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희-
dc.creator이미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1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2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7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24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agricultural information in the agricultural libraries in Korea. For this research, development and charateristics of agricultural library and general informantion of agricultural information management a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produ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vestigated through some secondary materials and th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o over 24 agricultural libraries in the county. All of them responded.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1. Total quantity of monograph and report holdings in them are 3,000 to 100,000 and the kinds of subscribed journals are 50 to 700.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es produce most information They produce about 2,580 pieces of information on the agriculture. 2. Through the Office of Rural Developement,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3. For the acquisition of agricultural materials, they are using the methods of gift, purchase and exchange sequence. For the arrangement, 11 libraries use the 18ed. and AACR 11., and 3 libraries use the KDC 3ed and KCR 3. 4. The users of the agricultural libraries are the personnels of the superior offices, related agencies, agricultural and farming related corporations graduate school students, farmers, foreigners, etc., 5. users can easily access to content sheet services and they can also get advices for document retrieval methods. SDI services and bibliographic services, which are not available at this time, are needed. 6. Since December of 1971, inter-library loan system have been implemented between agriculture-related research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7. Agrindex, CAB Abstracts and The Monthly Bulletin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re commonly used for the reference operation. 8. Current agricultural librarians are more interested in the agriculture itself than in the library science. They pointed out four qualifications which a competent agricultural librarian should satisfy: first, a knowledge of the agriculture and related areas, second, a knowledge of reference tools, third, a knowledge of a library science, fourth, a knowledge of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Japanese, French, German, Chinese and Russian. On the basis of the above-stated results of the survey, I suggest the followings. 1. Each superior office has to recognize library as an independent unit. Only after simplifying and standardizing operating procedures, librarians can save their service hours for users and their own time for material acquisitions. 2. In order to make up for deficient holdings, they should adopt the cooperative acquisition system using the current educational industrial complex. 3. Cataloging rules and classification methods used by each library should be reexamined before a rate of holdings is getting increased so high. 4. librarians need to make efforts to offer the SDI and bibliographic services as practical utilities. 5. The Agricultural Library Association of Korea should be founded to educate and train librarians.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s to promote this project. In order to introduce and reflect current international agricultural service, they have to become a member of IAALD.;제2차 세계대전 이후 농업이 과학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농업·농업관계 연구기관 및 연구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와 더불어 농업정보의 생산량 또한 급증하였고, 많은 농업도서관이 설립되었다.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농업정보의 생산과 보급이 비체계적이고 분산되어 있어서 정보활용이 미약한 상태이다. 그러나 1961년 이후 많은 연구기관이 설립되었고 그에 따라 농업정보 생산이 급증하였다. 이에 우리나라에서의 농업정보의 생산 및 유통을 검토하고, 국내 농업도서관 중 정부도서관에서의 정보관리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농업정보의 효과적인 관리방법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농업도서관의 발달과 특성, 정보관리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은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국내 농업도서관의 정보관리현황을 파악하계 위하여 설문조사와 직정방문을 통한 면담 등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전국 24개 농업도서관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4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 농업도서관의 장서량은 3,000∼100,000권, 구독학술잡지 종수는 50∼700여종으로 차이가 크다. 23개 도서관에서 장소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2. 전산화가 된 도서관이 2개, 목록입력 중인 도서관이 1개, 92년 실시 예정인 도서관이 11개로 전산화 추세에 있다. 3. 국내 농업정보 생산자는 정부연구기관, 대학, 학회, 협회이며, 정부연구기관이 가장 많은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연평균 정보생산량은 약 2,580건으로 추정된다. 4. 국내외 농업정보는 농촌진흥청을 경유하여 요구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5. 성문화된 수서정책이 있는 곳은 2개관이다. 20개 도서관에서 이용자요구에 따라 수집하고 있다. 자료선정 도구와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6. 자료수집방법의 비율은 기증, 구입, 교환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7. 자료 정리방법은 11개 도서관이 DDC18판과 AACRⅡ를, 3개 도서관이 KDC3판과 KCR3을 따르고 있다. 8. 농업도서관 자료 중 팜플렛의 정보가치가 비교적 높다. 팜플렛의 정리방법은 내용상으로 단행본에 따르고, 형태상으로는 별치하여 화일함에 보관하고 있다. 9. 국내 농업도서관의 이용자는 상부기관의 직원, 관련기관의 직원, 농업과 농업관련 기업체의 직원, 대학원생, 교수, 대학생, 농부, 외국인 등이다. 10. 농업도서관의 이용자서비스는 문헌탐색방법을 조언해 주는 서비스와 목차속보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SDI서비스와 서지서비스는 아직도 부진한 상황이다. 11. 자관의 비소장자료 의뢰기관으로는 농촌진흥청도서관이 가장 많이 지적 되었고, 다음으로는 가까운 지역의 관련기관이나 대학도서관, KIET(Korea Institute for Economics & Technology), DACOM(Data Communication Corp. of Korea)의 순이다. 1971년 12월부터 농업·농업관련 연구기관과 교육기관 간의 상호협력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12. 면역서비스는 도서관에서 직접 번역을 해 주는 것이 아니라 번역서비스 기관을 안내해 주는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13. 국내 농업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특별한 행사로는 농업관련도서전시회와, 한국농업고문헌전시회 등이 있다. 14. 현재 농업도서관 사서들의 경쟁은 2∼3년이 많다. 이들은 도서관학보다 농업에 관심이 높다. 15. 정보봉사시 AGRINDEX, CAB초록, 농림수산도서자료월보 등을 참고자료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16. 현재 국내 농업도서관사서들이 요구하는 농업사서의 요건은 첫째, 농업·농업관련지식, 둘째, 각종 참고도구에 대한 지식, 셋째, 도서관학에 대한 지식, 넷째, 영어, 일어, 불어, 독일어, 중국어, 소련어 순으로 외국어의 필요성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상부기관에서는 도서관을 독립부서로 인정하여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업무절차가 간소화되어 사서의 시간을 절약하고, 구입도서 신속한 입수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장서부족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산학협동체제를 이용한 협력 수서제도를 채택하여야 한다. 셋째, 각 농업도서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분류방법과 목록체계를 재검토하여 향후 장서증가에 대비하여야 한다. 넷째, 이용자의 실제 요구가 많은 SDI서비스, 서지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 현직 사서들이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다섯째, 사서들의 교육과 훈련을 위한 농업도서관협회 설립이 이루어져야 하며, 농촌진흥청도서관이 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국내 농업도서관계에 국제적인 농업정보서비스와 동향을 도입, 반영하기 위하여 IAALD에 가입을 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1 논문개요 = 5 Ⅰ. 서론 = 8 A. 연구의 목적 = 8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9 C. 선행 연구 = 11 Ⅱ. 이론적 배경 = 17 A. 농업도서관의 발달과 특성 = 17 B. 농업정보의 생산과 유통 = 28 C. 수집과 정리 = 34 D. 이용자 서비스 = 39 E. 농업전문 사서 = 46 Ⅲ. 국내 농업도서관의 정보관리 현황 = 49 A. 조사방법 및 대상기관 = 49 B. 국내 농업정보의 생산과 유통 = 54 C. 수집 = 61 D. 정리 = 65 E. 이용자 서비스 = 69 F. 담당사서 = 77 Ⅳ. 요약 및 결론 = 84 참고문헌 = 89 부록1. = 99 부록2. = 111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827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내-
dc.subject농업도서관-
dc.subject정보관리-
dc.subject정부도서관-
dc.title국내 농업 도서관의 정보관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부도서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Agricultural Libraries In Korea-
dc.format.page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