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금미-
dc.creator김금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7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55-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ttempts to study Robert Rauschenberg's Combine Painting focusing on the extended concept of paintings. The basic formative method of Combine Paintings is based on Cubists' use of collage which directly introduced the non-artistic elements into the painting area. However, unlike the Cubists who developed the use of collage as the means of exploring the form, he has carried through to the extreme of the collage method with attempts to go beyond the principles of Cubists' collages by building up the Combines in startling and ambiguous juxtapositions of unrelated objects and images found in his environment. Besides, he follows the Dadaists' desire to include the everyday life experiences in the art world, and endeavors to dismis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rt and the non-art. While Dada artists rejected the existance of pure art with negative and nihilistic attitudes and tried to subject art to life, he simply tends to make his paintings be related to both art and life, and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without tilting toward either side. With this intent, his paintings are formulated by integrating the common objects and detritus from our everyday life and freely manipulated oil paint. The attachment of everyday objects on his paintings has naturally preserves tastes of disorder, chancer and randomness as this study specifies. Such conceptions, which Dada artists already exploited, reemerge in the contemporary musician John Cage's experimental music theor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Rauschenberg's painting concepts. Therefore, in the first section of the second chapter,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Cage and Rauschenberg, this study is approaching to the painting conceptions that Rauschenberg has offered. In the second section, in light of the ready-made explored by Marcel Duchamp, the objects included on Rauschenberg's works are studied, which paves the way for the study on the integrating real objects and collaged images with painterly qualities in the third section. Thus, the second chapter has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Rauschenberg's artistic attitudes. In chapter three, the formative analysis of the Combine Paintings is evolving through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Cubists' collages as the formative substratum. This thesis suggests that in this process Combine Paintings turn the traditional painting concepts into the new ones without putting any limitation on the selection of materials, which allows to treat three-dimensional objects of huge scale as components of collages. The new painting concepts are resulted from extended traditional painting concepts which blurred the line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In chapter four, this study refers to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Combine Paintings mainly related to the content and theme of them. Firstly, Combine Paintings occur in the operational process, not the visual experiences. Secondly, as the properties of objects and images in the paintings are presented preserving their own identities, the works of art involve multiplicity and heterogeneity. Thirdly, it is pointed out that the objects and images in the paintings act as the symbols of urban environment, and present the new sign-system. Finally, this study has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The collages of Rauschenberg's works of art reflect collages of everyday life, and keep us realize and confront with our realities.;본 논문은 라우셴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콤바인회화(Combine Painting)를 연구하는데 있어, 회화 개념의 확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콤바인회화의 조형적인 틀은 예술의 요소로 간주되지 않았던 비예술적 요소들을 직접 예술의 영역에 도입한 입체주의자들의 꼴라쥬 기법에 기초한다. 