을 문화기술적(ethnographic)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극놀이 중에 나타난 놀이주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2. 극놀이의 시작과 진행과정에서 아이디어는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3. 극놀이 중 놀이그룹은 아이디어를 나누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극놀이 중 교사는 아이디어를 나누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하는 유치원에서 만 5세 유아들의 한 학급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이 만 5세반 한 학급의 유아들 중 소꿉영역과 쌓기 영역에서 주로 놀이를 하는 유아들과 교사였다. 자료 수집은 1997년 8월 28일부터 1997년 12월 5일까지 총 30회 참여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현장 약기(field jottings)를 바탕으로 현장기록(field records)를 작성하였다. 또한 교사와 유아들과 총 13회 면접하여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Bogdan과 Biklen(199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한 뒤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극 놀이 중에 나타난 놀이 주제는 유아들의 삶의 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극놀이의 주제들로 가정, 지역사회, 매스컴에서 경험한 것들이 주로 나타났다. 가정 안에서의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 즉 어머니, 형, 누나, 동생 등의 역할 등이 등장하면서 가족의 역할행동을 놀이 중에 나타냈다. 유아들이 지역사회에서 접하는 가게, 식당, 미용실에서 경험했던 것을 극놀이 중에 보였다. 그리고 현대 사회가 올수록 그 영향력이 날로 높아져가는 매스컴의 영향이 극놀이 중에 반영이 되었다. 둘째, 극놀이의 주제선정과 진행과정에서 유아들은 순간 순간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경험을 공유해갔다. 극놀이의 주제선정 과정은 준비된 놀이감을 보고서 놀이 주제 아이디어를 떠올리거나 구조물을 만들다가 우연히 놀이 주제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도 했고 극놀이 주제 아이디어를 선정한 후에 구조물을 만들다면서 놀이를 진행해 나가기도 했다. 극놀이의 진행과정에서는 놀이 참여자들이 서로간에 제시한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덧붙이기도 했고 거부를 하면서 극놀이를 진행해 나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혼자만이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주제와 역할을 공유해 나감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이미 친숙한 놀이 그룹끼리 주로 극놀이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극놀이 중 유아들간에 주고받는 아이디어는 거부되기보다는 수용이 되고 덧붙여지면서 놀이가 확장되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놀이 그룹은 극놀이를 할 때 놀이 그룹을 형성하는 유아들끼리 놀이를 하려고 해서 자신의 놀이 그룹의 유아가 놀이에 참여를 하려고 하면 배타적으로 반응을 했다. 또 놀이 그룹 안에서 놀이를 주도하는 유아들은 주로 아이디어가 풍부한 유아들로서 이들로 인해 다양한 주제의 극놀이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극놀이가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국화반 교사가 극놀이 중에 보여준 모습은 유아들이 극놀이 중 아이디어를 나누는데 있어서 지지자의 역할을 했다. 교사가 극놀이 중 보여준 것은 놀이 준비, 아이디어 제공과 놀이 참여였다. 이러한 놀이 준비, 아이디어 제공과 놀이 참여는 바로 교사의 끊임없는 관심과 관찰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것은 극놀이 중에 유아의 놀이가 다양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자의 배경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극놀이에 나타난 상호주관성 = 6 1. 극놀이의 개념 = 6 2. 상호주관성의 개념 = 7 3. 극놀이에서의 상호주관성 발달 = 11 B. 극놀이에 나타난 교사의 역할 = 19 Ⅲ. 연구 방법 = 24 A. 문화기술적 연구(ethnographic Research) = 24 B. 연구 대상 = 27 C. 연구 절차 = 31 Ⅳ. 전형적 하루 일과와 극놀이 = 37 A. 국화 반의 하루일과 = 37 B. 국화 반의 극 놀이 = 42 Ⅴ. 극놀이 중의 아이디어(idea) 나누기(sharing) = 51 A. 극놀이의 주제 선정과정에서 아이디어 나누기 = 52 B. 극놀이의 진행과정에서 아이디어 나누기 = 59 Ⅵ. 아이디어 맨(idea man)과 아이디어 지지자인 교사 = 83 A. 아이디어 맨 = 83 B. 아이디어 지지자인 교사 = 91 Ⅶ. 논의 및 결론 = 103 A. 논의 = 103 B. 결론 및 제언 = 107 참고문헌 = 110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161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극놀이-
dc.subject각본-
dc.subject연구-
dc.title유아의 극놀이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함께 만들어 가는 각본-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ramatic play of childrren : Scenario being composed together-
dc.format.pagevii, 11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