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원-
dc.creator박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1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7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125-
dc.description.abstractPart-time labor, which is generally utilized in the Western countries, has recently introduced to Korea. It is considered as an ideal alternative for women because it allows thom to carry out household matters after work. However, this very issue is being negatively discussed because it may deteriorate womens labor condition. There has been no in-depth study, even though the trend of wonen labor is expeted to increas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better understand part-time labor situation in the country.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topics: It first tries to analyze the very meaning of part-time labor and second, its application to the Korean society. The first half of the study raises theoretical discussions on part-time labor and it also reviews the history of part-time labor in England and Japan, Korea's part-time labor situ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study, a case study of a bank part-timers is presented to clearly analyze Korea's situation of part-time labor. In-depth interview was employed for research and interview with personnel managers of major banks was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employers' point of view. After 1970, part-time labor grew dramatically and it has generally shown a trend of increase in the developed countires; however, it is viewed as subsidiary work due to lower wages and lessor responsi-bilities. Accordingly, women science scholars consider the increase of part-time labor under worse working conditions as major problems of women. They try to explain the reason why women participate in part-time labor by analyzing the ways in which gender enters into every field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for part-time employment at banks is to elastically utilize manpower and to reduce labor cost. Both demands of employer and participating needs of employees enable to forecast the increase of part-time labor. It can extend to substitute full-time women worker and worsen the total conditions of women labor. Second, the working conditions of part-timer are. unstable, being paid with low wage, work longer hours than the western countries, and the duty is merely as assistants. The position of part-timer is belong to the lowest subsidiary level among women workers who are discriminated by the gender. Third, part-timer choose the job mainly because of the limited opportunities in many women's occupations and she is expected to endure household and social work simultaneously. Thus, part-time work is not an ideal substitute which connects the aforementioned two tasks. It is a means to remain responsible for housekeeping while she takes part in social labor. As a result, part-time labor for married women would rather re-produce the current subordinate position than contribute to improve their status.;서구에서는 보편적인 파트타임 노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파트타임 노동은 여성에게는 가사와 병행할 수 있는 일이라는 점에서 이상적 대안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여성의 노동조건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부정성이 논의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그 증가추세를 전망은 하고 있지만 아직 본격적인 연구는 없는 실정이므로 파트타임 노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파트타임 노동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본 논문은 파트타임 노동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 우리나라 파트타임 노동의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논문의 전반부에는 배경적 논의로서 파트타임 노동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였고 선진국(영국,일본)에서의 파트파임 노동의 도입과 발전을 주로 수요와 공급측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의 파트타임 노동상황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파트타임 노동의 현실을 분석하기 위해 파트타임제가 자리잡고 있는 은행 파트타이머를 대상으로 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조사방법은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였고 고용측의 입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은행의 인사담당자와의 면담을 병행하였다. 선진국에서는 파트타임 노동이 주로 여성의 일로써 70년대 이후 극적인 성장을 나타냈고 일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나 낮은 직업지위와 저임의 주변적인 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여성학자들은 열악한 조건의 파트타임노동자의 증가를 여성의 문제로 인식하고 생산과 재생산의 모든 영역에서 성이 관련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여성이 파트타임 노동에 참여하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연구도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사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행의 파트타이머 고용의 원인은 인력의 탄력적 운영과 인건비 절감에 있으며 이러한 수요측 요소와 공급측의 참여 욕구등을 미루어 볼 때 파트타임 노동의 증가 가능성이 있다. 이는 정규 여성 노동자를 대체하여 전체 여성노동의 조건을 악화시키는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둘째, 파트타이머의 노동조건은 불안정하며 저액이고 서구에 비해 장시간 노동이며 업무는 단순·반복적이고 보조적인 성격을 갖는다. 여기서 파트타임 노동자의 위치는 성에 의해 차별받고 있는 여성노동의 주변부라는 가장 낮은 부분에 속하게 된다. 셋째, 파트타이머는 가정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 때문에 오랜 직업단절을 겪었으며, 기혼여성에게 제한된 취업기회로 파트타임직을 선택하고 가정과 사회의 두가지 일을 병행함에 따라 이중노동을 감내하게 된다. 이때 파트타임 일은 실제로는 전일제에 가까우므로 두가지 일을 연결해 주는 이상적인 대안이 아니라 사회노동에 참여하면서 가사에 대한 책임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수단이 된다. 결국 은행 파트타이머의 사례를 볼 때 기혼여성의 파트타임 노동은 가정과 사회에서 이들의 지위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재의 종속된 지위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기혼여성의 취업기회 부족의 상황에서 파트타임직의 존재는 부정되기보다는 근로조건의 개선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범위 = 3 Ⅱ. 배경적 논의 = 5 A. 파트타임 노동(자)의 정의 = 5 B. 여성 파트타임 노동에 관한 이론적 논의 = 9 1. 산업 예비군으로서의 파트타임 노동자 = 10 2. 이차부문 여성노동과 파트타이머 = 13 3. 여성 파트타임 노동자의 성격 = 18 C. 파트타임 노동상황 = 23 1. 영국 = 26 2. 일본 = 29 3. 한국 = 33 D. 연구문제 = 40 Ⅲ. 사례분석 = 42 A. 자료수집방법 및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2 B. 사례분석 결과 = 48 1. 파트타이머 고용의 배경과 평가 = 48 2. 파트타임 노동과정의 성격 = 53 (1) 노동조건 = 53 (2) 직무의 특성 = 67 4. 파트타이머의 이중역할의 문제 = 71 (1) 노동단절과 참여 = 71 (2) 자녀양육과 가사노동 = 76 C. 종합토론 = 80 1. 파트타이머 고용의 생성과 전망 = 80 2. 파트타임 여성노동의 사회적 위치 = 81 3. 파트타이머의 가정역할 = 84 4. 파트타임 노동의 사회적 의미 = 85 Ⅳ. 결론 = 87 참고문헌 = 92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82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기혼여성-
dc.subject파트타임-
dc.subject노동-
dc.subject은행 파트타이머-
dc.title기혼여성의 파트타임 노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은행 파트타이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art-time labor of married women : the case of bank part-timers-
dc.format.pagev,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