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1920年代 後半 民族唯一黨運動에 관한 硏究

Title
1920年代 後半 民族唯一黨運動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vement for the National Single Party in the latter half of 1920's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민족유일당운동상해촉성회1920년대해체경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national movement for liberation of Korea in 1920's can be summed into trend socialist movement. The national cooperation front was formed between socialists and nationalists as the social movement developed and the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gained in strength, which developed into the movement for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Single Party outside the count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the formation of SanghaeChokseonghae (a association stimulating the realization of the National Single Party) in Sanghai and its dissolution in the history of national campaign for the liberation of Korea. For this purpose, it was focused to pursuit and analyze the national movement of SanghaeChokseonghae among its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activity performed from 1927 to 1929 with the theories of the national united front. And this study, also intends to analyze the aim, relationship between chineseparty party and character of SanghaeChokseonghae according to the change of situation of china in view of the campaign for a united nation in the Korea peninsular. The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chapter 2, SanghaeChokseonghae was established in April 11 1927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by a group of right-wing nationalists and left-wing communists who took refuge at Sanghai a district of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Before the establishing of the SanghaeChokseonghae, SanghaeChungnyunDonmaeng(a young people's alliance) was formed, which had the same ideology and purpose with that of the society. Actually, SanghaeChokseonghae was established as a united front of left wing nationalist and overcoming those situations. The United front movement here means the movement oriented to independence of korea. Sanghaechokseonghae participated in the United Federation against Japan which was formed in the 1927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by Korean refugees who stayed in the mainland china. SanghaeChokseonghae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national independence group at the dur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played a great role i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belonging to the United Federation tried to form a nation-wide single party. In chapter 3, for an inquiry of the dialectic structure and background of the dissolution theory, the chapter first analyzes these of the 6th Comintern. But I find that rebuilding the Chosun Communist Party of the duty of the Chosun Communist of the time, the theory of the rebuilding party of the Communists related with various theses taken seriously. So these of the 6th Comintern had nothing to do with the dissolution of SanghaeChokseonghae. In chapter 4, I found the reasons of SanghaeChokseonghae's dissolution. The effect of World Financial Panic becomes serious and Worsening of the existence condition of workers and peasants intensified. What is more, Japanese Invasion of China. In the wake of these the labor and agrarian movements on chosun become all the more intense, making socialists follow the line of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The right-wing