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신정-
dc.creator김신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8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5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863-
dc.description.abstractTo be a mother is a stage of adulthood socialization and normal life event, at the same time it means a transition to maternal role and add to maternal role till present role. Maternal role is a combination between motherliness and mothering. In order to adapt maternal role successfully, mother must implement her role rightly. The importance of infant period nutrition is well known matter. Especially to mother and infant, brestfeeding practice provide physical, psychological benefit and as a one of maternal role, it deeply related to maternal role adaptation. This study examine the degree of postpartum adaptation to motherhood, breastfeeding practice and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motherhood and breastfeeding practi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oriental understanding of clients postpartum adaptation to motherhood and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 The ultimate goal was to contribute to planning of nursing interventions towards the helping of postpartum adaptaticn to motherhood and promotion of breastfeeding practice in infant mothers.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5 to October 14, 1988 from 168 infant mothers in five hospitals, one clinic, two health centers in Seoul, who visited in this period. The instruments were a postpartum adaptation to motherhood scale designed by the investigator using the Seehan's The Clinical Tool for Assessing Adaptation to Motherhood through Postpartum and Price, Bang's et a1 Breastfeeding practice scale.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an S.P.S.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 percentage, mean, S.D., t-test, ANOVA. The result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postpartum adaptation to motherhood was a mean of 2.85 (SD =±0.47) and general variables signifi- 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postpartum adaptation to motherhood were the age (F = 3.393, p = 0.0360), family type (t = 0.9497, P = 0.0024). 2 . The level of breastfeeding practice was a mean of 3.72 (SD = 50.54) and general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breastfeeding practice were family type (t = 11.626, P = 0.0008), obestrical history (t = 4.120, P = 0.0440), postpartum rooming in at hospital (t = 8.241, P = 0.0046), advice and guide to breastfeeding from medical personnel (t = 9.517, p = 0.0024) and perception to feeding method of infant mothers (t = 13.423, p = 0.003). 3. The level of postpartum adaptation to motherhood and breastfeeding practice was correlated at significant level (r = 0.5805, p = 0.001). The nurse must not only help mother's adaptation but also encourage postpartum rooming-in and breastfeeding at hospital. The nurse need to plan nursing interventions toward helping clients to adapt motherhood and promote breastfeeding practice.;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성인기 사회화 과정의 한 단계이며, 정상적인 생활사건인 동시에 어머니 역할로의 전환을 의미하는데, 이는 지금까지의 역할에 어머니 역할이 더 부과되는 것이다. 어머니 역할은 어머니다운 마음가짐과 신체적 돌봄의 활동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며 어머니 역할을 인식하고 수용하며,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어머니로서의 적응을 성공적으로 하게된다. 영아기 영양의 중요성은 잘 알려진 사실로서 특히 모아에게 신체적, 정신적인 잇점을 제공하는 모유수유실천은 어머니 역할중의 하나로서 어머니로서의 적응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영아가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정도와 모유수유 실천정도를 알아보고 그 관련성을 파악해 봄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을 잘하도록 돕고 모유수유 실천을 증진하도록 하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자료는 1988년 9월 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서울시내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1개 개인병원, 2개 보건소를 방문한 생후 6개월~ 12개월의 영아가 있는 어머니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eehan(1981)의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 사정도구와 Price(1983), 방(1983)등의 관련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정·보완 한 모유수유 실천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에 의해 백분을, 평균, 표준편차, t - 검정, ANOVA, 적률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정도는 평균 2.85점 ( SD=± 0.47 )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정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많은 집단 ( F=3.393 , P=0.0360 ) , 대가족 집단( t=0.9497 , p=0.0024 )이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을 잘 하였다. 2.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도 평균 3.72점 ( SD=±0.54 ) 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유수유 실천정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일반적 특성에서는, 대가족 집단 ( t=11.626 , p= 0.0008 ) , 경산모 집단( t=4.120 , p=0.0440 ) , 분만 후 병원에서 모자동실을 한집단( t= 8.241, p : 0.0046 ) , 의료인으로부터 모유수유를 권장받은 집단( t=9.517, p=0.0024 ) , ,가장 좋은 영양공급방법이 모유영양이라고 한 집단( t=13.423, p=0.003 )이 모유수유 실천정도가 높았다. 3. 대상자가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을 잘 할수록,모유수유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r= 0.5805, P=0.001 ). 그러므로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와 함께 병원에서는 모자동실을 행하며 간호사는 모유수유 실천의 가치와 중요성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모유수유 실천 = 5 B. 어머니로서의 적응과 모유수유 실천 = 7 Ⅲ. 연구방법 = 11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1 B. 연구도구 = 12 C. 자료분석 = 13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4 A. 대상자의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정도 = 14 B. 대상자의 모유수유 실천정도 = 17 C. 대상자의 산후 어머니로서의 적응정도와 모유수유 실천정도간의 관계 = 21 Ⅴ. 결론 및 제언 = 23 참고문헌 = 25 부록 = 34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70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산후어머니-
dc.subject적응-
dc.subject모유수유-
dc.subject실천-
dc.title산후어머니로서의 적응과 모유수유 실천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osipartum adaptation to motherhood and breastfeeding practice-
dc.format.page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