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在家 정신질환자 가족의 정신건강과 간호요구간의 관계

Title
在家 정신질환자 가족의 정신건강과 간호요구간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are Need of the Home-based Psychiatric Patient's Family
Authors
박정숙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재가 정신질환자 가족정신건강간호요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amilies often do not have proper training, skills, or resources to care for their ill members and to deal with the traumatic role changes that accompany the onset of mental illnes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 need of the home-based psychiatric patient's family. Subject were 77 family members of out-patient of 1 university hospital and 5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The study utilizes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o measure families' mental health state and families' need for professional help.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DL Scale, Symptom Checklist-47-Revision, and Family Need Assessment Scale which was corrected by researcher.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s was tested by two professors majoring in nursing and fiv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ternal validity by calculation of Cronbach's alpha with data of the respondents were .952, .980, and .929 which were highly accep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PC^(+),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sum of the families' mental health state was 2.069 and highest-mean item was 'many worries'(3.341) and lowest-items were 'sometimes I want to do harm to other person'. 2. The mean score of the sum of the care need of family was 3.523 and the highest-mean item was 'want to know about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 illness. 3. The each mean score of 4 categories classified by homogeneity of the item and it's order was : ① care needs to be imformed on the care way and disease ② for daily living skills, ③ welfare & emotional support, ④ for need to be informed on the treatment. 4. Among the demographic varibles of family, school and income influenced mental health state of the family. Patient's diagnosis and relation of mentally ill person influenced care needs. 5. However, their need increased in ccordance with the patient's lower daily living activities in the study, even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ith the families' mental health state and care need depend on daily living activiti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the patient's illness and families social economic factors vary the needs for professional help. Therefore more appropriate professional help according to patient's chronicit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f psychiatric patient's family and to maintain the good state of mental health.;현대사회의 질병이라고 불리워지는 정신보건의 문제가 국민보건차원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요즘, 정신질환이라는 질병자체가 단기적으로 치유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거의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게 되어 경제적 자립이 불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가정에의 의존도가 높고 가족에게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한 이유로 정신질환자 치료에 있어서 가족의 참여없이 환자만 치료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치료 및 재활에 있어 가족에 대한 개입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재가 정신질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정신건강상태와 간호요구도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가족대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1개 대학병원에서 정신질환으로 진단 받은 후 통원치료중인 환자의 가족과 서울시내 5개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 정신질환자의 가족 중 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6년 9월 이후부터 10월 31일까지 약 2개월간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재가 정신질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Barthel Index(McDowel, 1987)와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참고로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11문항의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의 신뢰도는 a= .952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의 정신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연구도구는 Derogatis(1973)이 개발한 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ion)의 90문항을 이훈구(1986)가 47개의 문항으로 요인분석하여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a= .980 이었다. 정신질환자 가족의 간호요구를 측정하는 연구도구는 유은정(1995)이 개발한 요구사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기초로 수정보완하여 간호대학 교수2인과 정신전문간호사 5인이 내용검토한 후 요인분석하여 최종작성된 32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의 신뢰도는 a= .933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Principal Factor Analysis, 표준편차,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재가 정신질환자의 가족과 관련된 정신건강상태의 전체 총점은 235점 만점에 총 평균점수는 97점이었으며 최대값은 210점이었고 최소값은 48점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에 2.06점으로 나타나 "약간 그렇다"의 범위를 나타내어 어느정도 정신건강문제를 갖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걱정이 많고(평균 3.34), 외롭고(평균 2.86), 우울하다(평균 2.67)는 문항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 가족의 정신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 가족의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가족의 일반적 특성중 학력, 월평균 수입정도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학력과 경제수준이 낮으며 연령이 높고 직업이 무직이거나 주부인 경우 우울이나 불안 등의 감정을 많이 느끼는등, 정신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환자의 예후에 대해 긍정적이고 유병기간이 5년 미만일 때 가족의 정신건강상태가 더 양호하며, 환자의 배우자이거나 어머니인 경우가 다른 관계보다 정신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간호교대자의 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재가 정신질환자 가족의 간호요구는 요인분석결과 질환 및 간호에 관한 정보제공요구, 일상생활 적응과 관련된 간호요구, 복지 및 정서적 지지와 관련된 간호요구, 치료와 관련된 간호요구의 4가지 요인으로 나뉘었다. 재가 정신질환자의 가족과 관련된 요구도의 총점은 160점 만점 기준에서 총 평균점수 114점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간호요구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최대값은 150점, 최소값은 66점이었으며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 기준에서 3.52로 "질환의 특징을 알고싶다"(평균 4.19)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질환의 예후가 어떤지 알고 싶다"(평균 4.17)의 순으로 나타나 질환 및 간호와 관련된 정보제공요구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자의 유병기간이 5년 미만이고 예후에 대해 긍정적이며 간호교대자가 있는 경우에 전반적으로 간호요구가 높은 반면 학력 및 경제수준이 낮고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적인 도움이나 재정적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재가 정신질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의 전체 총점은 55점 만점 기준에서 24점을 나타냈고 최대값은 55점, 최소값은 11점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값은 5점 만점 기준에서 2.19점으로 나타나 환자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은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환자가 가족의 도움을 많이 필요로 할 수록 가족의 정신건강상태는 좋지 않게 나타났다(p=0.050). 5. 재가 정신질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 가족의 정신건강상태와 간호요구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한 결과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정도와 가족의 정신건강상태와의 상관계수는 r= .31(p= .035)로 나타나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환자의 일상생활수행정도와 가족의 간호요구도간의 상관관계도 r=32(p= .029)로 나타나 두 요인간의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족의 정신건강상태와 가족의 간호요구도와의 상관계수는 r=09(p= .532)를 보여 두 요인 사이에는 어떠한 관련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재가 정신질환자의 가족은 우울이나 불안, 걱정 등의 감정을 많이 느끼는 등 정신건강상태가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사회적 위치나 경제상태가 나쁘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정신건강상태는 더 악화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환자의 질환이 만성화 될 수록 그들을 돌보기 위해 필요로 하는 요구도도 낮아지는 점을 발견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할수록 가족은 소진되고 희망을 잃어 환자를 포기하게 된다는 결론에 다달을 수 있었다. 이러한 가족들의 부담과 위기를 극복하도록 돕기위해서는 정신보건전문요원의 가족 정신건강 상담 및 관리,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고 특히 질환 및 간호와 관련된 정보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아 그 분야에 대한 간호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재가 정신질환자 가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 자신이 원하는 간호 요구를 분석함으로서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중재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