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옥정-
dc.creator옥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4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43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developmental transformation patterns in adolescence an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perceived competency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based on Bowlby's internal working model theory and Beck's cognitive model of depression. First, developmental transfomation patterns of Father, Mother and Peer attachment security and associations among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competency and depression were examined. Then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mpetency was investig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in use of Path Analysis. The subjects were 427 students attending 1st grade of middle school (111 girls and 86 boys) and high school (112 girls and 118 boys). Adolescents filled out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ed of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Self-perception Profile and Children' s Depression Invent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In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security,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were shown and in Peer attachment security there was significant sex difference. As the grade became higher,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ended to repeort lower attachment security on Father and Mother. And the higher level on Peer attachment security was found in female adolescents than males. 2. Correlational analyses on attachment security, perceived competency and depression level suggested that positive associ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perceived competency, and negative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 in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level, perceived competency and depression level.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on Father, Mother and Peer attachment security, there was a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sociation among all pairs of variables are significant, while for high school students association between Mother and Peer attachment security was nonsignificant. 3. In Path Anlaysi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mpetency in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level was found in middle school students, but it wasn't found in high school stud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Peer attachment security that influenced on the depression mediated by perceived competency. Generally, developmental transformation patterns of Father, Mother and Peer attachment security in current study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but in part, importance of Peer attachment security in present findings, no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And Integrated hypothesis from Bowlby's internal working model and Beck's cognitive model of depression was supported partially.;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의 발달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Bowlby의 내적 실행모형과 Beck의 우울 인지모형이론에 근거하여 지각된 유능감이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하였다. 성과 학년이 고려된 횡단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의 발달적 변화 양상과 애착 안정성, 지각된 유능감, 우울성향의 관계성을 밝힌 후,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지각된 유능감이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중1, 고1 남녀 청소년 42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 지각된 유능감 및 우울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Armsden과 Greenberg(1987)이 개발한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 개정본(Invente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IPPA-R), Harter(1985)가 개발한 자기 지각 프로파일(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Kovacs과 Beck(1977)이 개발한 아동용 우울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결과분석에 앞서 새로이 번안된 척도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하고 이를 토대로 결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과 학년에 따른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에 대한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 애착, 모 애착 안정성에서 학년차가, 또래 애착 안정성에서는 성차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의 안정성을 낮게 보고하였고, 여자 청소년들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또래에 대해 높은 애착 안정성을 보였다. 2. 애착 안정성, 지각된 유능감, 우울성향의 상관분석 결과, 애착 안정성과 지각된 유능감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이,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 지각된 유능감과 우울성향간에는 부적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 각각에 대한 상관분석결과, 중1 남녀 청소년의 경우는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이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aus 고1 남녀 청소년에서는 모 애착 안정성과 또래 애착 안정성간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3. 지각된 유능감이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1 남녀 청소년에서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된 반면, 고1 남녀 청소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1 남녀 청소년의 매개효과 모형에서 지각된 유능감을 매개하여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또래 애착 안정성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 모, 또래 애착 안정성의 발달적 변화 양상은 비교적 선행연구와 일치하였으나 부분적으로 불일치하는 점도 있었다. 또한 애착안정성, 지각된 유능감, 우울성향의 경로분석 결과는 Bowlby의 내적 실행모형과 Beck의 우울성향 인지모형의 통합적 가정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 특징적인 것은 지각된 유능감을 매개하여 우울성향을 설명하는 애착 안정성의 소재가 부모 애착이 아니라 또래 애착 안정성이었다는 점이다. 이는 청소년의 적응과 발달에 또래 관계가 갖는 중요성을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애착 이론 = 4 B. 우울 = 11 C. 애착과 우울의 관계 = 15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절차 = 22 C. 측정 도구 = 22 D. 자료 처리 = 2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6 A. 애착 안정성의 발달적 양상분석 = 26 B. 애착 안정성, 지각된 유능감, 우울성향의 상관분석 = 29 C.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30 Ⅴ. 결론 및 논의 = 38 참고문헌 = 44 부록목차 = 54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64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청소년기-
dc.subject애착 안정성-
dc.subject우울성향-
dc.subject지각된 유능감-
dc.subjectPerceived Competence-
dc.title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각된 유능감(Perceived Competence)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mpetence-
dc.format.pageviii, 7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