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여정-
dc.creator윤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8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51-
dc.description.abstractThe poor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were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poorer patient outcome, longer hospital stay and higher costs. Many reports of hospital nutrition survey confirmed the benefits of nutrition intervention for the cure of dise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preoperative nutritional status of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o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after surgery. The subjects were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a subtotal gastrectomy. This study consisted of 2 parts by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medical record. This first study, the 118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an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over the past 3 years. The second study was carried out to avoid the difference on the hospital day due to the surgeons. all 120 subjects were underwent a surgery by one particular surgeon from 1988 to 1997. Therefore Weight loss prior to admission, body mass index(BMI),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protein and albumin, values of hemoglobin(Hb) and hematocrit at the time of admission, duration of operation, gas out days, antibiotics treatment days after operation,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were obtained from patients' chart. In the first study(n=118), mean values of BMI(male : 22.2 ㎏/㎡, female : 23.5 ㎏/㎡) serum total protein(6.6g/l00㎖), albumin(3.8g/100㎖) were in the normal range. Hemoglobin(male : 12.5g/l00㎖, female : 11.7g/l00㎖) and hematocrit(ma1e : 37.0%, female : 35.1%) were low.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nutritional indices and clinical outcomes. However, in the second study(n=120), mean value of were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first study, however, the higher percentage of subjects classified into high nutritioanl risk group compared with the first study. The second stud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outcomes and nutritioanl indice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econd study. Mean age of subjects was 55.9±1.1 years. They were consisted of 66.7% of males and 33.3% of females. Most of them(91.5%) fell into TNM stage III. Mean BMI of 22.1±0.3(male), 23.1±0.6(female) were in normal range, however, 22.8%(male) and 2l.l%(female) of the patients fell BMI below 20. Recent weight loss rate was 4.6±0.6% during past 2.9±0.4 months. Mean values of serum protein, serum albumin were in normal range, however, 12.7% of subjects had serum albumin below 3.3g/100㎖ and 40.3%(male) and 46.2%(female) showed Hb level below normal. rang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BMI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after operation, however, recent weight los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ven thou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rather low(p<0.0001, r=0.40). Gas out and antibiotics treatment days were 4.4±0.2, and 4.3±0.2 days after operation, respectively, and bot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ngth of hospitalization. High risk patients of malnutrition were identified when they fell below cut-off point in each area of BMI, rate of weight loss, food intake behavior, serum albumin and Hb level. High risk patients showed longer days of antibiotics treatment and hospital stay compared to low risk patients.;본 연구는 수술전 환자의 영양상태가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에 있는 모 대학병원에서 진행성 위암으로 부분적 위절제 수술을 받고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수술전 영양상태 지표로는 식사상 문제의 