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흡연여고생에 대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Title
흡연여고생에 대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Smoking Female Student : mainly on Peer Group Smoking Behavior
Authors
박은선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흡연여고생사회기술훈련흡연행동또래집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여학생의 흡연율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흡연행동은 성인들과는 달리, 신체적인 중독에 의해 유발되기 보다는, 동료집단의 영향이 지대한 사회환경적인 요인들로 인해 유발,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이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개입 프로그램은 이러한 요인들을 배제한 채, 흡연의 폐해에 대한 강의와 교육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료집단을 활용하여 흡연 여고생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개입방법으로 사회기술훈련을 제안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회기술훈련은 대인관계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획득, 일반화, 영속화를 증진시키도록 고안되어 과학적인 검증이 이루어진 프로그램 패키지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신질환자 및 청소년, 노인 등 다양한 대상에 활용되어 그 효과성이 증명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연여고생에게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여, 흡연환경에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도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 여고생에게, 동료집단을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임상사회사업 실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설계는 양적조사와 질적인 조사를 병행하였는데, 양적인 조사방법으로는 사전-사후 설계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사항으로는, 흡연량과 흡연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정도, 자기주장성, 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질적인 연구방법으로는 집단과정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흡연행동 변화를 위한 유의미한 사회사업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한 인문계 여자고등학교에서 흡연행동으로 적발된 1,2학년 학생 10명이었다. 이들과 흡연행동 및 사회기능정도가 동질한 성원으로 통제집단이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1)흡연의 피해에 대한 정보 제공, (2)흡연행동과 상응하는 쾌감을 얻을 수 있는 대안을 제시, (3)분노조절법, 효과적인 자기주장과 의사소통방법을 위한 훈련 등의 다양한 사회기술훈련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도구는 흡연을 조절할 수 있다는 신념을 특정하기 위한 자기조절효능감 척도와 사회기술정도를 측정하는 자기주장성 척도(Rathus Assertive Scale)와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자료는 SPSS/WIN 7.0 통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후 실험집단 구성원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흡연행동이 감소되었다. 2.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구성원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흡연행동에 대한 자기조절효능감이 증가되었다. 3.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구성원들은 자기주장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대상자들의 공격적인 성향이 감소하면서 적응적인 자기주장능력을 습득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되었다. 4.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구성원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대인관계 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과정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임상실천에 대한 몇가지 발견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기술훈련에서 활용하는 역할극은 환류를 통해 자연스럽게 서로의 행동을 강화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증명되었다. 동료들간의 관심 표현과 환류등의 집단역동을 통한 문제해결 방법이, 청소년들의 자기 인식과 흡연 행동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는 집단 성원의 동기화를 위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이 요구시된다는 점이다. 집단 사회사업 실천에서 성원의 동기화 이슈가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져한다. 집단과정 초반에 참여에 대한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문제해결과정으로 넘어갈 수 없다. 비자발적인 청소년 집단의 경우 집단에 대한 동기와 매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집단과정 초기에 성원들이 현재 원하는 것을 존중하면서 참여의 필요와 흥미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흡연여고생의 경우 진행자가 지시, 촉구, 명령 등의 기법을 활용할 때 보다 지지, 격려 등의 긍정적인 강화를 통하여 개입할 때 효과적인 행동수정이 이루어진다. 넷째, 집단구성에 있어서, 같은 학년과 동료집단의 성원들로 구성하는 것이 집단 응집력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질적인 학년으로 구성될 경우 집단내에서 하위집단으로 나누어지거나, 위계가 형성되어 성원들의 개방적인 참여를 저해하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흡연행동 변화를 위하여 또래집단을 통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흡연행동의 변화는 장기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좀 더 장기적인 사후조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Despite the recent increase of acknowledgement on the harms of smoking, here has been a notable increase in the smoking rate of teenage girls. Unlike most adult smoking which occurs by physical intoxication, this typical group's smoking is connected with their peer groups and psychosocial factors. Since the previous programs for teenage smoking have put little emphasis on these factors, this study was oriented to utilize the peer group. I used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s the main method and then verified its effectiveness in reducing smoking. Social skills training is a scientifically examined program package, designed to help its participants to learn the interpersonal skills and then generalize and maintain them. There has been the studies that proved its usefulness in various groups, such as the psychiatric patients, adolescents, the aged and etc.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on high-school smoking girls, in order to provide with them the skills to react in a smok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ocial work practice by verifying the effects of this program. Research design consisit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s for quantitative research, the comaprative study was don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y pre-post test. And a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group work process and individual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meaningful factors in social work intervention. The target group consists of 15 girls in high school who were caught for smoking in the school.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1)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harm of smoking (2) Providing other means to obtain pleasure besides smoking (3) Training various social skills, such as anger control, effective self assertion and communication etc. The measurement for this study was Smoking Self-Efficacy Questionnare, Rathus Assertive Scale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 The result of pre-post test were processed with S.P.S.S./WIN statistics progra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are as follows : (1) After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he member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ir smoking reduced. (2) After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he member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ir self-efficacy in smoking increased. (3) After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he member of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meaningful improvement in self-assertion. But since the members were acknowledged on their agressiveness through the program, they degraded their self-assertion scores. So this program would be assumed to cause positive changes to them. (4) After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he member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Social Skills Program with peer groups is effective in reducing smoking, and the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 on social work practice. But since changes in smoking behavior are accomplished by precise examination over long-term research, I suggest long-term follow up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