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연주-
dc.creator김연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1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7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116-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model on children's clothing behavior theories by studying self concepts and clothing behavior with respect to the popularity inpeer groups of children. Its sub-goals are the following: (1) to study preferred clothing sytles and clothing behavior with respect to popularity. (2) to study clothing behavior with respect to sol f concepts (3) to study clothing behavior with respect to gender. The research object group consisting of 827 children, who are all in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was sampled from 4 schools which were selected in the consideration of school type and location. I chose the acceptance measurement based on Moreno's sociality measurement method, and used the "Identity Concept Testing Questionaire for Children" developed by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Clothing behavior variable measurements are prepared by modifying preceding measurement tools for children. I used mean, standard deviation, X^(2)-test,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in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efer convenient casual clothes. The result of analyzing clothing behavior with respect popularity : compared with nonpopular children, popular children has a characteristic of psychological dependency and weaker conformity. (2) The result of analyzing clothing behavior with respect to self concepts: positive self concept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dependency, but they have negative effects on conformity. (3) Clothing behavior with respect to gender: girls show stronger psychological dependency than boys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in conformity.;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학교 아동의 또래집단수용에 따른 인기아와 고립아를 분류하여 인기도에 따른 의복행동과 자아개념에 따른 의복행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아동기의 의복행동을 위한 이론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기도에 따른 선호의복스타일과 의복행동을 연구한다. 둘째, 자아개념에 따른 의복행동을 연구한다. 세째, 성별에 따른 의복행동을 연구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국민학교 6학년 학생 827명을 조사하였는데, 여기에서의 표본추출은 학교유형과 지역을 고려하여 강북의 사립, 공립학교 각 1개교씩, 강남의 사립, 공립학교 각 1개교씩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질문지연구방법을 택하였으며 또래집단에서의 수용도의 측정은 Moreno의 사회성측정법을 기초로 하였고, 자아개념의 측정은 1985년 교육개발원에서 만든 국민학생용 자아개념검사문항을 사용하였다. 의복행동변인의 측정은 선행연구들의 측정도구에서 국민학교 아동에게 적합한 용어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는 평균치(me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독립성검정(χ^(2)-test), 요인분석(factor analysis),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F-test), Duncan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등이 사용되었다. 자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령기의 국민학교 아동은 편안하고 활동적인 캐쥬얼 의복을 선호하였으며 인기도에 따른 의복행동을 분석한 결과, 심리적 의존성은 인기아동쪽이 고립아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동조성은 인기아동이 약하게 나타났다. 2. 자아개념에 따른 의복행동을 분석한 결과 자아개념의 점수에 따라 심리적 의존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동조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자아개념이 긍정적인 집단일수록 동조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의복행동에서는, 여자아동이 남자아동보다 의복행동에서 심리적 의존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동조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자아개념 = 4 B. 또래집단수용에 따른 인기아와 고립아 = 8 C. 자아재념 및 인기아동에 대한 연구경향 = 11 D. 의복행동 = 1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9 A. 연구문제 = 19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9 C.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 20 D. 자료분석 = 24 Ⅳ. 결과 = 25 A. 의복행동과 인기도 = 25 B. 의복행동과 자아개념 = 27 C. 의복행동과 성별 = 31 Ⅴ. 결론 및 제언 = 33 참고문헌 = 35 부록 = 40 영문초록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75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아동-
dc.subject의복행동-
dc.subject인기도-
dc.title국민학교 아동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기도와 자아개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lf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focusing on popularity and self concepts-
dc.format.pagevii, 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