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4 Download: 0

청소년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ystem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청소년학교적응사회지지체계사회복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ocial support system theory assumes that social support develops individual's function and improves social adjustment capacity preventing him or her from being influenced adversely. Thus, social support provided by system is considered to influenc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posi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concerning education also have been a major factor of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wo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furnished by social support system will affect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positively. Second, even after controlling variab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social support will influenc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positively. Class particip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problem behavior in the aspect of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of parents, teachers, classmates and friends respectively and total social support including those all in the aspect of social support were examined. Parents' value of academic success and level of friends' deviance were explored in the aspect of characteristics of system. The findings showed that total social support affects school adjustment positively in such areas as class particip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problem behavior. Soci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 and teachers are positively related, while social support furnished by friends and classmates are not or negative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In controlling for parents' value of academic success and level of friends' deviance, total social support in the aspects of school particip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problem behavior except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When variab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were controlled, parents'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class particip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s'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class participa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problem behavior. Social support provided by classmates and friends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In conclusion, social support provided by social support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particularly social support furnished by parents and teachers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s, in order to maximiz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not only improving social support provided by peer system but also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should be significantly considered. When social workers implement social support system models OR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t is suggested that they focus on social support relationship with system and involve in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as well.;청소년의 학교 부적응 문제는 청소년의 사회적 발달을 저해하고 비행 및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점차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 현상을 이해하고 학교 부적응 문제에 적절히 대처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복지는 개인을 사회 체계의 맥락 안에서 보는 특징이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사회복지 실천에서 사용되는 주요한 기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체계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사회지지체계론을 바탕으로 한 개입 모델은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사회지지체계론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여 사회 적응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사회지지체계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 및 부적응의 현상을 사회지지 체계 안에서 이해함으로써, 사회지지체계에 대한 접근을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 적응 문제에 개입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습과 관련된 체계의 성격은 청소년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청소년의 학교 적응 현상을 사회지지체계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할 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지지체계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체계의 성격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때, 학교 적응의 측면으로는 수업 참여도, 학교 생활 만족도, 학업 성취도, 문제 행동 등을 살펴보았으며, 사회적 지지의 측면으로는 부모, 교사, 급우, 친구 등의 사회 지지도를 살펴보았으며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전체 사회 지지도를 살펴보았다. 체계의 성격 요인으로는 부모의 학습에 대한 가치와 친구의 비행 정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 시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만 13세 이상 18세 이하의 청소년들을 선정하여 설문 조사하였으며 그 가운데 22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시에는 SPSSWIN 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지지체계의 사회 지지도가 청소년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체 사회 지지도는 수업 참여도, 학교 생활 만족도, 학업 성취도, 문제 행동 등 학교 적응의 측면 모두에서 학교 적응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계별 사회 지지도는 체계에 따라, 그리고 학교 적응의 측면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부모와 교사의 사회 지지도는 학교 적응에 긍정적이나 친구와 급우의 사회 지지도는 영향이 없거나 부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지지체계론을 뒷받침하는 한편, 체계에 따라서는 이론을 부분적으로만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체계의 성격 요인을 통제한 경우 사회 지지도와 청소년 학교 적응 부모의 학습에 대한 가치와 친구의 비행 정도를 통제한 경우, 전체 사회 지지도는 수업 참여도, 학교 생활 만족도, 문제 행동 등의 측면에서는 통제 전과 마찬가지로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에 대해서는 체계의 성격을 통제하기 전에는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던데 비해 통제 후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의 학습에 대한 가치, 친구의 비행 정도 등 체계의 성격이 더욱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계의 성격 요인으로 통제한 경우, 부모의 사회 지지도는 수업 참여도, 학교 생활 만족도, 학업 성취도 등의 측면에서, 교사의 사회 지지도는 수업 참여도, 학교 생활 만족도, 문제 행동 등의 측면에서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우와 친구의 사회 지지도는 학교 적응의 모든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체계의 성격 요인으로 통제한 경우 사회적 지지는 학교 적응의 측면 가운데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지지체계론을 부분적으로 뒷받침하였고, 체계와 학교 적응의 측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만 이론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체 사회 지지도가 청소년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지지체계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을 돕는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사회복지사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 문제에 개입할 때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전체적인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 및 교사 체계가 제공하는 사회 지지도는 특히 청소년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 적응 문제를 다룰 때, 부모와 교사가 청소년에게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것은 사회복지사가 개입해야 할 중요한 측면임을 암시한다. 급우 및 친구 체계가 제공하는 사회 지지도는 청소년 학교 적응에 대하여 효과가 없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급우, 친구 등의 또래 체계는 청소년 학교 적응의 문제를 다룰 때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 함을 암시한다. 청소년의 또래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는 그 자체로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교 적응 문제에 개입할 때, 사회복지사는 청소년의 또래 체계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것만으로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그보다는 또래 체계가 가지는 성격을 중요하게 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지지체계론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그 자체로 개인의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나,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대해서는 지지를 제공하는 체계의 성격이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보인다. 사회복지사는 청소년 학교 적응의 문제에 대하여 사회지지체계 모델을 적용할 때, 체계와의 사회적 지지 관계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체계가 갖는 성격에도 주의를 기울여 개입해야 할 것으로 제시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