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은영-
dc.creator전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3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5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367-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동편제만으로 전승되어 오고 있는 <수궁가> 중 고고천변 대목을 중심으로 시대별 각 명창들의 음악 양상을 살펴보고, 시대에 따른 변화와 각 명창 나름대로 어떤 전승(연속), 변이의 형태가 생겼는지 알고자 하는 목적에서 그 기초적인 음악적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송만갑, 임방울, 김연수, 박초월의 창을 통하여 사설, 청과 조의 변화, 도입부분과 종지부분의 특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은 공통된 부분과 공통되지 않는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공통된 부분에서 사설의 붙임새로 인하여 장단수가 달라지고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삭제된 부분이 나타났다. 특히 송만갑의 '강한이∼대하를 버리고'와 김연수의 '저 뻐꾹새가 ∼날아들제'와 같이 독특한 사설을 삽입시키는 경우도 있다. 김연수, 임방울, 박초월은 김연수의 새타령 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같고 송만갑과 김연수, 임방울, 박초월은 사설이 다른 곳이 많이 발견되었고 생략된 곳도 많이 발견되었다. 둘째, 출현음계는 b^(b)청 우조, g청 계면조, d청 계면조, b^(b)+g청 혼합조가 출현하며 임방울만 b^(b)+g청 혼합조가 출현하지 않는다. 각 창자별로 가장 많이 출현한 음계를 살펴보면, 송만갑은 b^(b)청 우조가 75%정도 차지하고 나머지 김연수, 임방울, 박초월은 g청 계면조를 김연수는 69% 임방울은 86% 박초월은 74% 차지하였다. 셋째, 청과 조의 변화는 송만갑은 b^(b)청 우조가 많으며 꺾는 음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김연수, 임방울, 박초월은 꺾는 음의 출현 횟수가 박초월로 갈수록 더욱 더 많아지고 다양화 되면서 b^(b)청 우조 보다는 g청 계면조가 더 많이 나타난다. 넷째, 도입부분에서는 '고고천변'의 전체적인 특징을 나타내주는 음계가 1∼4장단에 나타나는데 송만갑의 주요 출현은 b^(b)청 우조임에도 불구하고 g청 계면조로 되어 있으며, 김연수, 임방울, 박초월의 주요 음계는 g청 계면조이며, 도입부분에서도 같은 음계로 잘 나타났다. 다섯째, 종지구의 비교에 있어서는 '아마도 네로구나, 요런 경계가 또있나라'는 사설을 네명의 창자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 송만갑과 김연수는 한번으로 끝맺음을 하며 임방울과 박초월은 두 번 반복함으로써 종지부분을 강조한다. 송만갑은 중심음인 b^(b)에서 b^(b)음으로 종지하고 김연수는 중심음인 b^(b)음보다 완전4도 아래인 f음으로 종지한다. 임방울을 A(80∼81장단), B(82∼83장단)단락으로 나누어서 비교하면 A단락은 중심음인 b^(b)음에서 종지음도 b^(b)음으로 똑같이 종지하며, B단락 중심음인 g청음에서 종지음도 g음으로 종지를 한다. 박초월은 A(78∼79장단)단락에서 중심음인 b^(b)음에서 종지음은 a음으로 불완전한 종지를 하고, B(80∼81장단)단락은 중심음인 g음에서 종지음도 g음으로 종지를 한다.;As the above, in the wake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musical note, change of cheong and jo, a introductory part, change of cheong and jo, a introductory part, and a periodi part,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① Description is classified into common parts and uncommon ones. In the common parts, it is shown that the number of length makes a difference due to bootimsae of description and they are partially inserted or eliminated. Especially, there's a case that such unique descriptions as 'Kanghani∼daehareul beorigo' by song man-gab and 'Jeo bbeogooksaega∼ naladeulje' by Kim yeon-su are inserted. The song patterns of Kim yeon-su, Yim bang-ool and Park Cho-wol are almost similar to one another's except for Kim yeon-su's saetaryeong part, and their descriptions including song man-gab's were much found out with left-out parts done like that. ② As appearance scale, b^(b) cheong jo, g cheong gemyeon jo and b^(b)+g cheong complex jo appear with b^(b)+g cheong complex jo not shown only in the Yim bang-ool's. When taking a good at the most appearing scale in each song pattern, Song man-gab's occupies an approximate 75 percent of woo jo, and the rest have g cheong. Gemyeon jo with Kim yeonsu 69%, Yim bang-ool 86%, and Pask cho-wol 74%. ③ When it comes to the change of cheong and jo, Song man-gab used b^(b) cheong woo jo very much but didn't do bent sound at all. However, Kim yeon-su, Yim bang-ool and Park cho-wol were getting to increasing appearance number of bent sound much more and more variously toward Park cho-wol's times. As a result, g cheong gemyeon jo are more appeared than b^(b) cheong woo jo. ④ In the introductory part, the first to fourth length introduce as scale expressing a total characteristic of 'Gogocheonbyeon', and moreover, g cheong gemyeon jo is introduced despite most of b^(b) cheong woo jo in the song pattern of song man-gab, and each major scale of Kim yeon-su, Yim bang-ool and Park cho-wol is g cheong gemyeon jo, expressed with a good handling also in the introductory part. ⑤ In comparison of a periodic past, their songs have in common the description like "Amado neroguna, yoreon gyeonggega ddo itna" and song man-gab and Kim yeon-su concluded with it one time, and on the other hand, Yim bang-ool and Park cho-wol made an emphasis of their periodic parts by repeating it two times. Song man-gab put a period with a center sound, b^(b) to b^(b), and Kim yeon-su with f sound complete 4 degree below the center sound, b^(b). When Yim bagn-ool's is analysized by dividing it into A paragraph(80∼81 length) and B paragraph(82∼83 length), the A paragraph ends identically with a center sound b^(b) to b^(b) and the B paragraph finishes with a center sound g to a periodic sound g. Pask put a incomplete period with a center sound b^(b) to a periodic sound a in the A paragraph(78∼79 length) and with a center sound g to a periodic sound g in the B paragraph(80∼81 leng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2 Ⅱ. 본론 = 5 A. 동편제의 유파와 정승계보 = 5 B. 창자별 사설비교 = 7 C. 고고천변의 창자별 음악구조 분석 = 13 1. 송만갑 = 14 가. 음계 = 14 나. 청과 조의 변화 = 16 다. 도입부분과 종지부분 = 17 2. 김연수 = 18 가. 음계 = 18 나. 청과 조의 변화 = 21 다. 도입부분과 종지부분 = 22 3. 임방울 = 23 가. 음계 = 23 나. 청과 조의 변화 = 25 다. 도입부분과 종지부분 = 27 4. 박초월 = 28 가. 음계 = 28 나. 청과 조의 변화 = 30 다. 도입부분과 종지부분 = 32 Ⅲ. 결론 = 34 참고문헌 = 36 별첨악보 = 37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02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판소리-
dc.subject수궁가-
dc.subject고고천변-
dc.title판소리 <수궁가> 중 고고천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of Gogochonbyeon in Pansori Sugung song-
dc.format.pageviii, 5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