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尹愛蘭-
dc.creator尹愛蘭-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8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4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852-
dc.description.abstract本 硏究는 우리 나라의 人口成長 推移·食糧需給 推移·營養攝取實態·建康 狀態의 變化등을 1910年에서 1980年까지 時代的 배경에 따라 여섯 期間으로 나누어서 살펴봄으로써, 人口增加에 따르는 食糧·營養 狀態의 變化 그리고 營養 狀態 變化에 따르는 健康 狀態 즉 平均壽命과 主要 死亡原因의 變化를 알아보고저 하였다. 시대별 분류는 1910年에서 1945年까지 36年間의 日帝時代, 1945年에서 1950年 까지의 解旅直後 期間, 1955年에서 1960年까지의 期間, 1960年에서 1970年까지의 제1차·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기간, 1970年부터 1980年까지의 제3차·제4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기간 등 여섯기간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本 硏究는 人口·食糧需給 現況·營養 狀態·健康 狀態와 관련된 각종통계 자료 및 관련 문헌 연구에 의존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人口成長과 貪糧·營養 狀態, 營養 狀態와 平均壽命, 營養 狀態와 主要死亡原因과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 드러났다. 일제시대에는 穀物의 國內生産이 人口增加率을 훨씬 상회하여 食糧 自給率이 100%를 넘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日帝의 産米增産 計劃에 따른 米穀의 對日輸出 增加로 우리 나라 사람의 1人當 穀物 消費量은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하여 심각한 식량고를 겪었고, 영양 상태도 매우 불량하였다. 해방이후에는 만주와 일본으로 부터의 유입 인구와 이북으로 부터의 월남 인구가 증가하여 식량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1960년대 이후에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성공에 따르는 소득 향상으로 식생활 소비패턴이 변화함에 따라서 식량 수요의 급증을 초래했다. 이렇듯 식량 수요의 급증으로 인한 식량 수급의 차질은 식량생산 구조 변화와 식량 자급도 저하라는 큰 문제를 야기시켜 해방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해마다 식량을 외국으로부터 도입하지 않을 수 없었다.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성공에 따른 식생활 패턴 변화로 우리 나라 국민의 영양섭취 상태도 상당히 좋아져서 식물성 식품의 섭취는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인데 반해 동물성 식품의 섭취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또 열량에 대한 3대 영양소의 섭취 구성 비율도 권장 비율인 65:15:20(탄수화물:단백질:지방)에 접근하는 추세를 나타내었고, 무기질·비타민류의 섭취도 많이 증가하여 우리 나라 식생활 패턴이 점차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한편, 식생활 개선으로 인한 영양 상태의 향상은 평균 수명을 연장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일체초기의 20代수준에서 1970년대는 60代수준으로 약3배에 이르는 증가를 가져오는데 기여하였다. 또, 일제시대와 같이 영양 상태가 좋지 못했던 시기에는 전염병과 같은 감염성 질환이 만연하였지만, 1960년대 이후에 점차로 영양 상태가 호전되면서 식생활과 관련된 성인병 즉 심장 질환 ·고혈압성 질환 ·악성 신생물 ·당뇨병등과 같은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크게 증가하여 주요 사망원인으로 대두되었다. 즉 우리 나라의 식생활이 점차로 선진국의 식생활 형태로 변화해감에 따라서 사망 유형도 선진국의 사망형태로 변화해가는 추세를 나타내였다.;This research was studied, divided into 6 periods according to historical background from 1910 to 1980. That is : Colonial days from 1910 to 1945, the period of Independency from 1945 to 1950, the period of Korean War from 1950 to 1955, the period from 1955 to 1960, the period of 1st and 2nd Economic development plan from 1960 to 1970, the peroid of 3rd and 4th Economic development plan from 1970 to 1980. It was objected to investigate the food supply-demand problem and the change of nutritional status resulted from population increasement, and public health, such as mean life span and major cause of death, the change of nutritional status.