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安桂英-
dc.creator安桂英-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0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6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03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경제개발계획 이후 한국의 산업화과정에서 농촌계층구조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변화추이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농촌계층은 경지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세농층(0.5 ha 미만), 소농층(0.5-1.0 ha), 중농층(1.0-2.0 ha), 대농층(2.0 ha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자료는 농수산부에서 매년 발간하는 쎈서스를 이용하되 사례연구들을 비롯한 개별연구결과들에 의해 보충, 확인하는 형식을 취 하였다. 먼저, 산업화에 따른 농촌계층구조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써 양극분해론과 중농표준화론, 접합이론을 개괄한 후 변화의 역사적 배경인 농지개혁의 결과에 대해 언급한 뒤, 산업화과정을 농촌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농지개혁은 불철저하게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농촌은 불안정한 영세 자작농 중심의 계층구조로 개편되었다. 한편, 산업화는 농공 간 분업관련이 없는 불균형 성장전략으로서 저임금에 기반한 대외 의존적 수출지향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서 농촌의 역할은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해 주는 한편, 저농산물 가격으로써 저임금을 지지해 주는 것이었다. 그 결과, 한국은 대외적으로 기록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도시와 농촌의 격차는 더욱 커졌으며 도시로의 이농은 격화되어 갔다. 이와같은 배경 하에 농촌의 계층구조는 60년대 이후 다음과 같은변화를 나타내었다. 첫째, 대농층과 세농층은 감소하고 중소농층은 상대적 증가 내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저농산물 가격, 농업노임의 상승 등으로 대농층으로의 상승욕구를 저지시킨 채 기존의 대농층도 경영규모를 축소하고 있으며, 다른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세농층의 이농과세농, 소농을 중심으로 한 잉여토지의 흡수 등에 기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잉여토지는 상당부분이 소작지화되어 소작지 및 소작농가의 비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자소작 중심의 소작형태 및 영세지주화는 계급으로서 지주, 소작인 관계를 성립시키지 않고 있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세째, 임노동 고용·피고용면에 있어서, 특히 대농층의 가족중심경영으로의 전환은 농촌계층의 계급적 성격차이가 감소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네째, 소득면에 있어서, 제 계층간에 뚜렷한 차이는 존재하지만 조금씩 줄어가고 있음이 눈에 띈다. 결국, 농촌계층구조는 서로 동질화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론과 관련시켜 볼때, 이와같은 경향은 양극분해론에 대한 재검토 및 중농표준화론·접합이론적 시각의 유용성, 그외 새로운 이론의 정립의 가능성을 복합적으로 시사한다.;This study deals with changes of social class structure in rural society during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the last two decades. For this study farm households are classified by the scale of cultivated land and the referential data are mainly secured from the annual Agricultural Censuses Statistic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Viewing three theoretical points-theory of class differentiation, theory of middle peasant standarization and theory of articulation of modes of production, the writer attempted to examine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in relation to the changes of rural society after land reform in Korea. The structure of rural class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incomplete land reform and industrialization driven by the Government's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which was export -oriented and based on the unbalanced development policy with low wage level; one role of rural society under such a industrialization procedure has been supplying labor forces to industrial fields and farm house- holds have had to endure low prices of their products. In consequence, while the global Korean economy has shown remarkable improvement for the past two decades, the incom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households has become bigger and bigger, which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accelerate rural exodus.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social class structure of rural Korea under the above mentioned background appears to change as follows: First, big peasants and poor peasants are decreasing, while small- and middle peasants increasing steadily. This tendency results from the following reasons: agricultural products and augmentation of farm labor charges 1) Low price of suppress the upward mobility in rural society, which makes existing big peasants reduce their farming scale and poor peasants are more likely to leave their farm land to seek more choices for better livings in urban society. 2) Remaining land from those big peasants and off-farm peasants are easily absorbed by poor- and small peasants. Second, considerable portion of the remaining land are tenanted, so land and tenant farmers are increasing. Nevertheless it does not provoke class coflicts between land owners and tenants like in traditional society any more because most of the tenants have their own land. Third, big peasants are inclined to depend their agricultural work more heavily on their family labor rather than on wage labor. This would lead the rise of class conflicts in rural Korea less likely at present time. Fourth, even though there exists a large gap in income per household among rural families, these disparity appears to diminish step by step. In conclusion, Korean rural class structure can be said to change to the direction of similarity. Such a tendency induces us to reconsider the existing theories on rural class and at the same tims to seek the feasibility of founding new theoretical hypo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방법 = 3 C. 연구범위 = 6 Ⅱ. 이론적 고찰 = 8 1. 양극분해론 = 10 2. 중농표준화론 = 13 3. 정합이론 = 15 Ⅲ. 농지 개혁의 결과 = 20 Ⅳ. 한국의 산업화과정의 특징 ; 농촌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28 Ⅴ. 산업화 과정에서 농촌계층구조의 변화 = 36 A. 계층 구성상의 변화 = 36 B. 계층 성격상의 변화 = 47 1. 토지소유면 = 48 2. 임노동고용 피고용면 = 52 3. 소득면 = 58 Ⅵ. 결론 = 62 참고문헌 = 65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58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산업화-
dc.subject농촌계층구조-
dc.subject구조 변화-
dc.subject경작 규모-
dc.title산업화에 따른 농촌계층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작 규모의 변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hanges of Social Class Strucutre in Korean Rural Society Resulting from Industrualization-
dc.format.page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