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토지공개념제도를 통해서본 국가성격에 관한 일 연구

Title
토지공개념제도를 통해서본 국가성격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ole of the state through the public ownership of land law : case study on the system of betterment recapture
Authors
이동은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토지공개념국가성격개발이익 환수제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1990년부터 도입된 토지공개념제도의 의의가 무엇인가를 살펴보면서 국가의 역할을 사회학적인 시각에서 분석하는데에 연구의 촛점을 맞추고 있다. 토지공개념제도중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개발이익환수제도의 운영과정의 분석을 통해 정부가 이 제도를 도입하여 얻고자 했던 정책목표는 무엇인가를 밝히고 나아가서 그것이 도입초기의 의도대로 달성되고 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개발이익환수제의 사례를 중심으로 토지 및 토지공개념제도, 그리고 토지공개념제도와 관련된 국가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분석에서 밝혀진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공개념제도에 대한 자본가계층의 반발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둘째, 이러한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개발부담금제도률 통해 불로소득적 개발이익을 환수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상당히 실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세째, 토지초과이득세와 달리 개발부담금제도는 어느 정도 실현된 이익에 대해서 부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도의 정착과 실현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네째, 개발부담금제도에 일부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이것이 제도의 실현을 저해할 정도의 구조적인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제도의 도입초기에 흔히 나타나는 시행착오라는 점이다. 이는 공시지가제도가 현실지가에 근접하면 현재 나타나고 있는 시행착오의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해 준다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자본가계층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체제유지에 필요한 정당성의 확보라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토지공개념제도를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부가 자본가계층의 완강한 저항을 무릅쓰고 대다수 국민의 지지를 받는 정책을 과감히 펼쳐나가고 있는 현상을 볼 때 국가의 성격을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도구주의 입장에서 규명하는 시각은 적절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의 사례분석을 통해 밝혀진 바로는 오히려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을 인정하는 후기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국가이론이 더 타당성이 있음을 보여준다.;Land, being a major field of real estate, has been fundamental and essential to human life since the dawn of history. The rise of price is one national economic activity and such problem arises out of failure of harmoneous supply of land for adequate use. We can also cite other cause for the rise of land. Because of heavy possession of land, most parts of people have relative deprivation and state has legitimation crisis. According to these -phenomena the state carried out hastly "the Concept of Public Ownership of Land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ole of the state with case study on the system of betterment recapture. "State" itself has been used in the divergent context, in accordance with scholarly locus, but different points of view about "State" is summarize here in three general concepts. The first one(pluralism) relates to liberalism which can be viewed as a totality of interests of pressure groups in a society. The second perpective is historical-social, the State is viewed not simply an instrument of dominant class or atotality of the interests of pressure groups, but it is seen as an automonous entity with capability of achieving unique goals. The last one is Marxist viewpoint which might define state is an "instrument of dominant class". A.Gramsci, L.Althusser, N.Poulantzas are called the Neo Marxists in Marx's economy determinism and instrumental state consciousness criticize this. They don't approve Marx's theory that the state is just the instruments of governing class although it is not self-regulating enough to chang a social constructure in the capitalistic society. However this assertion can't overcome the theory of state completely. I select the perspective on Neo Marxist theory in order to public ownership of land law including case study. Main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pitals are in great reaction against the public concept of land. Second, inspite of great reaction, the state have strong will that recapture betterment. Third, the betterment have some problems. It is not structural problem but it is trial and error which is emerged eventually. Fourth, the betterment is settled possibly. Because of these results of case study, the betterment is imposed on realized gains. The state perform 'the puble conception of land' for politicla goals (states que and overcoming legitimation crisis). The state have policy for people in contrary to recapturing capitalists interest. It seems that the state have relative antonoming(is discussed by Neo-Marxi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