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4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03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466-
dc.description.abstractThe twelve-tone technique was created by Schoenberg (1874-1951), and developed by many other composers, such as Berg (1885-1935), Webern (183-1945), Dallapiccola, Messiaen, Stravinsky, Kreneck and Babbit. With this historical context, twelve-tone technique has been being settled as the classical technique by modem composers. In virtue of its important merit that has the limitless ability for composing, the structural unification is bestowed upon it. The main them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and elucidate the structures of serial music through an analysis of Fiue Pieces for Piano by the writer which adapted twelve-tone technique. The studying method, begin with a study the form. Secondly, analyzed each section was divided according to set, harmonic and melodic structure, rhythm and dynamics. Five Pieces for Piano is made up of five pieces, and each of them is comprised of prime, Inversion, Retrograde, Retrograde - Inversion, which are all derived from the prime set. First, third and fifth pieces share a common feature in that they adapted segments to lead the themes. The second and fourth pieces are unified by the use of special piano techniques. For this thesis , only first and fourth pieces were analyzed. The first piece has three sections. Section I is an Introduction and Section III is a Coda. These two sections is devised to mirror form. Section II adapts the idea of segment. The fourth piece, which has also three sections, utilizes special techniques on the in strings of the piano, and is sectionalized by this manner. In the use of sets, various sets are used in these works. Commonly, these two pieces has many dyads [0, 1], [0, 21, trichords [0, 1, 41 and especially in the foruth piece tetrachords [0, 2, 4, 61 are used. In rhythm and dynamics, a thematic rhythm is used and developed, various dynamics appear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se works.;Arnold Schoenberg(1874-1951)에 의해 만들어지고 Anton Webern(1883-1945), Alban Berg(1885-1935)에 의해 계승·발전된 12음 기법은 Luigi Dallapiccola(1904-1975), Olivier Messiaen(1908-1993), Igor Stravinsky(1882-1971), Milton Babbitt(1916- )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발전되었다. 이처럼 20세기의 주요 작곡가들에 의해 그 음악적 가치를 검증받은 12음 기법은, 이러한 역사적 가치와 더불어 작곡상의 무한한 가능성과 구조적 통일성 부여라는 큰 잇점으로 오늘날의 작곡가들에게는 고전적인 작곡기법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12음 기법으로 작곡된 본인의 작품 "Five Pieces for Piano"의 분석이다. "Five Pieces for Piano" 는 5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하나의 음열에서 파생된 Prime, Inversion, Retrograde, Retrograde-Inversion으로 전재된다. 1악장, 3악장, 5악장이 음열과 주제를 이끌에 나가는 아이디어에 있어 공통된 특성을 갖고 있으며 2, 4 악장은 피아노의 다양한 음향을 현(string)을 통해 얻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악장간의 공통된 특성으로, 본 논문에서는 1악장과 4악장만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작품분석에 있어서 형식과 분석을 순서로 하여 연구하였으며, 분석에 있어서는 음열의 사용, 선율, 화성, 리듬의 구조와 셈여림의 사용으로 나누여 살펴보았다. 1악장은 3개의 Section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Section I과 Section Ⅲ는 모두 모두 senza misura로 각각 Introduction과 Coda의 기능을 가진다. Section Ⅱ는 P_(0) 음열이 하나의 dyad, 두개의 trichord 그리고 하나의 tetrachord로 나뉘어져 수평적으로 나타나며, 이 4개의 단편이 점차 쌓여지며 주제를 형성하게 된다. 1악장 전체에서 나타난 다양한 화성을 pitch class set 으로 분석하였는데, 분식한 결과로는 dyad [0, 1] [0, 2]와 trichord [0, 1, 4]가 우세하다. 셈여림의 사용은 ppp에서 fff까지의 셈여림을 사용하였으며, Section I의 Subsection A와 Section Ⅲ의 Subsection B는 ppp에서 mp의 약한 셈여림으로 제한하였으나 곡의 절정부분인 Section Ⅱ의 Subsection E에서는 pp에서 fff까지의 다양한 셈여림을 사용하였다. 4악장은 glissando, pizzicato 등 피아노의 현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음향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3개의 Section으로 나뉘어졌다. 이 3개의 Section은 선택된 음열사용과 화성, 리듬의 구조와 더불어 다양한 특수기법에 의하여 구분된다. 4악장에서도 1악장과 마찬가지로 dyad [0, 1], [0, 2]와 trichord [0, 1, 4]가 강조되어 나타나고, tetrachord [0, 2, 4, 6]이 1악장에서와 달리 빈번해 사용된다. 셈여림에 있어서는 ppp에서 fff까지의 셈여림이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곡의 절정부분에서는 ppp에서 fff까지의 모든 셈여림이 사용되었고, 그 외의 부분에서는 3-4개의 셈여림만을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다. 4악장의 시작 부분인 Section I의 Subsection A에서는 pp로 시작하여 p까지의 셈여림이 사용되었다. 각각의 Subsection이 곡의 절정부분인 Section Ⅱ의 Subsection E까지 진행될 때 점점 한 단계씩 셈여림이 세지고 절정부분 후에는 셈여림이 다시 약해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본론 = 3 A. 집합(set)의 구조 = 3 B. 작품분석 = 5 1. 1악장 = 5 1) 형식 = 5 2) 분석 = 6 (1) SectionⅠ(Introduction) : m.1(senza misura) = 6 (2) SectionⅡ: mm. 2-27 = 13 (3) SectionⅢ: m.28 (senza misura) = 28 2. 4악장 = 32 1) 형식 = 32 2) 분석 = 33 (1) SectionⅠ = 33 (2) SectionⅡ = 38 (3) Section Ⅲ = 43 Ⅲ. 결론 = 47 참고문헌 = 50 부록 "Five Pieces for Piano"의 악보 = 51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96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김지현-
dc.subject12음기법-
dc.subject피아노음악-
dc.title김지현의 "Five Pieces for Piano"(1997),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Five Pieces for Piano by Kim, Jijyun (1997)-
dc.format.pagevi, 6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