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銀美-
dc.creator金銀美-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8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6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88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 research on each aspect of drummer's Chuimsae(추임새) - Kim Myung-Whan, Kim Deuk-Su, Kim Dong-Jun-in musical performance of Chinyangjo (진양조), Chungmori (중모리), Chungchungmori (중중모리), Jajinmori (자진모리) by Kayaguˇm Sanjo Kim Chuk-Pa Style. The musical note of this study based on Kayagum Sanjo transcribed by Lee Jae-Suk, in order that Chuimsae parts are observed. In this study, Chinyangjo used 6 beat, Chungmori and Chungchungmori used 12 beat, and Jajinmori used 4 beat as the standard uni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Chuimsae by drummer; Kim Dong-Jun's is much more than Kim Myung-Whan's and Kim Deuk-Su's. Because Kim Dong-Jun, as a appointed drummer, had been experienced excedingly Changgu accompaniments of this Sanjo and he well knew the melody of Kim Chuk-Pa style more than other drummers. Among tapes used in this study, the musical performance by Kim Dong-Jun's accompaniment was recorded in the real musical performance, but these by Kim Myung-Whan's and Kim Deuk-Su's were recorded especially for this study. Therefore the musical performance by Kim Dong-Jun have many Chuimsae, because the musical performance on the stage with audiance was more exciting. 2. Sixteen kinds of Chuimsae were used. They are eo-i (어이), hu-i (허이), ye-i (으이), yem (음), am (암), eoem(어음), ayern (아음), chi (치), jeo-chi (좋지), ta (타), jeo-ta (좋다), jeo-a (좋아), ssi-gu (씨구), eol-ssu (얼쑤 ), eol-ssi-gu (얼씨구), eol-ssi-gu-ya (얼씨구나). Eo-i and hu-i and ye-i were most frequently used which were the sorts of exclamation and end the sound [ⅰ]. 3. The number of Chuimsae in each beat; It was found that Chuimsae was appeared with the utmost frequency at the fourth beat of Chinyangjo and Jajinmori and at the twelfth beat of Chungmori and Chungchungmori. 4. The number of Chuimsae by mode; Calculating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Chuimsae, any mode was not remarkable especially. Because the musical performance of Woojo (羽調), Pyungjo (平調), Kyungjo (京調), Gangsanjae (江山制), were mixed the melody of Gaemaenjo (界面調)- 5. Observing the coincidence of three drummers' Chuimsae, in Chinyangjo, all of theirs became number nine at the fourth beat in which Kayagum melody starts to continue the same sound. In Chungmori coincident six times in the twelfth beat and kyangum melody was from the tenth beat to the eleventh, from the eleventh beat to the twelfth, and all of theirs became number six at the twelfth beat which concluded rhythmic pattern of Changgu. Therefore, when Chuimsae was appeared in slow tempo, it took a role of concluding where Kayagtim continued to the same