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안나-
dc.creator김안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47-
dc.description.abstractHigher education has been expanded rapidly by commonly accepted optimistic idea that schooling is beneficial to both individual and the whole society and by theories that support the idea in Korea. But in recent years the outcomes of higher educational quantitative expansion perform and deepen educational and social absurdities that have not been forecasted. Therefore critical understanding about the theories that have led to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is needed. According to this necessity,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ain theories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on the ground of examining practical situation that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goes to proceed in Korea. For this purpose following themes are investigated in the study. First is to elucidate the basic assumption and logic of main theories that have led to higher educational quantitative expansion in Korea by providing theoretical foundation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Second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theories through examining the process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and the problems that are derived from the process. Third is to examine and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other expansion factors that are over the range of explanation of the main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theories in the light of real situation that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accelerates in spite of educational and social problems that are performed in the expansion process. For the sake of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is study analyze literatures related to these themes, policy reports, and existing statistical data.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main theories of higher educational quantitative expansion regard education as investment and explain that the motives of educational investment are mainly a rise in economical and social status of individual, national modernization and realization of social equality. So these theories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insist that these purposes should be achieved by means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Second, in spite of these optimistic insistence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brings about unintended and irrational outcomes like graduate unemployment and overeducation, falling-off in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nd deepening of educational and social inequality. But in spite of these problems higher education continues to expand rapidly. In the light of these outcomes, the causality between education and individual or national achievement that is insisted by the main educational expansion theories can not fit real phenomena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in Korea. Third, the inconsistency of real phenomena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in Korea with the main theories of educational expansion suggests that the other factors of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exist. According to the study, these factors are the role of college that absorbs students who have no other choice because of high rate of unemployment, the nature of education as consumer goods, the increase of school age cohort according to natural population increase, the spreading effect of equal opportunity of lower grade schools, the benefits of higher education in military service, the effect of traditional value system that lays stress on education and so on.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is caused by various motives and causes like the above mentioned. And the outcomes of the process of expansion can work as other factors that accelerate the process. Therefore the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theories that regard education as investment and explain that higher educational expansion is simple causal relation by one variable are limited extremely in Korea.;학교교육이 개인은 물론 사회전체에 이로울 것이라는 낙관적 신념과 이를 지지하는 이론들은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등교육의 확대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고등교육 인구확대의 결과들은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예측하지 못했던 교육적, 사회적 부조리를 형성, 심화시키고 있다. 이에 최근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확대를 유도해온 주요 이론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확대가 전개되고 있는 현실적 모습에 비추어 주요 고등교육 양적 확대이론들의 적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 연구가 밝히고자 하는 연구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교육 양적 확대의 이론적 타당성을 제시하므로써 고등교육 확대를 유도해 온 주요 이론들의 기본 가정과 논리를 분석한다. 둘째,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가 전개되고 있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들을 검토하고, 이에 비추어 고등교육 확대이론들의 적합성을 분석한다. 세째, 고등교육 양적 확대의 결과 나타난 여러 가지 교육적, 사회적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의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고등교육 양적 확대이론들의 설명력의 범위를 넘어서는 교육 확대 요인들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이와같은 주제의 특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관련문헌과 각종 정책보고서, 신문기사, 기존 통계자료들을 정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를 성명하는 주요 이론들은 교육을 투자의 관점에서 보며, 교육투자의 동기를 주로 개인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의 향상 혹은 국가의 근대화와 평등사회의 구현등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이 이론들은 고등교육의 확대를 통해 이같은 목표들이 이루어 진다고 주장한다. 둘째,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가 전개되고 있는 모습은 고등교육 확대이론들의 주장과 달리 고학력자들의 실업과 과잉학력, 대학교육의 질저하, 고등교육 기회의 분배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기회 확대에서 비롯되는 교육적, 사회적 불평등 현상등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상황에서도 고등교육에 대한 수요는 계속 높아지고 잇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등교육 확대이론들이 주장하는 교육과 개인적 혹은 국가적 성취간의 인과관계는 성립되지 않는다. 세째,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확대가 전개되는 실제적 모습과 이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들간의 불일치는 우리나라 고등교육 확대를 초래하는 또 다른 요인들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같은 요인들로는 높은 실업률 때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학생들을 고등교육기관이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 교육의 소비재적 성격, 자연적 인구증가에 따른 학령인구의 증가와 하급학교의 기회균등의 파급효과, 고등교육의 병역혜택, 그리고 교육을 가치롭게 여기는 전통문화적 가치체계의 영향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이 고등교육의 확대는 다양한 동기와 원인으로 일어나게 되며, 그 확대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들이 교육확대를 가속화하는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투자재로 간주하고, 고등교육의 확대를 단일 변인에 의한 단순한 인과관계로 설명하는 고등교육 확대이론들은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확대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극히 제한적인 것일 수 밖에 없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주제 = 1 B. 연구의 방법과 제한 = 4 C. 논문의 구성 = 6 Ⅱ.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 = 8 A. 고등교육 양적 확대의 정의 = 8 B. 고등교육 양적 확대의 제이론 = 8 1. 인적자본론 (Human Capital Theory) = 8 2. 선별이론 (Screening Theory) = 16 3. 지위획득이론 (Status Attainment Theory) = 19 4. 근대화이론 (Modernization Theory) = 24 5. 정치발전이론 (Political Development Theory) = 27 C. 고등교육 양적 확대이론에 대한 일반적 평가 = 31 Ⅲ. 한국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이론에 대한 적합성 분석 = 34 A. 고등교육 양적 확대의 추이 = 35 B. 고등교육 양적 확대의 결과 = 38 C. 고등교육 양적 확대에 따른 교육수요의 동향 = 53 D. 한국 고등교육 양적 확대이론의 한계 = 58 Ⅳ. 한국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 : 논의와 결론 = 61 A. 논의 = 61 B. 결론 = 67 참고문헌 = 70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60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고등교육-
dc.subject양적-
dc.subject확대이론-
dc.subject비판적-
dc.title한국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RITICAL STUDY ON THE THEORIES OF HIGHER EDUCATIONAL QUANTITATIVE EXPANSION IN KOREA-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