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도서관 관련 표준화에 관한 연구

Title
도서관 관련 표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tandardization Relationg to Libraries
Authors
배선희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서관학과
Keywords
도서관표준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 operate information effectively, library automatization is under going and National Education and Reserch Networks constructing general using system on information of collages, research institution, industries, and societies are put into practice partly. To achieve library network for sharing information resource, libraries are to be related closely one another and therefore it is nesessary to accept standards of other parts through technological introduction and that the rules having been used in library itself have to look into and standardize. The aim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evaluate Korean standards institute through comparing standards institute of major countries with that of ours. 2. To graps librarian' konwlege-level about the standards and standards are needed in tasking their works. 3. To understand problems of the rules through comparing major countries' standards with interal library' ru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ew related person was participated in standardization activity. 2. Library related standards have been dealing in Information Processing Committee without any partcipation by library world. 3. Librarians demand on the necessity of standards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konwlege-level about standards system was low. 4. A cross tab was performed between special librirans and academic librarians to detect difference of konowlege-level about standards institu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analysis, 2 items emer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irst,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publishes approved standards. second, it is possible to use library related standards through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 Science. 5. In case standard have a direct connection with works, the librarian' konowlege-elvel about standard was high. Theses standards were related to ordering, filing and library automatization. 6. A cross tab was performed between special librarians and academic librarians to detect difference of konowlege-level about standar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analysis, 5 items emer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s standards are related to ISSN. Thesaurus structure, technical report and protocal. 7. Because rules and forms using in library work are not standardized it is difficult to share resources. Nationally, to make standards relating to library and utilize them there should be some preceeding conditions. hey are as follows : 1. Systematically, national standardization field have to spread into variable part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ibrary related organization. 2.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permanently in societies or associations. To do standardization activity effectively the organization should compile demand that librarians need and should collect information on standardization activity of major countries and standards. 3. Personally, librarians shoul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nd concering of standards. Also they have to utilize them into their related works.;정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개개의 도서관에서는 자동화사업이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며, 국가적으로는 대학, 연구기관, 산업체, 학회의 정보공동활용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교육연구전산망사업이 일부 실용화단계에 들어섰다. 이 교육 연구전산망의 영향으로 자원공유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정보자원의 공유를 위한 도서관네트웍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도서관들의 업무와 활동이 서로간에 호환성을 가지고 연계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기술도입으로 인한 타분야의 표준을 수용하고, 도서관 자체내에서 사용되어 온 여러 규칙도 개방되어 표준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주요 국가의 표준기관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표준기관을 제도적인 측면에서 명가하고, 표준에 대한 국내 사서들의 지식수준과 도서관업무 수행시에 요구되는 표준의 주제를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 도서관의 규정과 국제 및 주요국의 표준을 비교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규정의 문제점과 국가표준 제정시에 고려할 점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우리나라의 도서관관련 표준화 현황을 제도적인 측면, 사서 개인적인 측면, 도서관내의 규정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1. 국가의 의뢰나 위임으로 표준초안이 소수의 인원에 의해 작성된 후, 공업 표준심의회의 심의을 거쳐 국가표준으로 제정되므로 표준 관련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소홀히 하고 있다. 2. 도서관관련 국가표준은 KS의 정보처리분야에서 다뤄지고 있으며, 도서관계의 참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제 표준화 활동을 위해 설치된 ISO/TC 46 국내기술전문위원회는 문자변환에 대한 소위원회만을 설치하고 있어 업무의 세분화가 미흡하며, 위원 구성면에서도 관련 분야 전문가의 참여를 고려하기 보다는 정부투자기관소속 위원을 당연직으로 위촉하고 있다. 표준에 대한 사서의 지식 측면에서는 3. 표준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국가 표준제도에 대한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준제도와 관련된 사항 중 표준을 한국공업표준협회가 발간하여 배포한다는 사실(59.0%)과 한국공업표준협회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사실(47.0%)에 대해서만 비교적 많은 사서들이 알고 있었다. IS0/TC46 국내기술전문위원회에 대한 국내 사서의 지식수준(6.0%)은 가장 낮게 나타나 실제 표준제도에 대한 관심은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관종간 표준제도에 대한 사서의 지식 차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한국공업표준협회가 승인된 표준을 발간한다는 사실과 필요한 표준은 한국공업표준협회나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구입하거나 복사이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서의 수가 대학도서관보다 전문도서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지식수준과 유용성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표준의 특성을 살펴보면, 편목·배열·도서관 자동화시 실제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표준들로 나타났다. 6. 표준에 대한 국내 사서의 지식수준과 이용경험에 있어서 관종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보다 전문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가 5종의 표준에 있어서 이용경험이 더 많고, 이용 경험은 없어도 존재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5종의 표준은 국제연속간행물표준번호(ISSN)에 대한 표준, 시소러스의 구축 및 개발에 관한 표준, 기술보고서의 기술방법에 대한 표준, 기술보고서번호에 대한 표준과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으로 나타났다. 도서관내의 규정 측면에서는 7. 번자규칙, 보고서 작성지침, KORMARC과 같이 국가기관에서 지침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비록 해당 지침이 부족한 상태이더라도 도서관의 업무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도서관 업무의 규정은 내부 이용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협력을 위한 표준화의 노력은 미비하였다. 특히 보고서번호 부여방법과 온라인 정보검색시스템의 명령어에 있어서 통일된 규정을 발견할 수 없었다. 국가수준에서의 도서관관련 표준의 제정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선행될 요소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국가 표준화 영역이 확대되어, 도서관관련 부회가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도서관관련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는 정보처리부회에 도서관계의 자발적이고도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또한 도서관계의 전문가 또는 상설기구가 마련되어 당연직으로 참여하여 표준제정시에 도서관계의 요구를 반영하여야 한다. 2. 도서관계에서는 전문 학회나 협회에 표준화를 전담하는 상설기구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 상설기구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요구와 각 국의 표준화 활동 및 표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표준화 활동에 기초로 삼아야 한다. 3. 사서 개인적인 면에서는 표준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관심을 지녀야 하며, 업무 수행시 기존의 양식이나 규칙을 답습하기 보다는 표준의 이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