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朴木月詩의 空間意識 硏究

Title
朴木月詩의 空間意識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SPACE ON PARK, MOK, WORL'S POETRY : mainly on the image of'a way'
Authors
嚴景熙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박목월공간의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 시인의 전 작품 속에 내재해있는 총체적 의미와 통일된 질서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 작품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시인의 意識의 뿌리, 즉 意識의 志向性을 검토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朴木月 詩에 나타나는 다양한 이미지 가운데 그의 전작품 속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길'이미지의 變容過程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그의 상상력이 포착하고 있는 詩的 空間의 구조와 이미지의 특성을 검토하고, 아울러 목월의 意識現象의 변모를 밝혀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시적 자아가 외부세계와 관계하는 데서 생성되는 '自然과 現實의 空間'을 중심으로 길이미지의 변용을 살펴보았다. 목월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길이미지는 `먼 길`의 형태로 유형화될 수 있는데, 이는 시적 자아와 대상과의 遠距離의식 속에서 기인된 '외로움'의 내면적 정서를 함축하고 있다. 멀리 떨어져 있는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간절한 그리움과 외로움은 '盲'이라는 어둠의 이미지 속에 투사(Project)되어 나타난다. 대상과의 거리를 좁히고, 내면에 응집된 어둠을 초극하려는 의지는 `보행`이라는 능동적 행위를 통해서 드러나는데, 먼 길의 보행은 시인의 상상작용과 기존의 가시적 자연이 결합되어 빚어낸 `靑石`과 `달빛`의 환상적 自然 속에서 이루어진다. 靑石과 달빛은 靑色과 白色의 투명한 '빛의 空間'을 형성하여 盲이된 보행자의 내면을 깨끗이 淨化해 준다. 自然에만 집중되었던 시인의 의식이 人間과 生活周邊으로 확대되면서 길의 이미지 또한 생활과 밀접한 '계단'의 형태로 변모한다. 계단은 현실의 무거움과 고통을 인식케하는 매개적 통로로 인간적 삶을 위한 여유와 풍요로움을 허용하지않는 가파른 垂直的 형태의 길이다. 시적 화자는 이 계단을 疾走하면서 자아의 현실적 위치 즉, 온 가족의 안존을 책임져야하는 '아버지'라는 존재의 무거움을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숨막히는 질주와 가열된 시간의 소용돌이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갈망이 `迂廻路'라는 曲線形態의 길을 통해서 표현되고 있다. 迂廻路는 삶의 치열한 긴장을 이완시켜 주는 휴식의 공간으로, 계단과 상반되는 의미를 내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먼 길'은 외로움이라는 시적 정서의 等價物로, '계단'과 '迂廻路'는 시인의 현실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시적 의미체로써 각각 시에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Ⅲ장에서는 자아의 存在方式의 문제를 탐구하는 '內面的 思惟의 空間'을 중심으로 길이미지의 변모를 살펴보았다. 자아의 존재방식에 대한 물음은 자신에게 다가올 죽음, 즉 존재 소멸의 문제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철학적 관념의 문제가 그의 시에서는 '불안'이라는 정황으로 드러나고 있다. '假橋' '迷路' '水平臺`등은 시적 자아를 불안으로 이끄는 '흔들리는 길'로, 이공간에서의 흔들림은 자아와 세계의 질서와 균형의 붕괴를 암시한다. 불안의식은 그동안 걸어온 길에 대한 회의와 반성을 일깨워줌과 동시에 불안으로부터 벗어난 보다 궁극적이고 자유로운 의식세계의 희구로 이어진다. '길의 無化'는 이러한 시인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는 상상작용으로 볼 수 있다. 목월이 후기시에서 빈번히 사용하고 있는 詩語 '志却'과 '潛跡'은 無化되고 싶은 시인의 갈망이 반영된 것으로, 그의 시 속에서 이 두 시어는 소멸해진다는 부정적 의미가 아니라, 생활의 사사로운 기억과 번잡한 주위로부터 자신을 말끔히 여과해낸 자기정리의 상태를 의미한다. 生의 무거움과 애착에서 벗어나 자신을 정리함은 죽음을 가벼움과 자유로운 의식 속에서 포용하려는 초월의 자세를 나타내는 것이다. 길을 덮음, 또는 지움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눈'(雪)이미지는 죽음에 대한 시인의 태도를 가장 잘 드러내주고 있다. 눈은 모든 길을 흰색의 밝은 沈默으로 無化시키는 가볍고 풍성한 終焉의 의미를 함축한다. Ⅳ장에서는 의식의 자유로움 속에서 획득된 '超越空間'을 중심으로 목월의 공간의식을 검토하였다. '눈'에 의한 길의 無化는 공간에 대한 無所有의 태도로 이어진다. 공간에 대한 無所有는 공간의 辨別性이나 소유가 무가치함을 뜻하는 것으로, 이는 불연속적 세계의 한정과 제한으로부터 벗어나 존재의 有限性을 극복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자유의식은 공간을 전 우주로 무한정 확장해 나아가, 우주 속에서 자아의 전체성을 관망하는 단계로 심화된다. 존재를 영원한 세계로 끌어올리고자 하는 시인의 志向性은 보다 은밀하고 내면화되어있는 '中心'공간의 탐구로 표출된다. 中心部는 땅과 하늘을 이어주는 경계의 공간으로 단절을 지속적으로, 소멸을 영원한 생명으로 전환시키는 분기점으로 의미화된다. 이 核의 공간속에서 시적 자아는 우주 속의 자신을 냉철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 목월의 시에서는 '바위'의 이미지를 통해서 이러한 의미가 구체화되고 있는데, 바위는 초월적 세계로 향한 매개적 통로로, 세속적인 세계로부터 자신을 차단시키고 침묵으로 새로운 빛을 기다리는 고독의 공간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Ⅲ, Ⅳ장의 길이미지는 시인의 죽음의식과 그것의 초월과정을 나타내는 포괄적 의미체로 요약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길 이미지의 변용양상을 통해서 시인의 意識現象의 변모와 想像力의 力動的 흐름이 어떻게 시로 형상화되고 있나 살펴보았다. 박목월의 창조적 직관에 의해 포착된 '길'이미지는 外部에서 內部로, 可視的 世界에서 非可視的 世界로 점차 이행해가는 시인의 의식의 방향을 함축적으로 드러내준다. 이는 그의 시의 美的特質과 총체적 의미망을 아우를 수 있는 시적 이미지라 하겠다.;The primary constituent of Doetrv is a languaqe, and a poet should shape an artistic structure all of his own using the words which are already given to him. Constructing an 'image' is a way to give expression to poetrv which shows a poet's principle of creation and his individual view of the world. The subject of study being all works of Park, Mok Wor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ing phases in the phenomena of his consciousness and also t h e unioueness of the poetic beauty according to a phase. Tn examining these questions, an analysis will be made intensively on the image of 'a way' among various images emerging in Park, Mok Wor1's poetry. It is the image of 'a wav' that appears continously in his all works and that shows the stream of energetic imagination of the poet. In Chapter 2, the conversion in the image of away is looked into centering around the space of nature and reality which is created i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poetic self and the outer world Mok Worl's early works reveal that the distance is very far between the poetic object, 'a love', and the poetic self. His awareness of the far