nationalist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joint effort with leftist in organizing the national united front. Its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of the united front was more prominent after Kwangju Uprising, Especially, leader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ment which centered around the consevative force, including Kimku, stood opposed to the coalition movement of the right and the left as national cooperation front movement led by SanghaeChokseonghae drove the provisional goverment into crisis. In chapter 5, nevertheless, the right and leftist continued to support the national united front movement and the campaign fo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right and leftist come to gather so as to construct a struggle organization against Japan for liberation of Korea. So Korean Struggle Organization in Sanghai against Japan for liberation of Korea was formed.;해방이후 외세에 의한 한반도강점과 분단 그리고 자본주의산업화의 도래와 정치의 군사적 권위주의화는 국토의 물리적 파괴뿐 아니라 모든 문화적 토양의 성숙을 지체하게 만들었고 헤게모니적 이데올로기는 군사정치체제에 의해 정치적 사회문화적 메카니즘이 보강되면서 과거 역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데 많은 걸림돌이 되었다. 따라서 현재 남과 북은 '민족'이라는 1차적 당면문제보다 부차적 문제 즉 상호 이데올로기에 대한 차별성을 강조함으로써 통일이 추상적이고 관념론적 논의 이상이 되지 않고 있다. 그러면 60여년전 독립운동을 위해 분투했던 그들에게 있어 사회주의와 민족주의는 무엇이었으며 사회주의자와 민족주의자는 결코 합치될수 없는 반목의 대상이었던가? 이러한 의구심을 바탕으로 해서 필자는 상해촉성회결성및 해체경위를 통해 좌우파 모두 민족해방운동에 분투하였고 역량의 총결집과 효율적 투쟁을 위하여 좌우파 민족 협동전선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1921년 코민테른 3차대회에서 처음으로 주창된 '통일전선'은 당시 답보상태에 놓여있던 독립운동가들에게 '민족협동전선운동'을 촉발시켰다. 중국관내지역에서의 민족협동전선운등은 '민족유일당' '일대독립당' 등의 형식을 빌어 전개되었다. 1926년 10월 북경촉성회를 필두로하여 불과 12개월안에 5개의 촉성회가 (북경, 상해, 광동,무한,남경)결성되기에 이르렀고, 민족협동전선운동의 발현체로서 유일당결성분위기는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개최및 이 연합회의 전위조직으로서 중국본부 한인청년동맹이 결성을 촉구하였다. 韓國獨立黨關內促成會聯合會會議를 개최하여 각 촉성회는 이전의 3.1 운동실패와 민족해방운동 단체의 활동 부진의 원인이 대동결집된 조직체의 부재에 기인했음을 인지하고 좌우파의 모든 역량을 총결집한 '大獨立黨'결성에 복무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러한 대독립당 결성의 열의는 당시 중국관내에 산지하였던 혁명인자들을 한곳으로 모으는계기가 되었으며 젊은 청년운동가들은 이에 대한 전위조직으로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으로 집결하게되었다. 따라서 1920년 전반 임정중심의 총력량은 1920년대 후반기 각 촉성회로 결집되어 민족협동전선운동이 극대화 되었다. 그러나 1929년 세계공황으로 인해 세계 제국주의국가는 심각한 경제적 정치적 위기에 직면함과 동시에 사회주의 파급을 막아야하는 두가지 임무가 주어졌고, 이와는 반대로 식민지 예속국가의 민족해방투쟁은 사회주의이론을 근거로 하여 한층 고무되었다. 따라서 세계는 사회주의운동을 탄압하려는 제국주의와 반제반봉건을 동시에 수행하려는 사회주의의 이분적 구도로 재편되었고 이는 그대로 중국관내 민족협동전선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종래 중국내 불란서 조계지에 위치한 독립운동은 자연히 타격을 입게 되었다. 창립 당시부터 사회주의적인 색채가 강했던 상해촉성회 회원중 사회주의자들은 당시 장개석의 4,12반공쿠테타에 대항한 중공의 광주봉기에 참여 하였고 광주봉기의 참담한 실패는 좌파세력의 운신에 폭이 협소화되는 것은 물론, 함께 운위되었던 민족주의자와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었으며 상해촉성회및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역량이 축소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민족주의자의 경우 자체 한계로써 측성회에 실제적으로 회원 다수를 점하고 있지 못했을 뿐더러 창립시 먼저 임정고수파의 불참이후 세가 극소화된 상태에서 장개석 국민당정부에게 자신들에 이념의 선명성을 부각시켜야 함을 인지하게 만들었다. 자연 상해촉성회는 활동의 답보상태에 빠지게 되었고, 좌우파 모두는 유일당의 조직론에 대한 의견 양분과 이로인해 발생된 상해촉성회의 활동부진등· 소강상태를 좌시할수 없었다. 따라서 상해촉성회 독립운동가들은 내부점검을 하게 된다. 그들은 대독립당 결성을 하기위한 노력으로서 어떠한 구체적인 방략과 활동을 내오지 못한 것에 대해 비판하면고 1929년 10월 26일 상해촉성회는 1927년 4월 창립이래 2년 6개월을 기한으로 좌우파 모두 동의하는 가운데 해체되었다. 그런데 상해촉성회를 해체하자고 모인 자리에서 그들은 이에 대한 타결책을 모색하게 되었고, 그러는 가운데 거기에 모인 좌우파 모두는 새로운 상해 단체조직에 관한 설립방침의 의견을 개진하였다. 좌우파는 상해촉성회의 한계와 오류를 점검하고 새로운 조직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는 가운데 적극적이고 주객관적 상황을 능동적으로 수용 극복할 수 있는 실천력을 담보한 결집체로서 전화를 꾀하였다. 이러한 결집체로서 상해촉성회는 '유호한국독립운동자동맹'을 상정하여 협의적 성격을 벗어날 수 없었던 촉성회를 발전적으로 해체 혁명선상의 일지대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독립운동조직으로 행태전환을 한 것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