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75 Download: 0

정상 및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명료도 검사방법의 비교

Title
정상 및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명료도 검사방법의 비교
Authors
윤미선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Keywords
조음장애아동자음정확도명료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hen testing a child with articulatory-phonological disorders, it might be ideal to test both the correctness of consonants and the intelligibility of his/her spontaneous, connected speech. However, there are occasions which make it impossible to test the connected speech due to either or both of the following factors: the lengthy time required to administer the test and the unintelligibility of the subject's speech. One way which could overcome this difficulty might be to predict the level of intelligibility based o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of the child in concern.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find this possibility. Fif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 experimental group of 25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ory-phonological disorders and a control group of 25 normal children. Three tests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1) the word test, which' was to get the percentage correct of the 19 Korean consonants in 23 words, (2) the sentence test, in which the same set of 23 words were embedded in sentences, the purpose of which was to get the percentage correct of the 19 Korean consonants in the sentential environments, and (3) the test of connected speech, which provided the data on the percentage correct of the consonants and the scores on intelligibility of the words. In the case of the connected speech, 70 utterances per child were collected on the separate criteria to calculate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the intelligibility scores.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1. As for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M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carried out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articulatory-phonological disorders and the normal childre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fferent methods of testing, i.e., between the word test, the sentence test, and the test of connected speech, in both groups of children with articulatory -phonological disorders and normal children, respectively. 2. 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for each group of subjec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s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score of intelligibility in either group, in respect to the three tests. Therefore, we might conclude, with some caution, that we could feasibly predict the level of intelligibility on the basis of the score of consonants correct, either that of the word test or that of the sentence test.;조음장애는 아동에게 나타나는 의사소통 장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언어장애이다. 발음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만났을 때 언어임상가는 먼저 조음장애의 여부와 정도를 평가한다. 자음정확도와 명료도는 이런 조음장애의 진단에 이용되는 평가방법이다. 조음장애의 평가를 위해서는 아동의 말표본을 수집해야 한다. 말표본의 수집을 위한 검사방법은 낱말검사, 문장검사 및 연속 적인 자발화검사까지 다양하다. 이 가운데 연적인 자발화검사는 아동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에 가까우므로 아동의 조음장애를 평가하는 데에 가장 이상적인 말표본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연속적인 자발화검사는 몇 가지 현실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말표본을 수집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심한 조음장애 아동일 경우는 아동이 의도하는 말이 무엇인지 알 수 없게 되어 평가기준을 찾기 어렵게 되는 것 등이다. 한정된 시간에 아동의 조음장애를 진단해야 하는 언어임상가에게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이 무엇보다 큰 제한점이다. 이에 비해 낱말검사로 말표본을 수집하는 방법은 짧은 시간에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보이는 조음장애 정도를 잘 나타내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말표본을 수집하는 검사방법에 따른 자음정확도의 차이 및 자음정확도와 명료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조음장애의 진단시 근거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정상아동 25명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25명이었다. 연구자는 이들 50명의 아동에게 낱말자음검사, 문장자음검사, 연속적인 자발화검사(대화검사)를 실시하고 전과정을 녹음하였다. 평가자들은 연구대상 아동의 녹음을 듣고 자음정확도와 명료도를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가지를 사용했다. 먼저 정상 아동과 기능적조음장애 아동에서 낱말자음검사, 문장자음검사 및 대화검사의 세 가지 정사방법에 따른 자음정확도의 차이를 분산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자음정확도와 명료도의 관계는 피어슨 단순적률상관계수를 구해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정상 아동과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모두 검사방법에 따른 자음정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음정확도와 명료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은 자음정확도를 이용하여 조음장애를 진단 할 때 연속적인 자발화검사 대신 낱말검사를 이용하여도 평가결과에 차이가 없으리라는 점이다. 이것은 제한된 시간에 조음장애를 진단하고자 하는 언어임상가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가 조음평가 시 낱말검사가 연속적인 자발화검사를 완전히 대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본 연구결과 경사방법에 따라 조음장애의 정도를 나타내는 자음정확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조음오류의 양상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자음정확도와 명료도 간의 높은 정적상관관계는 자음정확도 결과에 근거 해 명료도를 추정하게 해줄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모든 조음장애 아동에게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주의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