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聖美-
dc.creator金聖美-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8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87-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the small and medium sized Korean corporate workers, this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and find out how the alienations of these workers affect their attitudes to labour union movements. Therefore, as for the purpose of fulfilling the object of this study, alienation of workers and their attitudes to labour union movement has been investigared and then, through relative correlation analysis, the effects that such alienation affect to the attitudes of workers to labour union movement has been analyzed. A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various theorics on the alienations of workers has been reviewed at first stage. Then at second stage, the processes involved in th courses of decelopmentsy the alienation of the workers to such labour union movements has been nalyzed each in the respect of labour economics, social psychology, interestroup theory and the social movement perspectives. Thirdly, comparative analysis has been made on labour union perspectives that workers retainon the labour union movements. Fourthly, the limitation of labour union functions on overcoming of labour alienation has been reviewed in critical points of view and then finally,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 on Korean labour union movements been reviewed. This empirical research has been brought out by the method of question-airing 484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corporate workers an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level of alienation, seven explanatory variables have been selected and applied. ‘These variables include powerlessness, meaning-lessness, self-estrangement, social isolation, isolation from organizational goals and job-dissatisfaction variables. Also,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attitudes on labour union movement, another six variables has been selected to help anali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ach of these variables. These six variables include; recognition to the conflict between labour and management, radicality of labour union movement, participation to labour union movement, recognition to the need of labour union,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discipline in labour union and unions’ contribution to national development. As a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re is the general tendency of radicalization of attitudes to labour union movement with any worsening of alienation. It has been also found out that they try to rule out the pluralis-tic labour union movement perspective and prefer class oriented labour union perspective.;이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노동자들의 소외가 노조운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경험적 연구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노동자들의 소외와 노조운동에 대한 태도를 조사분석한 다음,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소외가 노동자들의 노조운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로 하였다. 우선 연구의 이론적 배경의 틀을 구성하기 위해서, 첫째 노동자들의 소외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둘째 노동자들의 소외가 노조운동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노동경제학적 관점, 사회심리학적 관점, 이익 집단이론적 관점. 그리고 사회운동적 관점에서 각각 분석하였으며, 셋 째 노동자들이 노조운동에 대해 가지게 되는 노조관들을 비교·분석하였고, 넷째 노동자들의 소외극복에서 노조가 가지는 한계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다음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노조운동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실제 경험적 연구는 484명의 우리나라 중소기업노동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되었으며, 설명변수로는 소외를 측정하기 위하여 무력감 무의미성, 무규범성, 자기소원, 사회적 고립, 조직의 목적으로부터 고립 등의 6가지 변수와 직업불만족의 변수가 선정되었고, 노조운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서는 노사갈등에 대한 인식, 노조운동의 급진성, 노조운동에의 참여도, 노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노조의 기능수행에 대한 평가, 노조운동관 등의 6가지 변수가 선정되어 이들 각각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노동자들의 소외가 심화될수록, 그리고 직업 불만족이 높아질수록, 노동자들의 노조운동에 대한 태도는 급진성을 띠게되며, 또한 다원주의적 노조운동관을 반대하고 계급적 노조운동관을 가지게 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Ⅱ. 이론적 배경 = 6 A. 산업사회의 노동소외와 그 극복 = 6 B. 노조운동의 발생기반과 소외 = 20 C. 노조관의 비교분석 = 33 D. 노조운동의 한계 = 38 E. 한국 노조운동의 특성 = 41 Ⅲ. 연구설계와 조사방법 = 47 A. 변수의 선정 및 정의 = 47 B. 가설의 설정 = 58 C. 자로수집과 표본집단의 특성 = 62 Ⅳ. 연구결과의 분석 및 해석 = 64 A. 소외의식 = 64 B. 직업불만족 = 75 C. 노조운동에 대한 대도 = 82 D. 소외의식과 노조운동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관계 = 90 E. 직업불만족과 노조운동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분석 = 103 Ⅴ. 결론 = 106 A. 한국 중소기업노동자들의 소외극복과 노조운동의 발전방향 = 106 B. 연구의 한계 및 방향제시 = 111 참고문헌 = 114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487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중소기업-
dc.subject노동자-
dc.subject소외-
dc.subject노조운동-
dc.title韓國 中小企業 勞動者들의 疎外와 勞組運動에 對한 態度-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IENATION OF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CORPORATE WORKERS AND THEIR ATTITUDE TO THE LABOUR UNION MOVEMENT-
dc.format.page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