그러나 조형적 탐구의 수단으로 꼴라쥬를 개발한 입체주의자들과는 달리, 꼴라쥬 기법을 확장 및 변형시키므로써, 환경으로부터 선택한 서로 관계없는 오브제와 이미지들의 병치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그는 삶과 예술을 융합시키려는 다다예술가들의 열망에 일치하므로써, 예술과 비(非)예술 간의 구분을 없애는데 주력한다. 그런데 다다예술가들은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입장에서 순수예술을 거부하고, 예술을 삶에 종속시키고자한 반면에, 그는 긍정적인 입장에서 예술과 생활에 모두 관계하고자 하며, 그 어느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중간에서 그 둘을 연결하고자 한다. 그러한 의도에서 제시되는 콤바인회화는 일상생활의 영역에 속하는 오브제들을 회화적 요소와 통합시켜 형성된 것이다. 일상적 오브제의 도입은 자연히 일상적인 가치 기준들을 수반하게 되는데, 본 연구는 그러한 기준들을 무질서, 우연성, 무작위 등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개념들은 이미 다다 예술가들에 의해 도입된 것으로, 라우셴버그와 동시대의 전위 음악가 존 케이지의 음악이론에서 다시 중요하게 부각되는데, 케이지의 음악이론은 라우셴버그의 예술관을 형성하는데 있어,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Ⅱ장의 첫째 절에서는 이들의 상호관계를 통해서, 콤바인회화가 지향하는 회화 개념에 접근하고 있다. Ⅱ장의 두번째 절에서는 뒤샹의 레디메이드 개념을 통해서, 콤바인회화에 도입된 오브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세째 절에서 연구될 오브제 및 꼴라쥬된 이미지들과 회화적 요소의 통합을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 이상의 Ⅱ장에서는 라우셴버그의 예술관을 이해하는데 촛점을 두고 있다. Ⅲ장에서 연구되는 콤바인회화에 대한 조형적 분석은 입체주의의 꼴라쥬를 방법적인 틀로 설정한 후, 전개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콤바인회화는 재료의 선택에 있어 제한을 두지 않고, 거대한 규모의 3차원적 오브제도 꼴라쥬 요소로 취급하므로써, 궁극적으로 기존의 회화 개념을 확장시켜, 회화와 조각간의 구분을 말소시키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Ⅳ장에서는 주로 내용 및 주제와 관련지어, 콤바인회화에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첫째로, 콤바인회화는 시각적인 경험이 아니라, 작동적인 과정으로서 존재한다는 점을 들고 있고, 둘째로, 작품 속의 오브제 및 이미지들의 속성이 각각의 특성을 그대로 보유한 채, 제시되고 있어, 작품은 다양성 및 이질성을 띠게 된다는 점을 들고 있으며, 세째로, 도입된 오브제 및 이미지들이 환경에 대한 표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기호체계를 형성하게 됨을 들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라우셴버그의 작품 상에 나타난 꼴라쥬 원칙은 삶의 과정을 그대로 꼴라쥬한 것이 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리하여, 그의 작품은 우리들로 하여금 세계를 직면하도록 하며, 우리의 환경을 깨닫게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와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방법과 논문의 내용 = 5 Ⅱ. 라우센버그가 제시한 예술과 생활에 동시적으로 관계하는 콤바인회화 = 8 A. 존 케이지 (John Cage)의 음악이론 도입 = 10 1. 무질서 (disorder) = 15 2. 우연성 (chance operations) = 18 3. 무작위 (randomness) = 22 B. 콤바인회화에 도입된 오브제와 "레디메이드 (ready-made)"와의 관계 = 24 1. 뒤샹 (Marcel Duehamp)의 레디메이드 개념 - "무관심적 아이러니" = 24 2. 레디메이드의 효과 및 오브제예술 = 28 3. 콤바인회화에 도입된 오브제 = 33 C. 회화적 요소와 환경으로부터 선택된 것의 조합 = 37 1. 회화적 요소와 선택된 오브제 = 40 2. 회화적 요소와 꼴라쥬된 이미지들 = 43 Ⅲ. 라우센버그의 콤바인 회화에 나타난 꼴라쥬 기법의 확장 및 변이 = 48 A. 회화예술에 적용된 꼴라쥬 기법 = 49 1. 조형적 가치를 위한 꼴라쥬 = 50 2. 우연성에 입각한 꼴라쥬 = 53 3. 콤바인 회화에 적용된 꼴라쥬 기법의 독자성 = 58 B. 꼴라쥬 기법에 의한 회화 개념의 확장 = 64 1. 꼴라쥬를 위한 재료 선택의 확장 = 65 2. 회화와 조각간의 구분 말소 = 78 Ⅳ. 콤바인회화의 특징 = 84 A. 과정으로서의 예술 = 85 B. 이미지의 다양성(multiplicity)과 이질성(heterogeneity) = 91 C. 기호, 기호체계 = 98 Ⅴ. 결론 : 비판과 평가 = 106 참고문헌 = 112 그림 = 119 ABSTRACT =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0599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Robert Rauschenberg-
dc.subject콤바인 회화-
dc.subject회화개념-
dc.subjectCombine Paintings-
dc.titleRobert Rauschenberg의 콤바인 회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회화개념의 확장-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 and Extended Concept of Painting" Presented in Robert Rauschenberg's Combine Paintings-
dc.format.page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