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志賢-
dc.creator金志賢-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0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09-
dc.description.abstractEthanol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in animals and some cell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is action is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ethanol resistance were induced in HL-60 cells, RIF-2 and TR-RIF-1 cells, and the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poptosis, DNA repair, cytosolic Ca2+ concentration, intracellular GSH contents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To obtain ethanol resistant cells, HL-60 cells were treated with 1% ethanol for 24 hour, and followed by 2% ethanol treatment, and the cell survivals of these cells were determined by trypan blue exclusion method. Detections of DNA fragments caused from cell apoptosis were carried out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the total amounts of DNA fragments were measured by diphenylamine method. DNA repair capacitie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unscheduled DNA synthesis and the amounts of cytosolic Ca^(++) were measured using fluorescent probe, fura-2/AM by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 Contents of intracellular GSH were determined as total amounts of GSH and GSSG. Induction of ethanol resistance was confirmed in radiation induced mouse fibrosarcoma(RIF-1) and thermotolerance induced TR-RIF-1 treated with 4% ethanol after the first 2% ethanol for 24 hour. Characteristics of ethanol resistant cells have been demonstrated as increased survival by ethanol treatment, decreased apoptosis by stresses, decreased cytosolic Ca^(++) concentration which may pres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phenomenon. Ethanol resistant cells treated with 2% ethanol could maintained higher GSH level than control cells and only 2% ethanol treated cells, which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might play a role in ethanol resistant cells. It seems as though the change in DHA repair capacity does not coincide with other biochemical parameters tested here in ethanol resistant cells.;에탄올은 동물과 일부 세포에서 내성을 유도한다. 그런데 이 내성에 대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 백혈병 세포인 HL-60 세포에서 에탄올을 처리하였을 때와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유도되었을 때 세포내 생화학적인 변화인 apoptosis, 세포질의 Ca^(++) 농도, 세포내 GSH 양, DNA repair의 변화를 관찰하여 내성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에탄올 내성 세포를 얻기 위하여 HL-60 세포를 1% 에탄올로 24시간 처리한 후 2% 에탄올을 처리하였으며 이 때의 세포생장율은 trypan blue exclusion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에탄올에 의하여 유도되는 apoptosis에서는 DNA fragmentation을 확인하기 위하여 agarose electrophoresis를 행하였고, fragmented DNA 정량은 diphenylamine법으로 실시하였다. DNA repair capacity는 unscheduled DNA synthesis로 결정되어졌으며, 세포질 Ca^(++)농도는 fura-2/AM을 사용하여 flourescence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세포내 GSH양은 GSH와 GSSG를 포함한 양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에탄올에 의한 내성이 다른 세포에서도 유도되는지와 열에 내성이 있는 세포에서도 유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mouse의 fibrosarcoma (RIF-1)와 열에 내성이 있는 TR-RIF-1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2% 에탄올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4% 에탄올을 처리하였을 때 내성이 생김을 확인하였다. 에탄올 내성이 생긴 세포는 증가된 세포 생존율, 감소된 apoptosis 양과 apoptosis 감소에 따른 세포질내의 Ca^(++) 농도 감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HL-60 세포에 2% 에탄올을 처리하여 세포내 GSH양을 관찰하였을 때,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생긴 세포에서는 2% 에탄올만 처리된 세포에 비해 세포내 GSH가 높은 양을 유지함을 보여줌으로써 에탄올 내성에 대한 항산화제 역할을 보여준다. DNA repair capacity는 에탄올에 의한 내성이 생긴 세포에서 apoptosis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는 세포내 생화학적 변화와는 다른 기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실험방법 = 7 1. 시약 및 기기 = 7 1.1 시약 = 7 1.2 기기 = 8 2. 세포 배양 = 9 3. 세포 Survival Curve 작성 = 9 4. 에탄을 스트레스처리 및 에탄을 내성 유도 = 9 5. 전기 영동을 이용한 DNA fragment 분리 = 10 6. DNA fragment 정량 (Diphenylamine method; DPA) = 11 7. Flowcytometry를 이용한 세포의 apoptosis 정량 = 12 8. 세포내 Ca^(++)농도비 측정 = 13 9. DNA 복구 능력 관찰 = 14 10. 에탄을 스트레스에 의한 단백질 합성의 측정 = 15 10.1〔^(35)S〕Methionine을 이용한 세포의 pulse labeling = 15 10.2 단백질 정량(Lowry assay, Bradford assay) = 15 10.2.1 Lowry assay = 15 10.2.2 Bradford assay = 16 10.3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16 10.4 Autoradiography = 18 11. 세포내 GSH 정량 = 18 Ⅲ. 결과 및 고찰 = 19 1. 에탄올 내성 확인 = 19 1.1 에탄올이 세포 생장에 미치는 영향 = 19 1.2 에탄올에 의한 내성의 유도 = 19 1.3 에탄올에 의한 세포죽음과 내성유도확인 - DNA ladder 형성에 의한 확인 = 21 1.4 RIF-1, TR-RIF-1 세포에서도 에란올에 대한 내성 유도됨을 확인 = 25 1.5 Flowcytometry에 의한 에탄올 내성 유도와 apoptosis확인 = 28 2. DNA fragment assay (Diphenylamine method; DPA) = 31 3. 에탄올 내성이 유도된 세포내의 GSH양 = 33 4. 에탄올에 대한 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 단백질 합성 = 33 5. 에탄올 내성과 세포내 Ca^(++)농도의 변화 = 36 6. Unscheduled DNA repair synthesis (UDS) method로 측정한 DNA 복구 능력의 변화를 비교 정량 = 39 Ⅳ. 결론 = 42 참고문헌 = 43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85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에탄올-
dc.subject세포-
dc.subjectapoptosis-
dc.subject내성-
dc.title에탄올에 의한 세포의 apoptosis와 내성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5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약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