sound. In Chungchungmori coincided one time. In Jajinmori there was no coincidence. But when tempo was speedy, it was found that Chuimsae was appeared at the last beat concluding rhythmic pattern of Changgu, because three drummers did Chuimsae at the twelfth beat in Chungchungmori and at the fourth beat in Jajinmori.;本 論文은 伽倻琴散調中 金 竹坡流의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演奏에서 金 命煥,金 得洙, 金 東俊 鼓手의 추임새가 各各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관한 硏究이다. 本 硏究에서 추임새가 나오는 곳을 살펴보기 爲하여 樂譜는 李在淑 採譜 伽倻琴散調를 基本으로 하였다. 本 論文에서는 진양조를 6拍으로, 중모리는 12拍으로, 중중모리 또한 12拍으로, 그리고 자진모리에서는 4拍을 基本單位로 삼았다. 그 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鼓手別로 본 추임새의 出現횟수는 金 東俊이 金 命煥, 金 得洙보다 훨씬 많았다. 그 理由는 金 東俊이 金 竹坡의 指定鼓手로서 이 散調의 長鼓伴奏를 가장 많이 했으며 또, 金 竹坡流의 가락을 다른 鼓手보다 좀더 잘 알고 있기 때문임이 밝혀졌으며, 本 論文에서 使用된 金 東俊이 伴奏한 演奏는 演奏實況을 錄音한 것이고 金 命煥, 金 得洙가 伴奏한 演奏는 단지 本 論文을 爲하여 錄音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聽衆이 있는 무대 위에서의 演奏가 더 興이 나서 추임새를 많이 한다는 事實 또한 밝혀졌다. 둘째, 추임새의 種類는 '어이, 허이, 으이, 음, 암, 어음, 아음, 치, 좋지타, 좋다, 좋아, 씨구, 얼쑤, 얼씨구, 얼씨구야' 등 16가지가 使用되었는데 種類別로 본 추임새의 出現횟수는 '이'로 끝나는 감탄사의 種類인 '어이, 허이, 으이'가 가장 많이 使用되었다. 넷째, 各 拍에서 나온 추임새 횟수를 살펴본 結果 진양조에서는 第4拍에서 중모리, 중중모리에서는 第12拍에서, 그리고 자진모리에서는 第4拍에서 추임새가 가장 많이 出現한다는 것을 알았다. 넷째, 추임새의 횟수를 調별로 나누어 百分率로 換算해 본 結果 어떤調에서 특히 많이 한다고는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界面調 以外의 羽調, 平調, 京調, 江山制에서도 界面性을 띤 旋律들이 混合되어 演奏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세 鼓手의 추임새가 一致한 곳을 보면 진양조에서는 모두 9번인데 그중 伽倻琴旋律이 同一音으로 持續되기 시작하는 第4拍에서 一致한 곳이 6번이다. 중모리에서는 모두 6번으로 伽倻琴旋律이 第9拍에서 第12拍까지, 第10拍어에서 第12拍까지 또는, 第11拍에서 第12拍까지 같은 音인 즉 持續音이었고 長鼓長短을 맺어주는 第12拍에서 一致했다. 그러므로 템포가 느린 곳에서 추임새를 할 때에는 伽倻琴旋律이 같은 音으로 持續되는 곳에서 맺어주는 役割로 추임새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중중모리에서는 세 鼓手의 추임새가 한 번 一致하고 자진모리에서는 한번도 一致한 곳이 없으나 세 鼓手가 모두 중중모리에서는 第12拍째에서, 자진모리에서는 第4拍째에서 추임새를 하는 것으로 보아 템포가 빨라질수록 長鼓長短이 맺어지는 끝 拍에서 추임새를 한다는 것을 알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論文槪要 = ⅷ Ⅰ. 序論 = 1 Ⅱ. 伽倻琴散調 金 竹坡流의 추임새 = 5 A. 진양의 추임새 = 5 1. 진양의 構成 = 5 2 추임새 횟수 = 6 3. 추임새 種類 = 7 4 各 拍에서의 추임새 = 9 5. 各 調에서의 추임새 = 10 6. 세 鼓手의 추임새가 一致한 곳 = 12 B. 중모리의 추임새 = 15 1. 중모리의 構成 = 15 2. 추임새 횟수 = 16 3. 추임새 種類 = 16 4. 各 拍에서의 추임새 = 17 5. 各 調에서의 추임새 = 18 6. 세 鼓手의 추임새가 一致한 곳 = 21 C. 중중모리의 추임새 = 23 1. 중중모리의 構成 = 23 2. 추임새의 횟수 = 23 3. 추임새의 種類 = 23 4. 各 拍에서의 추임새 = 24 5. 各 調에서의 추임새 = 25 6. 세 鼓手의 추임새가 一致한 곳 = 25 D. 자진모리의 추임새 = 26 1. 자진모리의 構成 = 26 2. 추임새 횟수 = 27 3 추임새 種類 = 27 4. 各 拍에서의 추임새 = 28 5. 各 調에서의 추임새 = 29 6. 세 鼓手의 추임새가 一致한 곳 = 29 Ⅲ. 結論 = 31 參考文獻 = 34 ABSTRACT = 35 樂譜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58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야금산조-
dc.subject-
dc.subject죽파류-
dc.subject추임세-
dc.title伽倻琴散調 金 竹坡流에 나타난 추임세에 관한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Chuimsae in Kayagu˘m Sanjo of Kim Chuk-Pa Style-
dc.format.page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