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국내에서 분리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항생제감수성과 유전자형의 양상 및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Title
국내에서 분리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항생제감수성과 유전자형의 양상 및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Authors
유영인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약학과
Keywords
반코마이신장구균항생제감수성유전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VRE는 그람양성 구균으로 최근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이 보고되어 그 관리의 중요성이 시급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00병원에서 혈액종양 내과와 소화기 내과에 입원한 환자 62명중에서 검출된 위장관 집락을 형성한 enterococci 중 vancomycin 내성 장구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으로 판단되는 7균주와 환자의 임상검체에서 발견되어 VRE 추정되는 3균주에 대해 동정에 이어 한천희석법에 의해 phenotype(Van A, B, & C)을 결정하고 중합효소 연패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genotype(vanA, B, & C)을 확인하였으며 VRE 발생위험인자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 대상으로 한 10균주는 모두 그람염색과 6.5% 식염배지에서의 성장 등으로 enterococci임이 확인되었고 Vitek system으로 항생제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NCCLS)기준에 따른 감수성 기준치(MIC≤4㎍mL^(-1))를 초과하여 vancomycin에 내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균주의 동정 및 Vitek system과 한천희석법에 의한 신빙성 있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VRE의 표현형(phenotype)을 결정하였고 PCR을 통해 유전자형(genotype)을 확인하였으며 의무기록지를 검토를 통해 VRE 발생위험인자에 대해 연구하였다. VRE가 추정되는 10균주 중 2균주는 Enterococcus faecalis, 2균주는 E. faecalis였고 6균주는 E. casseliflavus였다. 그 중 임상검체에서 나온 3균주는 모두 E. casseliflavus였다. E. faecalis 2균주와 E. faecium 2균주 등 총 4균주는 vancomycin(MIC>256㎍·mL^(-1))과 teicoplanin(MIC>32㎍·mL^(-1))에 고도내성을 나타내 VRE 표현형 VanA로 판정하였다. E. casseliflavus 6균주는 vancomycin에 낮은 내성(4㎍·mL^(-1)4㎍·mL^(-1)) in stool and 3 suspected VRE in clinical specimens collected from ○○hospital. 10 VRE were identified and determined the phenotype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resistance to vancomycin and teicoplanin using Vitek system and agar dilution method. And these were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ith primer sets specific for the vanA, vanB and vanC. PCR products were separated on 1.8% agarose gels and compared with the expected sizes for each geotype. Isolate were as identified as 2 E. faecium, 2 E. faecalis, and 6 E. casseliflavus. Of the 10 VREs, 2 E. faecium and 2 E. faecalis were all high level resistant to vancomycin(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256㎍·mL^(-1)) and teicoplanin (MIC>32㎍·mL^(-1)), thus all were identified as phenotype VanA. 6 E. casseliflavavus were all low level resistant to vancomycin(4㎍·mL^(-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