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文福姬-
dc.creator文福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67-
dc.description.abstract김광섭은 1935년부터 작품 활동을 해 온 작가로 1977년 타계하기까지 250여 편의 시를 발표했으며, 문명비판, 근원적인 자연성의 탐구 등 다양한 주제의식으로 그의 시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작품을 형상화하는 김광섭의 상상 질서를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텍스트로는 『동경』, 『마음』, 『해바라기』, 『성북동 비둘기』, 『반응』 등의 제 5시집을 수록한 『김광섭시전집』을 택했다. 본 논문은 김광섭의 시작품에 수용된 自然이 그의 상상력에 의해서 어떻게 받아들여져 형상화되고 있는가에 주목하여 작품에 나타난 이미지의 연계성을 통하여 작품을 분석했다. 그 결과 산은 김광섭의 상상의 기본 유형을 이끌어가는 소재였다. Ⅱ장에서는 그의 중심시 「山」의 분석을 통하여 그의 시 전체를 포괄하는 움직임의 변이형태를 찾아보았다. 김광섭에 있어서의 산은 일반적으로 不動性을 그 원형으로 하는 데서 벗어나 움직이는 산, 날아다니는 산으로 표출되어 있다. 이렇게 산이라는 정적인 요소가 動的 이미지로 변용되면서 작품을 형상화하는 내부의 힘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산의 역동성이 다음 절과 연결된다. 여기서는 그의 작품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산>이라는 소재가 구체적으로 <새>나 <꽃>으로 변용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산>이 죽음, 생성, 고뇌의 과정을 거쳐 날아다니는 <새>로 변화하는 도정을 분석하였고, 또한 <산>이 <빛>과 결합되면서 <꽃>으로 변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김광섭 작품에 있어서 <깃들이다>와 <거느리다>를 중심으로 그의 정신의 고향이 표출되고 있음을 분석했다. 이것이 모성애적인 근원 의식으로 모아진다. Ⅲ장에서는 작가가 그의 시 작품에서 추구하는 대상과의 거리의식을 밝혀보았는데, 그의 시 작품에 보여진 미적 거리는 너무 가깝지도 너무 멀지도 않은 적절한 거리 감각이었다. 이렇게 균형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간 혹은 사물이 스스로 자신의 거리를 지켜나가는 것이 우주 자연의 질서이고 인간의 삶에 있어 근원적인 자세라고 보는 것이 김광섭의 지향 의식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산의 이미지 변용과 거리의식, 모성애적인 사랑을 통해서 시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시정신의 근원을 통일된 주제로 드러낼 수 있었다.;Poet Kim Kwang Sub wrote about 250 poems from 1935 until his death in 1977. His poetry now draws our attention because he constructed his world of poetry with a keen sense of poetry as criticism of civilization and as a search for the essence of nature.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structure of his imagination as it works throughout his poetry. This will also be an elucid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s image-construction, of how the subject matter of his poetry takes a poetic form. The Complete Poetry of Kim Kwang Sub, the fifth collection of his works, which includes such poems as "The Longing," "The Mind," Sunflower,'' Pigeons of Sungbuk-dong,” and "Response," was the primary source of this thesis. Firs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images in Kim's works were analyzed, illuminating how the author's imaginative power accepts and visualizes his subject matter. The conclusion of this analysis was that the mountain is an object which guides t h e fundamental types of the author's imaginings.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movement" and its variations prevalent throughout Kim's poetry were sought by analyzing his major poem, The Mountain. The image of t h e mountain in Kim's poetry is generally rendered as "moving" or "fiying," free from the realistic notion of immobility. Thus the transformation of the mountain image from a static to a dynamic being is a form-giving inner force in his poetry. Next, attention was directed to the fact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mountain iS transformed into a "bird" or a "flower." Analysis showed that the transformation into a flying bird took place through a process of death, regeneration and suffering, or into a flower by combining with light. Finally the representation of the poet's spiritual home was analyzed, centering on the ideas of "nesting" and "taking care of,' which reveal in themselves a sheer maternal love. In Chapter Ⅲ, the sense of aesthetic distance in Kim's works; was illuminated. The aesthetic distance appears to be an appropriate sense of distance, neither too far nor too near. Kim's vison of life and the universe is that man and creation should keep their own positions, maintaining a balanced distance between them. In his poetry, Kim realized that this is the order of universal nature and the human being's original position in life. In conclusion, there is a thematic unity lying deep in the poet's mind, demonstrated by the analysis of the poetic works of this author with regar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mountain image, the poet's sense of aesthetic distance and his theme of maternal lo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序論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방향 = 5 Ⅱ. 自然의 이미지 變容 = 8 A. 중심詩 「山」의 分析 = 8 1. 날아다니는 山 = 11 2. 동작진행의 연속성 = 18 3. 上昇과 下降의 복합성 = 19 B. 自然的 對象의 力動的 變容 = 22 1. 산의 <새>로의 변용 = 23 2. 山의 <꽃>으로의 변용 = 33 C. 둥지의 공간과 回歸性 = 39 1. <깃들이다>에 의한 根源的 志向 = 40 2. <거느리다>에 의한 內面的 포용성 = 46 Ⅲ. 대상과의 거리의식 (距離意識) = 49 A. 대상과의 균형 = 49 B. 제자리 지킴에 의한 거리의식 = 61 Ⅳ. 結論 = 70 參考文獻 = 73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20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김광섭-
dc.subject자연-
dc.subject변용-
dc.subject거리의식-
dc.title金珖燮 詩에 나타난 自然의 變容과 距離意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Transformational Use of Nature and Aesthetic Distance in the Poetry of Kim Kwang Sub-
dc.format.page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