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practiced based on stastical data and literatures concerning status of populatin, food supply, nutritional intakes, and public health. It was suggested that the close relations were shown between population increasement and food supply & nutritional status,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mean life span,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major cause of death, respectively. The chauge of dietary life through the increasement of population and income led to sharp increasement of demand for food, and the imbalance to food supply resulted in lower food self support. Since Independency (1945), we have to imported food till nowadays. The nutritional status has became better as the dietary pattern has changed. That is, vegetable food intakes have tendency of downward every year while animal food intakes have upward, and the compositional ratio of protein, carbohyrate and fat to total calorie intakes has approached to an recommendational ratio, and the intakes of mineral and vitamin were increased. Thus dietary life has changed in a desirable way. The improvement of nutritional status resulted from change of the level of dietary life played the role as one of the factors which extended mean life span, and contributed to the mean life span extension by 3 times from 20 years to 60 years. Infectious diseases, such as a choleraㆍ a typhoid feverㆍ a tuberclesis was prevalented in poor nutrition status time, while nutritional status has been getting better adult diseases such as a heart diseaseㆍ tumorous diseaseㆍ diabetesn mellitusㆍ hypertension which are related to dietary life, have been influential to the major cause of dea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1. 硏究의 目的 및 範圍 = 1 2. 硏究의 方法 = 2 Ⅱ. 우리 나라의 人口成長 推移 = 3 1. 1910年에서 1945年까지 의 日帝時代 = 3 (1) 人口 規模 및 咸長 推移 = 3 (2) 해외 유출 인구 = 6 2. 8.15解放 前後에서 6.25動亂 以前까지의 기간 (1945年 ~ 1950年) = 8 3. 1950年에서 1955年까지의 동란기 = 10 4. 1955年에서 1960年까지의 期間 = 11 5. 1960年에서 1970年까지의 期間 = 12 6. 1970年에서 1980年까지의 期間 = 14 Ⅲ. 우리 나라의 農業政策 및 食糧需給 推移 = 18 1. 1910年에서 1945年까지의 日帝時代 = 18 (1) 양곡증산을 위한 정책 = 18 (2) 日帝下에서의 食糧生産 推移 = 18 (3) 日帝下에서 韓國人의 食糧淸費 推移 = 22 2. 8.15해방 전후에서 6.25등란 이전까지의 기간 (1945年 ~ 1950年) = 24 (1) 양곡증산을 위한 정책 = 24 (2) 해방직후의 식량생산추이 = 25 (3) 해방후의 식량소비추이 = 26 3. 1950年애서 1955年까지의 동란기 = 27 (1) 양곡증산을 위한 정책 = 27 (2) 동란기의 식량생산추이 = 29 (3) 동란기의 食糧消費 推移 = 30 4. 1955年에서 1960年까지의 期間 = 32 (1) 양곡증산을 위한 정책 = 32 (2) 식량생산추이 = 33 (3) 식량소비 추이 = 36 5. 1960年에서 1970年까지의 期間 = 37 (1) 식량증산 정책 = 37 (2) 식량생산 추이 = 40 (3) 식량소비추이 = 43 6. 1970年에서 1980年까지의 期間 = 48 (1) 식량증산 정책 = 48 (2) 식량 생산 추이 = 52 (3) 식량 소비추이 = 55 Ⅳ. 우리 나라의 營養攝取 實態 變化 = 61 1. 日帝時代의 영양 섭취 실태 = 61 2. 해방 직후의 영양섭취 실태 = 65 3. 동란기의 영양섭취실태 = 68 4. 1955年에서 1960年까지 期間中의 영양섭취실태 = 70 (1) 군인들의 영양섭취실태 = 71 (2) 농촌 지역의 영양섭취실태 = 72 5. 1960年에서 1970年까지 期間中의 영양섭취실태 = 73 (1) 지역별 영양섭취실태 = 73 (2) 연령별 영양섭취실태 = 76 (3) 특수 집단의 영양섭취실태 = 78 6. 1970年에서 1980年까지 기간중의 영양섭취실태 = 80 (1) 전국적인 영양섭취실태 = 81 (2) 지역별 영양섭취실태 = 81 (3) 연령별 영양섭취실태 = 85 Ⅴ. 우리 나라의 平균 壽命의 變化 = 89 Ⅵ. 우리 나라의 主要 死亡原因의 變化 = 92 Ⅶ. 結論 = 97 1. 人口 增加와 食糧·營養 狀態와의 關係 = 97 2. 營養 狀態와 壽命과의 關係 = 98 3. 營養 狀態와 主要 死亡原因과의 關係 = 99 參考文獻 = 100 附錄 = 105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526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인-
dc.subject영양상태-
dc.subject영향-
dc.subject사회요인-
dc.subject경제요인-
dc.title韓國人의 營養狀態에 影響을 미치는 社會·經濟的 要因 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日帝時代부터 1980年까지-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factors on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dc.format.page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