과거력(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음식물 섭취감소), 인체계측(체질량지수, 수술전 체중감소률), 혈청 단백질(총단백질과 알부민 농도), 빈혈여부(헤모글로빈 농도와 헤마토크릿)를 조사하였고 임상경과로는 수술후 재원일수, 가스배출일, 항생제 사용일수 등을 의무기록 자료를 통해 얻었다. 1차조사는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최근 3년간 수술을 받았던 환자 118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2차조사에서는 의료진에 따른 퇴원기준의 차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동일한 의사의 환자들로 1988년부터 1997년까지 수술받았던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차 조사결과 체질량지수는 남자 22.2kg/㎡, 여자 23.5kg/㎡, 혈청 총단백질은 6.6g/100㎖, 혈청 알부민은 3.8g/100㎖으로 체질량지수, 혈청 총단백질, 혈청 알부민 농도는 모두 정상 범위내에 있었지만, 헤모글로빈은 남녀 각각 12.5g/100㎖, 11.7g/100㎖, 헤마토크릿은 37.0%, 35.1%로 남녀 모두 정상범위 이하였다. 영양상태 판정의 cut-off point 미만 환자비율을 살펴보면 체질량지수 20미만은 남녀 각각 24.7%, 21.0%에 달하였다. 총단백질 6.0g/100㎖ 미만은 13.2%, 혈청 알부민 3.3g/100㎖ 미만은 7.0%에 불과했으나 헤모글로빈은 남녀 각각 13g/100㎖, 12g/100㎖미만은 46.1%, 43.2%에 달하였고 헤마토크릿도 남녀 각각 39%, 36% 미만이 50.0%, 5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전 체중감소률은 평균 5.2%이었으며 10%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환자는 9.8%였다. 1차조사 결과 조사된 모든 영양상태 지표는 수술후 재원일수나 항생제 사용일수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2차 조사에서 체질량지수는 남녀 각각 22.1kg/㎡, 23.1kg/㎡였고, 혈청 총단백질과 알부민 농도도 각각 6.5g/100㎖, 3.7g/100㎖으로 체질량지수, 혈청 총단백질과 알부민 농도는 모두 정상 범위내에 있었다.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은 남녀 각각 13.1g/100㎖와 11.7g/100m1, 38.7%와 35.2%로, 남자 환자의 헤모글로빈 값만 정상범위의 하한가에 속하였고 나머지는 정상범위 이하였다. 영양상태 판정의 cut-off point미만에 해당하는 환자는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하면 20미만이 남녀 각각 22.8%, 21.1%였으며, 혈청 총단백질과 알부민을 기준으로 하면 15.3%, 12.7%에 달하였다.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도 남녀 각각 40.3%와 46.2%, 44.0%와 46.2%의 환자가 영양판정의 cut-off point이하였다. 1차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혈액 단백질이 감소한 환자비율이 더 높았고 체질량지수와 빈혈지표에 의한 영양불량 환자비율은 1차조사 결과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혈청 총단백질과 알부민 농도, 헤모글로빈 농도, 헤마토크릿은 재원일수나 항생제 사용일수와 상관관계가 없으나 체중감소률만은 수술환자의 재원일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001, r=0.40), 항생제 사용일수와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r=0.31). 2차조사 대상자의 입원전 체중감소는 평균 4.6%였으며, 10%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환자비율도 16.7%로 1차조사보다 높았다. 체중감소에 따른 재원일수의 증가를 살펴본 결과 체중감소가 5%이상이었던 환자군은 2%미만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환자군에 비해 재원일수가 평균 1.6일 연장되었다. 과거 식사력, 인체계측, 혈청 단백질, 빈혈의 네가지 측면에서 평가한 영양불량 위험도를 이용하여 재원일수, 항생제 사용일수와 비교하였을 때는 영양불량 위험요인이 3개 이상인 환자군에서 위험요인이 하나도 없는 군에 비해 수술후 재원일수와 항생제 사용일수가 각각 2.7일, 2.4일 연장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환자의 수술전 영양상태는 재원일수 및 치료경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술전 영양불량 정도가 심할수록 의료비 부담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극적인 영양관리를 통해 수술전 영양불량 환자의 영양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수술후 재원일수의 감축 및 의료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서론 = 1 조사대상 및 방법 = 8 1. 조사대상 = 8 2. 조사항목 = 9 1) 영양상태 지표 = 9 2) 수술후 재원일수와 임상경과 = 10 3. 의료비용 계산 = 11 4. 자료처리 = 11 결과 및 고찰 = 12 Ⅰ. 1차 조사 = 12 1. 일반사항 = 12 2. 수술전 영양상태 지표 = 14 1) 주호소 증상 = 14 2) 수술전 인체계측 = 18 3) 수술전 혈액검사 결과 = 22 3. 수술후 임상경과 = 24 1) 가스배출 = 24 2) 항생제 사용일수 = 26 3) 수술후 합병증 = 27 4. 영양지표와 임상경과와의 상관관계 = 29 5. 체중감소에 따른 재원일수 = 30 6. 영양불량 위험도에 따른 임상결과 = 30 Ⅱ. 2차 조사 = 31 1. 일반사항 = 32 2. 수술전 영양상태 지표 = 33 1) 주호소 증상 = 33 2) 수술전 인체계측 = 35 3) 수술전 혈액검사 결과 = 40 3. 수술후 임상경과 = 42 1) 가스배출 = 43 2) 항생제 사용일수 = 44 3) 수술후 합병증 = 45 4. 영양상태 지표와 임상결과와의 상관관계 = 46 5. 체중감소에 따른 재원일수 = 47 6. 영양불량 위험도에 따른 임상결과 = 48 7. 영양불량 위험도에 따른 의료비 추가비용 = 50 요약 및 결론 = 51 참고문헌 = 53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211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위암환자-
dc.subject수술-
dc.subject영양상태-
dc.subject재원일수-
dc.title진행성 위암환자에서 수술전 영양상태가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preoperative untritional satus o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patients-
dc.format.pageviii, 6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