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仁壽-
dc.creator李仁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12-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s a study of the interpretations of the negation ambiguity in English. Traditionally negative sentences have been considered to be ambiguous. Various attempts to find a solution for the negation ambiguity have been made. These include analyses based on "truth-conditional semantics" and analyses based on non-truth-conditional semantics. In the ,former analyses, a negative sentence is treated to have "scope ambiguity," which can be only represented in the form of logical structure. The latter analyses also treat negative sentences containing presuppositions or implicatures, and analyze the non-logical meaning as the marked use of the external negation, which is a pragmatic view. According to the pragmatic view, the negation ambiguity can only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the sentence. Consequently, neither of these two approaches provides a complete explanation for the phenomenon of the negation ambiguity. Contrary to the two approaches, "situation semantics" can account for the negation ambiguity properly combining the truth-conditional literal aspect of meaning and the non-truth conditional non-literal aspect of meaning of the sentence. In this theory, meaning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stellation of situations, i.e., constituent situations such as utterance situation, discourse situation, described situation, and resource situation Each situation can specify the referential meaning, presupposition, implicature, speaker's own notion, and phonological information of the expression. Then a negative sentence is considered to have a negative infon in the situation. In this thesis, we will analyze some negation data based on several theories including situation semantics and show that the phenomenon of negation ambiguity is best accounted for in this semantic framework.. We will also suggest some remaining research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이 논문은 영어 부정문의 중이성의 해석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부정문의 중이성 현상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 대표적인 두 가지 이론으로는 진리 조건 의미론에 근거한 분석과 비진리 조건 의미론에 근거한 분석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논리 형식으로 영향권의 범위를 나타내주는 분석으로서 단지 술부 부정과 문장 부정만을 설명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화용론적 관점으로 화맥에 근거하여 의미를 설명해준 분석이다. 그러나 이 두 이론은 부정문의 중의성을 부분적으로만 밝혀 주었다. 이에 비해 상황 의미론은 이 두 측면을 상호 보완하여 결합한 이론으로서 영어 부정문의 이중성 현상을 적절히 설명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부정문의 중의성 현상을 이와 같이 여러 이론들에 근거하여 분석해보고, 이 이론들 중 상황 의미론이 이 언어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이론임을 보이려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부정문에 대한 진리 조건적 의미론에 근거한 대표적인 분석으로서 Strawson(1950)의 전제 이론과 Russell(1905), Wilson(1975) 등의 함의 이론을 살펴보고, 의미의 개념을 고정 함축(Conventional Implicature) 의미까지 확장한 Kartunnen과 Peters(1979) 등의 이론을 논의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화용론적 분석에 근거한 Kempson (1977), Givon(1984), Horn (1989)등의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들 이론들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Ⅴ장에서 다루게 될 상황 의미론에 근거한 부정문 분석의 논의를 위해, 그 이론적 배경으로 상황 의미론을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Barwise와 Perry(1983)가 제안하고, Gawron과 Peters(1990), Devlin(1991) 등이 발전시킨 상황 의미론의 이론적 배경과 이론적 개념들에 대한 소개이다. 상황 의미론은 발화의 의미를 발화가 이루어지는 발화 상황(utterance situation)과 담화 화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담화 상황(discourse situation), 발화가 기술하는 대상이 되는 기술 상황(described situation), 그리고 기술상황에 포함되는 개체나 관계 (혹은 속성)에 대한 배경 정보를 나타내는 자원 상황(resource situation) 등으로 이루어진 상황군(constellation of situation)을 이용하여 제시한다. 이 상황군은 음운적,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정보를 모두 가진 복합체로 제시되어진다. 실제로 상황 의미론은 언어의 의미 분석에 있어 발화 상황을 비롯한 여러 상황들이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상황간의 관계에서 의미를 얻어낸다는 언어 관계 이론(relational theory of language)에 근거하고 있다. Ⅴ장에서는 상황 의미론을 이용한 부정 발화의 실제 분석으로서 이제까지의 상황 의미론 내에서 아직은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부정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제시된다. 즉 종래 의미론의 문제점이었던 함축 의미를 자원상황으로 형식화해주고,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필요한 담화 상황이나 대화 참여자들의 지식 상태들까지도 자원 상황에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황 의미론적 의미 기술을 나타낸다. 부정 발화 분석은 일반 부정문으로부터 시작하여 문장 부정과 부인과의 관계, 특정 어휘로부터 나오는 전제 의미를 갖는 부정문, 또한 부정과 양화 현상과의 관계를 제시해 본다. 여기에는 이전 연구의 문제점이 되었던 예문들이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종래 의미론과 화용론에 근거한 분석이 둘 다 부분적인 분석이었음을 증명한다. 특히 상황 의미론에 근거한 분석이 부정과 양화 현상에 도입되어온 영향권 분석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이에 의한 의미와 또 종전 이론들에 의해 다루어지지 못했던 의미까지도 모두 적절히 기술해 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Ⅵ장에서는 종합적으로 부정의 중의성에 관한 여러 의미 이론을 비교하여 해결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진리 조건적(논리적) 관점 = 4 A. 영향권 분석 (Scope Analysis) = 4 B. 전제 이론(Presupposition Theory)에 근거한 분석 = 7 C. 함의 이론(Entailment Theory)에 근거한 분석 = 9 D. 전제 이론과 함의 이론의 비교 = 11 E. Seuren(1988)의 분석 = 12 F. Karttunen과 Peters(1979)의 분석 = 13 Ⅲ. 화용론적 분석 = 16 A. 애매성(Vagueness)에 근거한 분석 = 16 B. 상위 언어적 부정(Metalinguistic Negation)에 근거한 분석 = 19 C. 담화 전제(Discourse Presupposition)에 근거한 분석 = 21 Ⅳ. 상황 의미론 (Situation Semantics) = 24 A. 이론적 배경 = 24 1. 언어 관계 이론 (Relational Theory of Language) = 25 2. 지각과 인지 (Perception and Cognition) = 25 3. 제약(Constraints)과 의미 결정 = 26 B. 이론적 구성 = 28 1. 상황 (Situation) = 28 2. 명제(Proposition)와 정보원 (Infon) = 32 3. 변항 (Parameters) = 34 Ⅴ. 상황 의미론에 의한 부정문 분석 = 36 A. 일반 부정문 = 36 1. 주어 부정 의미 = 38 2. 목적어 부정 의미 = 40 3. 술부 부정 의미 = 41 4. 시제 부정 의미 = 42 B. 문장 부정 (Sentence Negation) = 43 C. 대화 함축과 전제 포함 부정문 = 50 1. 존재적 전제(Existential Presupposition) 포함 부정문 = 50 2. 척도 함축 포함 부정문 = 55 3. 함축 동사 (Implicative Verb) 포함 부정문 = 59 C. 부정과 양화 = 62 Ⅵ. 부정의 중의성에 관한 종합적 견해 = 69 Ⅵ. 결론 = 74 참고문헌 = 7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131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영어-
dc.subject부정문-
dc.subject중의성-
dc.subject의미론-
dc.title영어 부정문의 중의성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emantics of Negation Ambiguity-
dc.format.pagevi, 8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