distance from the love takes concrete shape by 'a long way', and the loneliness and the ardent longing for the love are symbolized by the image of darkness as in 'being blind'. His will to shorten the distance from the love and surmount the state of being blind is represented by symbolic behavior such as 'walking'. Walking a long way happens in blue and white nature which is made by the poet's imagination and, this nature is meant to be 'the space of light' that purifies the inner self of a walker. While the poet's awareness focused only on nature comes to expand into a human and living environments, the image of a way is converted to take the form of 'the stairs' closely related with living. The stairway is the medium through which the weight and the pain of reality are recognized, and is the image of a vertical way that does not allow happiness and comfort of living. Running up the stairs, the poetic self ascertains the cold-heartedness of reality and his miserable state. An earnest desire to escape from this vortex of living is seen in the creation of the image of a curvilinear wag. In contrast to the stairs, 'the detour' has the space of rest that helps to relax a keen tension of living. As examined above, it can be seen that 'a long way' works in a poem as the equivalent of such poetic emotion like solitude, and that 'the stairs' and 'the detour' the reflected correspondents with the poet's awareness of reality. In Chapter 3, the conversion of the image of a way is observed focusing on the space of inner speculation that expolres the matter of the self's mode of existance. An inquiry into the matter of the self's mode of existance results in t h e issue of death crawling upon the self, that is, the issue of being and perishing. Such a philosophical question is revealed in the state of 'insecurity'. A temporary bridge, a labyrinth, and a level are the images of 'a shaking way' that imply the uneasiness of the poetic self. The awareness of anxiety about the self-effacement and the shaking of the inner self awaken doubts and introspection about the way the Doet walked all the while. At the same time, they are linked with the longing for the world of more ultimate and more liberal Consciouseness casting off insecurity. 'vanishment of a way' can be seen as the operation of imagination reflecting the poet's consciousness. 'oblivion' and 'concealmerit' are the poetic words symbolizing disappearance of a way, and mean that the self is consolidated by getting rid of personal memories of living and complicated environments. The intent to consolidate the self cutting off the weight of living and the attachment to it shows the transcendental attitude to embrace death in light consciousness. Snow is the image that represents Park, Mok Worl's awareness of death signifying the light and substantial end of life. Snow convers every way and make everything nonexistent in white. In chapter 4 Mok Worl's consciousness of space has been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transcendental space'. The consciousness of death as something light suggests acquiring the world of liberal consciousness. The state of freedom from all limitations and restrictions appears as the attitude of no desire to possess the apace. The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space permits the vision of the poetic self to expand into the infinitely spacious cosmos, and is developed into the stage overlook- ing the totality of the world and the self. In addition to expansion of the vision into the cosmos, these lf also throws his gaze upon 'the core' which is the most secret space of the cosmos. The core is the boundary space connecting the earth and the sky, and the diverging point where discontinuity is transformed into continuity and extinction into eternal life. In this space of the kernel, the poetic self can find out himself standing in the cosmos, which is material- iezed as the image of 'a rock' among Mok Worl's poems. The rock is the intermediary passage toward the transcendental world, and signifies the space of solitude where the self excludes everything secular and waits for the new light. The image of a way covered in Chapter 3 and Chapter 4 can be summarized as the consciousness of death and the inclusive significance showing the process of overcoming death. Until now, it is investigated, through the aspect of converting images of a way, how the changes in the phenomena of the poet's consciousness and the energetic stream of imagination are reflected upon the poetic shaping. The image of a way, where the structure of meaning in Mok Worl's poems is systematically combined with secret and poetic sense of beauty, is the central image that reveals the direction of the poet's consciousness moving gradually from the outside to inside and from the visible world to the invi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