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순환-
dc.creator김순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5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4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5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4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극놀이에서 유아들이 맡은 역할유형과 의사소통전략을 분석해보고, 역할유형과 의사소통전략이 사회적 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극놀이에서 유아들이 맡는 역할유형은 사회적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극놀이에서 유아들의 의사소통전략은 사회적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1. 의사소통전략은 어떠한가? 2-2. 에피소드의 길이는 어떠한가? 3. 극놀이 참여형태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E유치원과 만4세, 만5세 유아 총 5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극놀이에서 유아들이 맡는 역할유형과 의사소통전략을 관찰·분석하였다. 여기에 연구도구는 역할유형을 관찰하기 위해 Segal과 Adcock(1981)이 제시한 극놀이 역할유형을 정해남(1991)이 관찰기록표로 만든 것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Black(1992)이 제시한 주도적·추종적 역할유형을 사용하였다. 의사소통전략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신유림(1995)의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에피소드 길이는 McLoyd(1980)가 분류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amuel(1969)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사회적 능력 평정척도(CPSCS: California Preschool Social Competency Scale)를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평균, 표준편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극놀이에서 유아들의 역할유형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종합해 보면, 사회적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들의 경우 연출가 역할유형 중 내용구성과 감독 역할, 주도적인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능력이 낮을수록 유아들은 연기자 역할유형 중 행동위주의 연기, 추종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극놀이에서 유아들의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보면, 사회적 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는 주제를 정의하거나, 놀이의 역할·장소를 정의하는 전략과 놀이 상대자에게 행동이나 사건의 순서를 지시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했으며, 특히 상대방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의사소통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능력이 낮을수록 놀이진행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상대방에게 물어보고, 상대방의 제안을 수용하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능력이 높을수록 에피소드의 길이도 점차적으로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극놀이 참여형태간의 관계에서는 연기자 역할유형 중 행동위주의 연기, 추종적 역할, 정보를 요청하거나 수용하는 의사소통전략, 짧은 길이 에피소드간의 상관이 높았으며, 연출자 역할유형 중 내용구성·감독의 역할, 주도적 역할, 놀이를 지시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의사소통전략, 중간 길이, 긴 길이 에피소드 간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orms of dramatic play and social competence. For the above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role types and social competence in dramatic play?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verbal communica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dramatic play'? 2-1. Relation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social competence in dramatic play 2-2. Relations of episode length and social competence in dramatic pla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role type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dramatic play. The children in E kindergarten in Seoul, is chosen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 neighbourhood of upper-middle class. Fifty nine children(30 boys and 29 girls) were selected from four and five years old classes. Each child played in dramatic and block area during the free play time. Their play was videotaped for 30 minutes in each day. The videotapes were transcribed and then the transcripts were coded for play role types, communication strategies, episode length. The teacher ratings of social competence(CPSCS) were used to measure social competence for each chil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play role types in dramatic pla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competence. The children having higher social competence usually played producer-director role type and they were the leading actor in dramatic play. The other hand the children with lower social competence played actor role type and they were the following actors in dramatic play. 2.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dramatic pla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competence. The children with higher social competence used communication strategies to defining play activities, and gaves informations to the others. The other hand children with lower social competence usually used communication strategies to asking information and accepted directions from the others. And according to social competence, the length of episodes were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dramatic play. The children with higher social competence led medium, long episodes and the children with lower social competence led short episodes. 3. The children playing producer-director role type in dramatic play were leading actors and used communication strategies to defining play activities, and gaves informations to the others. Also led medium, long episodes in dramatic play. The other hand the children playing actor role type were the following actors and usually used communication strategies to asked informations and accepted directions from others. Also led short episodes in dramatic pl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극놀이에서의 참여 형태 = 5 B. 유아의 사회적 능력 = 18 C. 극놀이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 20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29 D. 자료분석 = 3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3 A. 역할유형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 33 B. 의사소통전략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 35 C. 극놀이 참여형태간의 관계 = 38 Ⅴ. 논의 및 결론 = 43 A. 논의 = 43 B.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0 부록 = 56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61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능력-
dc.subject극놀이-
dc.subject참여형태-
dc.title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극놀이 참여형태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forms of dramatic play and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er-
dc.format.pagevii, 7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